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壽)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yus의 번역. 命 · 命根이라는 말과 같고 또 壽命이라고도 한다(단, 壽와 命을 구별하는 說도 있다). 곧 과거에 한 행위 곧 業의 힘에 의해서, 이 세상에 태어나 죽음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을 지속하고, 우리들의 신체의 체온(煖)과 識(곧 心識)을 執持(굳게 고집하여 움직이지 않는 것)하고 견디어 나가는 기능을 가진 것.
俱舍宗이나 唯識宗에서는 이(命根)를 不相應行法[心과 相應치 않는 行蘊(五蘊의 하나로서 色을 제외한 受 · 想 · 行 · 識의 네 가지와 그밖의 有爲法을 가리킴)이란 뜻]의 하나로 삼는다. 이와 같이 壽는 煖 · 識을 執持하고 煖 · 識은 또 다시 壽를 執持하여, 양자는 서로 의지하는 관계에 있고, 죽음에 다다라서는 이 壽 · 煖 · 識의 3이 최후에 육체로부터 떠난다고 한다.
이 壽는 三界 六道 등의 구별에 의해서 定量이 있고 이것을 壽量이라고 한다.
참고
명근(命根) : 범어 jivitendriya의 번역. 俱舍宗이나 唯識宗에서는 心不相應行法의 하나. (有部에서는 實有라 하지만 經部나 大乘에서는 假有라 함). 과거의 業에 의하여 생기고 一期(이 세상에 생을 받아서 죽을 때까지)동안 有情의 心身이 상속하게 하고 煖(즉 體溫)과 識을 유지하는 힘으로 그 體는 壽命이다. 이것은 역으로 煖과 識에 의해서 一期동안 유지될 수 있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심명(信心銘) (0) | 2018.03.12 |
---|---|
사생(四生) (0) | 2018.03.11 |
소승삼장(小乘三藏) (0) | 2018.03.09 |
아함시(阿含時) (0) | 2018.03.09 |
오온개공(五蘊皆空) (0) | 201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