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선(如來禪) 여래선(如來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규봉 종밀이 세운 5種禪(외도 · 범부 · 소승 · 대승 · 최상승)의 최상승선을 말한다. 자세히는 如來淸淨禪이다. 여래선이라는 말은 능가경에 있는 것으로, 규봉은 이것으로써 敎禪一致라 주장하여, 달마가 전한 최상승.. ᄉ~ㅇ(시옷~이응) 2018.03.16
일체법(一切法) 일체법(一切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切諸法 · 萬法이라고도 한다. 모든 것, 一切의 事物, 모든 現象, 정신적 · 物質的인 것. 일체 現象的 존재를 말함. 원 뜻은「緣起로 된 모든 존재」곧 有爲法을 가리켰으나 뒤에 이와 對立하는 無爲法도 추가되었다. 法에 .. ᄉ~ㅇ(시옷~이응) 2018.03.16
삼시(三施) 삼시(三施)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三檀. ① (1) 財施. 戒를 지키는 사람이 타인의 재물을 범하지 않으며, 또한 자기의 재물을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것. (2) 法施. 능히 사람에게 교법을 설하여 깨닫게 하는 것. (3) 無畏施. 일체 중생은 모두 죽음을 두려워 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사덕(四德) 사덕(四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如來의 法身, 大乘의 涅槃, 佛性에 갖춰 있는 4가지 德. (1) 常(영원히 변치 않는 것) (2) 樂(고통이 없이 安穩한 것) (3) 我(마음을 자재하여 다른 것에 집착하지 않는 것) (4) 淨(번뇌의 汚穢가 없는 것)의 4德. 北本涅槃經 卷二十三, ..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야차(夜叉) 야차(夜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yaksa의 音譯. 藥叉 · 閱叉라고도 쓰며, 威德 · 暴惡 등으로 번역한다. 여기에 天夜叉 · 地夜叉 · 虛空夜叉의 3종이 있으며, 天夜叉 · 虛空夜叉는 날아 다니고 地夜叉는 날지 못한다고 한다. 八部衆의 하나로 여겨지고, 비..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음(婬) 음(婬)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惡의 하나로 男女간의 婬事를 말함. 沙彌律에 의하면 在家信徒가 지켜야 할 5戒에는 오직 邪婬만을 금하였지만, 出家人의 10戒에는 婬欲을 완전히 끊도록 하였다. 楞嚴經에 보면 寶練香比丘尼가 사사롭게 婬欲을 행하고 말하기를 “..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음계(婬戒) 음계(婬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음욕에 대한 戒律. 또는 不婬戒라 함. 四波羅夷·十重禁戒의 하나. 婬欲을 制止하는 戒. 出家者에게는 완전히 婬行을 禁하며 만일 이를 범하면 出家의 자격을 상실한다. 在家者는 夫婦 외에 婬行을 禁止하는 것을 邪婬戒라 하며, ..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음주삼십육실(飮酒三十六失) 음주삼십육실(飮酒三十六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술을 마시므로 일어나는 36種의 失手가 있다. (1) 부모에 불효함. (2) 웃어른과 친구를 輕慢함. (3) 三寶를 공경하지 않음. (4) 經法을 얻지 않는다. (5) 沙門을 비방함. (6) 거짓으로 남의 허물을 말함. (7) 항상 망녕된 ..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원각경(圓覺經) 원각경(圓覺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 경의 정확한 명칭은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으로 줄여서 大方廣圓覺經 · 圓覺修多羅了義經 · 圓覺了義經 · 圓覺經이라 약칭한다. 이 경은 석존이 문수 · 보현 · 보안 · 금강장 · 미륵 · 淸淨慧 · 威德自在 · 辯.. ᄉ~ㅇ(시옷~이응) 2018.03.15
율장(律藏) 율장(律藏)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經 · 律 · 論 3藏의 하나. 율장은 불교도들이 지켜야 할 실제 생활상의 규정과 作法, 그리고 교단의 규약 등을 집성한 것으로 소위 5계 · 10계 · 250계 등의 戒法 또는 계율을 말한다. 이것은 석존 생존시에 5계니 10계니 또는 250계.. ᄉ~ㅇ(시옷~이응) 2018.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