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9

화생(化生,2643)-국어사전

화생(化生,264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생물의 조직이나 기관이 질적으로 다른 분화를 하는 일. [곤충의 변태 따위.] ② 불교에서,‘자취도 없고 의탁할 곳도 없이 홀연히 생겨남’또는 그렇게 생겨난‘귀신이나 요괴’를 이르는 말. 참고 생물(生物,1270)-국어사전 : 스스로 영양을 섭취하며, 생장·번식·운동을 기본으로 하는 생활 현상을 가진 유기체. 동물과 식물로 크게 나뉨. 유생물(有生物).↔무생물 ...무생물(無生物,848)-국어사전 : 생활 기능이 없는 물체. [돌이나 물·흙 따위.]↔생물(生物). 조직(組織,2116)-국어사전 : ①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지위와 역할을 지닌 사람이나 물건이 모여서 질서 있는 하나의 집합체를 이룸, 또는 그 집합..

사생(四生) 2023.10.15

대승경(大乘經,580)-국어사전

대승경(大乘經,58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의 교법을 해설한 불경, 곧 화엄경(華嚴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열반경(涅槃經)·대집경(大集經). 참고 대승(大乘,580)-국어사전 : 이타주의에 의하여 널리 인간 전체의 구제를 주장하는 적극적인 불법. [‘승(乘)’은 피안으로 타고 가는 수레라는 뜻으로, 곧‘교리’나‘진리’를 뜻함. 기원전 1~2세기경, 북부 인도에서 일어난 진보적 불교 세력이 스스로의 교리·교설을 이르던 말. 종래의 출가자 위주의 교의를 반대하고, 재가(在家)의 대중을 두루 교화할 교리를 주장하였음.]↔소승(小乘). ...대승(大乘,444)-뉴사전 : ① 커다란 탈 것의 뜻. 불교의 2대유파(二大流派)의 하나. 1, 2세기경 일어났다. 종래의 ..

대승과 소승 2023.10.14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2212)-국어사전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221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 우왕 3(1377)년에 간행된 불경.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 활자 인쇄본임. 직지심경. 참고 고려→고려(高麗,187)-국어사전 : 우리나라 중세 왕조의 하나. 태봉의 장수 왕건(王建)이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후백제를 멸하고 신라를 항복시켜 후삼국을 통일했으나 공양왕(恭讓王) 때 이성계(李成桂)에게 멸망함. [918~1392] ...신라(新羅,1463)-국어사전 : 우리나라의 고대 왕국 중의 하나. 박혁거세(朴赫居世)가 한반도의 동남쪽에 자리 잡아 세운 나라로,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 때 백제와 고구려를 멸하여 삼국을 통일하였음. 경순왕(敬順王) 때 고려의 태조 왕건(王建)에게 망함. [..

삼전도(三顚倒,1221)-뉴사전

삼전도(三顚倒,122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에게 있는 3종류의 전도(顚倒). (1) 마음의 전도(顚倒). 자기의 진심을 자각하지 않고, 대상에 대해 망분별을 일으킴. (2) 견전도(見顚倒). 대상은 본래 존재하지 않고 마치 허공에 나타나는 꽃과 같음을 모르고, 그것을 실재라고 보는 견해를 갖는다. (3) 상전도(想顚倒). 대상을 있는 그대로 알 수 없어 망상 집착을 일으킴. 참고 중생(衆生,2171)-국어사전 : ① 많은 사람들. ② 불교에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불자(佛子). 제유(諸有). ...중생(衆生,2387)-뉴사전 : ① 생존하는 것. 목숨이 있는 것. 이 세상에 생을 얻은 것. 산것. 살아있는 것. 살고자하..

전도(顚倒) 2023.10.12

삼유생사(三有生死,1227)-국어사전

삼유생사(三有生死,122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삼계(三界)를 유전하며 생사를 거듭하는 일, 또는 그러한 생사를 이르는 말. 참고 삼유(三有,1227)-국어사전 : 삼계(三界)에서 제각기 생존하는 모습. ...삼유(三有,1215)-뉴사전 : ① 3종류의 생존. 3종의 존재. 3개의 생존영역. 유루법(有漏法)의 다른 이름. 3계(三界)에 있어서 각각의 존재하는 방법을 가리킴. 유(有)는 바바(산, bhava 티, srid pa)의 한역으로 마음을 갖는 생물로서의 생존을 말함. 욕계·색계·무색계의 3계에 생존하는 것. 즉 욕유(欲有 : 욕계의 생존), 색유(色有 : 색계의 생존), 무색유(無色有 : 무색계의 생존)를 말함.「구사론」계품(관도본(冠導本) 1권 5)에「..

