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종발심(三種發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기신론에서 설한 것.
(1) 信成就發心. 初住에서 제10住의 자리에 이르면 信心의 성취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발하는 것.
(2) 解行發心. 十行 내지 十廻向의 자리에서 이치를 이해하고 道를 행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내는 것.
(3) 證發心. 初地에서 제10地에 이르는 자리로 法性을 증득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내는 것을 말함.
참고
십주(十住) : 보살의 수행 계위 52위중 제11위에서 제20위까지를 일컬음. 10신위를 지나서 眞諦의 경지. 곧 불지에 안주할 수 있게 됐다는 뜻으로 십주라 한다. (1) 發心住. (2) 治地住. (3) 修行住. (4) 生貴住. (5) 具足方便住. (6) 正心住. (7) 不退住. (8) 童眞住. (9) 法王子住. (10) 灌頂住. → 住別 자세한 내용은 카테고리 “十地”를 참고하세요.
십지(十地) : 地는 범어 bhumi의 번역으로, 住處 혹은 住持, 生成의 뜻. 그 자리(住)를 사는 집으로 하고, 또 그 자리에 있어서의 法을 보존하고 육성하는 것에 의해서, 果를 낳게 됨을 말한다. 智度論 卷75에는 이 十地를 각기 三乘의 階位에 배당하고 또 智顗의 法華玄義 卷四下, 摩訶止觀 卷六上에도 이 뜻을 받아서 해석하고 있다. 거기에 의하면, (1) 乾慧地. (2) 性地. (3) 八人地. (4) 見地. (5) 薄地. (6) 離欲地. (7) 已作地. (8) 辟支佛地. (9) 菩薩地. (10) 佛地.
十地의 명칭을 新譯의 화엄경 卷三十四에 의해 열거하면, (1) 歡喜地. (2) 離垢地. (3) 發光地. (4) 焰慧地. (5) 難勝地. (6) 現前地. (7) 遠行地. (8) 不動地. (9) 善慧地. (10) 法雲地. → 地別 자세한 내용은 카테고리 “十地”를 참고하세요.
십회향(十廻向) : 보살이 수행해 나아가는 52位중에서, 제31位로부터 제40位까지를 일컫는다. 곧 10信 · 10住의 20位를 거쳐 10行의 位에서 닦은 自利 · 利他의 행을 일체 중생을 위해 널리 돌려주는 공덕으로 불과를 향해 나아가는 지위. 救護一切衆生離衆生相廻向 · 不壞廻向 · 等一切諸佛廻向 · 至一切處廻向 · 無盡功德藏廻向 · 入一切平等善根廻向 · 等隨順一切衆生廻向 · 眞如相廻向 · 無縛無着解脫廻向 · 入法界無量廻向.
십행(十行) : 보살이 수행하는 52階位중 10信 · 10住 다음의 位인 제21位로부터 제30位까지의 보살위. 곧 10住位의 마지막인 灌頂住에서 진정한 佛子임을 印可받아 확인한 뒤 더 나아가 利他行을 완수하고자 중생교화의 실천을 위해 정진하는 地位. 歡喜行 · 饒益行 · 無瞋恨行 · 無盡行 · 離癡亂行 · 善現行 · 無着行 · 尊重行 · 善法行 · 眞實行의 10行을 말함.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바세계(娑婆世界) (0) | 2018.02.20 |
---|---|
용화수(龍華樹) (0) | 2018.02.20 |
상속(相續) (0) | 2018.02.20 |
십종선지식(十種善知識) (0) | 2018.02.19 |
십종계(十種戒) (0) | 201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