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명탁(命濁,808)-국어사전

명탁(命濁,8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의 오탁(五濁)의 하나. 사람의 수명이 짧아서 백 년을 채우기 어려움. 참고 탁(濁,2624)-뉴사전 : ① 더러움.→오탁(五濁) 산, kalusi-karana 산, kasaya 산, lutita 산, avisuddhi (해석예) 탁(濁)이란 불청정(不淸淨). 청(淸)이란 물의 밑부터 위까지 맑아지는 것. 지금은 중생의 마음이 불청(不淸)이란 속으로 생각하는 마음이라고 보았는데, 괴각(乖角)함. 탁(濁)해지다,라는 것은 휘젖는 모습, 지금은 생심(生心)이 완전히 탁해지는 것임. ② 수태(受胎) 후에 태아가 조금 덩어리가 된 상태. 산, kalaha(?)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

육행(六行,1996)-뉴사전

육행(六行,199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부처님의 육행(六行). 육도(六度)의 행(行)을 말함.→육바라밀 ② 외도(外道)가 수행하는 6가지 고행을 말함.→육종고행외도 ③ 하계(下界)를 고(苦)·추(麁)·장(障)인 것이라 하여 싫어하고, 천계(天界)를 정(靜)·묘(妙)·이(離)한 것이라 하여 바라는 것. 참고 부처님(1074)-국어사전 : 의 높임말.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

삼능변(三能變,1167)-뉴사전

삼능변(三能變,11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설(唯識說)에서 8식(識)을 능변(能變)이라 하고, 이것을 3종류로 나누어 말함. (1) 초능변(初能變). 아뢰야식(第八識). (2) 제2능변(第二能變). 사량식(思量識 : 제7식, 마나식). (3) 제3능변(第三能變). 요별경식(了別境識 : 대상을 인식하는 식(識), 즉 안(眼) 등의 6식(六識)). 참고 유식설(唯識說)→유식(唯識,1817)-국어사전 : 불교에서, 일체의 제법(諸法)은 오직 식(識)이 변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말. [법상종(法相宗)의 근본 원리임.] ...유식(唯識,1947)-뉴사전 : 산, vijnapti-matrata [티 rnam par rig pa tsam(nid)]의 한역. 단지, 표상일 뿐. 산,..

식(識) 2023.09.12

신력(信力,1463)-국어사전

신력(信力,146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오력(五力)의 하나. 불법(佛法)을 믿음으로써 얻게 되는 능력이나 신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

불법(佛法) 2023.09.11

신근(信根,1462)-국어사전

신근(信根,146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오근(五根)의 하나. 불교만 믿고 다른 것을 믿지 않는 일. [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와 사제(四諦)의 이치를 믿음.]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

근(根) 2023.09.10

삼력(三力,1172)-뉴사전

삼력(三力,117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경문에 여러 가지 설(說)이 있지만 보통은, (1) 아공덕력(我功德力). 수행자가 닦는 신(身)·구(口)·의(意)의 3밀(三密)의 힘. (2) 여래가지력(如來加持力). 부처님이 중생의 믿음에 주는 자비의 힘. (3) 법계력(法界力). 불성(佛性)의 일여평등(一如平等)의 힘을 말함. 수행자 자신의 자력의 수행, 여래의 가지(加持), 자기마음에 지니고 있는 불성(佛性)을 세 개의 힘이라고 한 것. 「以我功德力故, 以如來加持力故, 以法界平等力故, 以此三緣故, 則能成就不可思議業也」 참고 신구의(身口意,1510)-뉴사전 : 몸가짐과 말과 정신. 곧 일상생활의 모든 행위. 삼밀(三密,1221)-국어사전 : 불교에서, 손으로 인계(印契)를 맺는 ..

부단공(不但空,922)-뉴사전

부단공(不但空,92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단공(但空)의 반대. 일체의 모든 사물은 전부 공(空)이라고 관(觀)함과 동시에 그 불공(不空)인 방면까지도 관(觀)하는 것을 이름. 곧 중도공(中道空)으로, 천태사교(天台四敎) 중에서는 통교(通敎)의 공관(空觀)임. 참고 단공(但空,392)-뉴사전 : 부단공(不但空)의 상대되는 말. 대승에서 보고 소승에서 설하는 공(空)을 말함. 공(空)의 도리는 알고 있지만 그 반면에 불공(不空)의 도리가 있는 것을 모르고 단지 공(空)만을 집착하는 것. 편공(偏空)이라고도 함. 공(空,216)-국어사전 : ① 속이 텅 빈 것. 아무것도 없는 것. ② 불교에서,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불변의 실체(實體)..

공(空)이란? 2023.09.08

풍재(風災,2707)-뉴사전

풍재(風災,270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풍(風)에 의한 재해. 대삼재(大三災)의 하나. 성(成)·주(住)·괴(壞)·공(空)의 4겁중 괴겁(壞劫)의 끝에 일어나서, 세계를 쓸어버리는 대폭풍의 재난. 밑으로는 무간지옥에서부터 위로는 색계의 제3선천까지 쓸어 없애 버린다고 한다. 이것이 3재 가운데 가장 해가 크다.→화재 참고 풍(風,2705)-뉴사전 : ① 바람의 원소. 사대(四大)의 하나. ②「구사론 계품(界品)」에「風界(산, vayu-dhatu)는 잘 큰다. 增長(산, vyuhana 티, rgyas par byed pa)」「風界는 動性(움직임 산, irana 티, g-yo pa)임」라고 했음. 움직이는 힘. ③ 대지의 밑의 수륜(水輪)밑에 있는 풍륜(風輪).→풍륜 ④ 신체..

겁(劫) 2023.09.07

삼복(三福,1187)-뉴사전

삼복(三福,118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종의 복업(福業). 3가지의 선업(善業). 3종류의 공덕. 세복(世福 : 세상에서의 도덕상의 선행(善行), 계복(戒福 : 교단내에서 지켜야 할 계율의 실행), 행복(行福 : 대승불교도가 실천하는 보살행)을 말함. 복(福)은 복리(福利)이고 선업(善業)을 수행하면 금세·후세, 그 몸을 살리는 것을 말함. 특히 정토교 일반(淨土敎 一般)의 해석에서는 산선(散善)을 행(行)의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 즉 (1) 세복(世福). 부모에게 효행을 다하고 스승이나 손 위 어른을 섬기며, 자비심을 갖고 선한 행동을 수행하는 것. (2) 계복(戒福). 불법승(佛法僧)의 3보(寶)에 귀의하고 계(戒)를 실행하여 정해진 거동(威儀)을 지키는 것. (3..

업(業) 2023.09.0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2399)-국어사전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239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계 육천(欲界六天) 가운데 여섯째 하늘. 맨 위의 하늘로서, 이곳에 태어난 이는 남의 즐거움을 자기의 즐거움으로 바꿀 수 있다고 함. 또, 이 하늘에 마왕이 산다고도 함. 참고 욕계 육천(欲界六天)→육욕천(六欲天,1829)-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삼계(三界) 중 욕계에 딸린 여섯 하늘. [사왕천(四王天)·도리천(忉利天)·야마천(夜摩天)·도솔천(兜率天)·화락천(化樂天)·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육욕천(六欲天,1983)-뉴사전 : 삼계(三界) 가운데, 욕계(欲界)에 속하는 여섯 종류의 천(天). (1) 사천왕중천(四天王衆天 산, Catur-maharaja-kayiah[devah]. 증상천(增長天)과 광목천(廣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