윤회(輪廻) 2023.10.11

삼욕(三慾,1227)-국어사전

삼욕(三慾,122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식욕(食慾)과 수면욕(睡眠慾)과 음욕(淫慾)의 세 가지 욕심을 통틀어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

선교방편(善巧方便,1311)-뉴사전

선교방편(善巧方便,131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방편에 정교한 것. 사람들의 능력과 소질을 판단하고 그 이둔(날카로움과 둔함)에 따라 이해시키도록 불·보살이 정교하게 유도해서 이끄는 방법·수단을 세우는 것. 사람들의 소질에 따른 교묘한 교도(가르쳐 이끔). 부처님이 법(法)을 설함에 즈음해서, 교묘하게 잘 중생의 기근(機根)이 된 여러 가지 방법·수단을 사용하는 것. 뛰어난 수단. 교묘한 수단방법. 산, upaya-kausalya 참고 선교(善巧,1298)-국어사전 : 부처가 중생의 자질(資質)에 맞추어 정교하게 중생을 가르치는 일. ...선교(善巧,1311)-뉴사전 : 중생의 기근(機根 : 중생의 마음 속에 본래부터 가지고 있어 불타의 가르침을 들으면 발동하는 힘)에 따라..

보리심(菩提心,873)-뉴사전

보리심(菩提心,87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상도심(無上道心)·무상도의(無上道意)·도심(道心)이라고 함.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의 약어. 깨달음을 구해 불도를 행하려고 하는 마음. 성덕(聖德)태자는 직심(直心)이라는 역어(譯語)를 사용함. ① 깨달음으로 향하는 마음.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 깨우침을 얻고 싶다고 원하는 마음. 수행의 최초로 출발점. ② 대승불교에서는 이외에 또한 이타적 견해를 포함시켜, 강조해 말함. 깨달음을 구해 세상 사람들을 구제하려는 마음. 자신이 구제되기 보다도, 우선 다른 사람들을 구제하려고 원하는 마음.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을 생각하는 마음. 부처가 되려는 마음. 깨달음을 향하려고 하는 원(願). 대승(大乘)의 ..

색심불이(色心不二,1279)-뉴사전

색심불이(色心不二,127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색심호융(色心互融)과 같음. 참고 색심(色心,1264)-국어사전 : ① 색정(色情)이 깃든 마음. ② 불교에서, 유형의 물질과 무형의 정신을 이르는 말. ...색정(色情,1264)-국어사전 : 남녀 간의 성적 욕망. 욕정. 정욕. .....색심(色心,1279)-뉴사전 : 색법(色法)과 심법(心法). 물(物)과 심(心). 물질과 정신. ...색법(色法,1278)-뉴사전 : 산, rupa. 물질적 존재. 물건. 일체의 존재하는 것을 색법(色法)과 심법(心法)으로 나누고, 질애(質礙 : 공간적 占有性)가 있는 것을 색법(色法)이라고 함. 질애(質礙)란 동시에 동일 개소를 점유할 수 없는 성질을 말함. 안(眼)·이(耳)·비(鼻)·설(..

불이(不二)란? 2023.10.07

자타불이(自他不二,2206)-뉴사전

자타불이(自他不二,220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대승불교에서는, 인간은 자기를 사랑하는 것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하지만, 자기를 지키는 자는 타인의 자기까지도 지키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자기를 지키는 것이 동시에 타인을 지키는 것으로도 되는 것과 같은 자기는, 서로 대립하는 자기가 아니라 타인과 협력함에 의해서 점점 분명해져 오는 자기인 것임. 이러한 생각으로부터 자타융합(自他融合 산, para-atma-samata), 타인을 자기안으로 전회(轉回)시키는 것(산, para-atma-pariva-rta)이 대승불교도의 덕이라고 강조되게 된 것임. 자타의 구별이 없는 절대의 평등. 또 자타평등이라고도 함. ② 천태종에서는 십불이문(十不二門)중의 제7. 참고 자타융..

불이(不二)란? 20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