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인(三淨因) 삼정인(三淨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身器淸淨의 三因이라고도 하고, 身心을 淸淨히 하는 3종의 因을 말함. (1) 身心遠離. 몸으로 나쁜 벗을 가까이 하지 않고, 마음으로 나쁜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것. (2) 喜足少欲. 少欲知足이라고도 한다. 이미 얻은 바를 가지고 .. ᄉ~ㅇ(시옷~이응) 2018.03.20
상응인(相應因) 상응인(相應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因의 하나. 상응인은 心王과 心所가 五義平等에 의하여 평등하게 화합하는 것을 뜻한다. 참고 육인(六因) : 能生(가까운 미래에 果를 내게 하는 것)의 원인을 여섯으로 나눈 것. 能作因(이 세상의 모든 萬物이 날 적에, 그 자.. ᄉ~ㅇ(시옷~이응) 2018.03.20
상(常) 상(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常住라고도 한다. 영원히 변하지 않고, 생하거나 멸함이 없는 것. 간단없이(不斷) 계속해서 다함이 없는(相續) 것. 緣起法性의 이치나 如來의 法身은 常住라 하고, 또 범부의 四顚倒나 열반의 四德의 하나에도 樂 · 我 · 淨과 같이 .. ᄉ~ㅇ(시옷~이응) 2018.03.19
설봉견성(雪峰見性)-화두 설봉견성(雪峰見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두. 雪峰義存(821~908)에게 어떤 客僧이 물었다. 「聲聞人의 견성은 밤에 달을 보는 것 같고, 菩薩人의 견성은 낮에 해를 보는 것과 같다고 하는데, 和尙의 見性은 어떠하십니까?」이에 雪峰이 세 번 때렸다고 하며, 그 客.. ᄉ~ㅇ(시옷~이응) 2018.03.19
여인성불(女人成佛) 여인성불(女人成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도에서는 옛날 여성의 지위를 아주 낮게 보아 여성은 梵天王 · 帝釋 · 摩王 · 轉輪王 · 佛 등 5종은 될 수 없는 장해(5장)가 있다고 하였다. 또 淨土에는 여성은 없다는 생각도 있었다. 단 天女는 있다 한다. 그러나 모.. ᄉ~ㅇ(시옷~이응) 2018.03.18
안립진여(安立眞如) 안립진여(安立眞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七眞如의 하나. 眞如 자체에 生滅變化가 없지만 현상계의 만유나 중생계의 고통이 역시 眞如를 本體로 하여 성립된 것임을 말하는 眞如. 참고 안립(安立) : 言語로 表象되어 다른 것과의 구별이 세워지는(施設) 것을 말함. .. ᄉ~ㅇ(시옷~이응) 2018.03.18
우바리(優婆離) 우바리(優婆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Upali. 부처님의 10대 제자의 한 분. 優波離 · 鄔波離 · 優波利 등으로도 쓴다. 近執 · 近取라 번역. 계를 엄하게 지킨 존자라 해서 持戒 제일이라고 일컬어진다. 인도의 4계급 중 가장 천한 수트라 출신이며, 그는 장성해.. ᄉ~ㅇ(시옷~이응) 2018.03.17
삼취(三聚) 삼취(三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사람의 성질을 셋으로 나눈 것. (1) 正定聚. 항상 진정하여 결정코 성불할 종류. (2) 邪定聚. 성불할 만한 소질이 없어 더욱 타락하여 가는 종류. (3) 不定聚. 緣이 있으면 성불할 수 있고, 緣이 없으면 迷할 一類로서 향상과 .. ᄉ~ㅇ(시옷~이응) 2018.03.17
삼불호(三不護) 삼불호(三不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如來의 身·口·意의 三業은 淸淨하여 過失이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처럼 알지 못하게 감추어 지킬 필요가 없는 것을 말한다. 곧 身不護·語不護·意不護요, 이것을 如來의 三不護라고 한다. 다시 命不護(如來의 생활은 淸淨.. ᄉ~ㅇ(시옷~이응) 2018.03.17
심경본적(心境本寂) 심경본적(心境本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심(心) · 경(境) 모두 본래 공적(空寂)하다는 뜻. 이 세계는 본디 심(心 : 能觀 : 보는 것)이라든지 경(境 : 所觀 : 보여지는 것)의 대립이나 차별은 전혀 없다고 하는 것. 대립이나 차별이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은 모든 인간의 .. ᄉ~ㅇ(시옷~이응) 2018.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