수미산(須彌山) 수미산(須彌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須彌樓 · 修迷樓 · 蘇迷盧 · 迷盧라고 부르며, 妙高 · 妙光 · 安明 · 善積이라 번역한다. 4洲 세계의 중앙인 金輪위에 우뚝 솟은 산이다. 이 산의 주위에 7山 8海가 있고 또한 철위산이 들려 있으며, 물 위에 보이는 것이 8.. ᄉ~ㅇ(시옷~이응) 2018.01.23
삼지(三智) 삼지(三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1) 道種智. 보살이 중생을 교화할 때에 世間·出世間·有漏·無漏의 道를 말하는 지혜를 말함. (2) 一切智. 모든 법의 총체적 모양을 아는 지혜이다. 예를 들면 그림의 윤곽을 그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3) 一切種智. 부분적 모양.. ᄉ~ㅇ(시옷~이응) 2018.01.23
연기(緣起) 연기(緣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모든 존재(有爲法)는, 여러가지 조건 곧 인연에 의해서 잠정적으로 그와같은 모습으로 성립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조건 여하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화하므로(無常), 독립적 존재성을 가질 수 없고(空 · 無我), 서로 의존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8.01.22
오온가화합(五蘊假和合) 오온가화합(五蘊假和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리의 身心은 五蘊이 因緣으로 거짓 和合해서 成立된 것에 불과하다는 것. 참고 신심(身心) : 有情의 正報로 五蘊 가운데 色蘊이 身이 되고 受 · 想 · 行 · 識의 4蘊은 心이 된다. 오온(五蘊) : 五陰이라고도 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8.01.22
상주(常住) 상주(常住)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과거에서 현재 · 미래에로 三世에 걸쳐 항상 존재하고 生하거나 滅하거나 하여 변화하지 않는 것을 말하고, 이에 반하는 것을 無常이라고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 ᄉ~ㅇ(시옷~이응) 2018.01.22
사념처(四念處) 사념처(四念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新譯은 四念住라고 한다. 소승의 수행자가 3賢位에서 5停心觀 다음에 닦는 觀. 身念處 · 受念處 · 心念處 · 法念處의 네 가지를 말한다. (1) 身念處. 부모에게 받은 육신이 부정하다고 관하는 것. (2) 受念處. 우리의 마음에 즐.. ᄉ~ㅇ(시옷~이응) 2018.01.21
임제(臨濟) 임제(臨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臨濟宗祖. 당나라의 慧照禪師 義玄을 가리킴. 또 임제종을 말함. 참고 임제종(臨濟宗) : 禪家五宗의 하나. 중국 당나라의 고승 臨濟義玄의 宗旨를 근본으로 하여 일어난 종파. 義玄은 黃檗希運의 법을 잇고 당나라 宣宗 때에 진주 .. ᄉ~ㅇ(시옷~이응) 2018.01.21
입적(入寂) 입적(入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寂滅에 들어간다는 뜻. (1) 小乘佛敎에 의하면, 聲聞도 緣覺도 보살도, 최후에는 無餘涅槃에 들어가면 灰身滅智가 된다고 한다. (2) 聖者·高僧의 죽음을 말함. 入滅과 같음. 참고 적멸(寂滅) : 약하여 滅이라고도 한다. 迷의 세계를 .. ᄉ~ㅇ(시옷~이응) 2018.01.21
유루(有漏) 유루(有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漏는 漏泄의 의미로 번뇌를 말함. 번뇌가 있는 것을 有漏라 하고, 없는 것을 無漏라 한다. 有漏는 또 有染 · 有染汚 · 有諍이라고도 한다. 染도 染汚도 諍도 번뇌를 말함. 또 잘못된 견해를 내는 依處이기 때문에 見處라고도 한다... ᄉ~ㅇ(시옷~이응) 2018.01.20
유위(有爲) 유위(有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爲作 · 造作의 뜻으로 有爲法이라고도 한다. 모두 인연의 화합에 의해서 造作되어진 現象的 존재를 말하고, 영구불변의 절대적 存在인 無爲에 相對語. ① 일반적으로 말하면 五蘊이 有爲法인데, 俱舍宗에서는 일체법을 七十五法.. ᄉ~ㅇ(시옷~이응) 201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