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9

법수(法水,995)-국어사전

법수(法水,9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의 번뇌를 깨끗이 씻어 정(淨)하게 한다 하여‘불법(佛法)’을 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중생(衆生,2171)-국어사전 : ① 많은 사람들. ② 불교에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불자(佛子). 제유(諸有). ...중생(衆生,2387)-뉴사전 : ① 생존하는 것. 목숨이 있는 것. 이 세상에 생을 얻은 것. 산것. 살아있는 것. 살고자하여 살 수 있는 것. 특히 인간. 사람들. 여러 사람. 세상 사람. 세상의 많은 사람들. 중생에는 중인(衆人)과 함께 산다는 의미. 중다(衆多)의 법이 거짓으로 화합하여 산다는 의미. 중다(衆多)의 생사를 거치는 의미 등이 있음. 중생이라는 것은 옛..

불법(佛法) 2023.09.25

법멸(法滅,994)-국어사전

법멸(法滅,99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불법(佛法)이 멸망하는 일을 이름. [정법(正法) 5백 년, 상법(像法) 1천 년, 말법(末法) 1만 년이 지나면 불법이 멸망한다고 함.]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

보장(寶藏,890)-뉴사전

보장(寶藏,89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보물창고. (가르침의) 보물창고, 법장(法藏). ② 본래의 자기·불성. (해석예) 어연서(御延書)에「보물창고」라 되어 있음. 참고 보(寶,994)-국어사전 : ① 보배. 보물. ② 보배로 여기다. 소중히 여기다. ③ ㉠ 옥새. 제왕의 인(印). ㉡ 전하여, 천자에 관한 사물의 관칭(冠稱)으로 쓰임. ④ 부처에 관하여 이름. 보물창고→보물(寶物,1025)-국어사전 : 보배로운 물건. 썩 드물고 귀한 물건. 보재(寶財). 보화(寶貨). ...창고(倉庫,2265)-국어사전 : ① 곳집. ② 창고업자가 남의 화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곳집(庫-,216)-국어사전 : ① 곳간으로 지은 집. 고사(庫舍). 창고(倉庫). 창름..

佛性이란? 2023.09.23

삼인불성(三因佛性,1217)-뉴사전

삼인불성(三因佛性,12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에서 말하는 불성설(佛性說)로 삼불성이라고도 함. 성불해야 할 세 종류의 인연종자. 즉 정인불성(正因佛性 : 모든 것에 본래 갖추어져 있는 진여의 이(理)). 요인불성(了因佛性 : 이(理)를 비춰서 나타내는 지혜). 연인불성(緣因佛性 : 지혜를 일으키는 인연이 될 모든 선행)의 3가지를 말함. 참고 천태종(天台宗,2290)-국어사전 : 법화경(法華經)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한 파. [고려 시대에 성하였음.] ...법화경(法華經,997)-국어사전 : 의 준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837)-국어사전 : 대승경전의 한 가지. 석가가 영원한 부처임을 설한 것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준) ..

佛性이란? 2023.09.22

이왕이무인(易往而無人,2077)-뉴사전

이왕이무인(易往而無人,207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의 본원을 바라는 사람은 타력(他力)에 의하는 까닭에 정토왕생이 용이하지만, 진실된 신심을 가진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가기는 쉽더라도, 실제 가는 사람은 없다고 하는 뜻. 참고 아미타(阿彌陀amitabha범,1515)-국어사전 : 서방 정토의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모든 중생을 구제한다는 큰 서원(誓願)을 세운 부처로서, 이 부처를 믿고 염불하면 죽은 뒤에 곧 극락정토에 태어나게 된다고 함.] 서방주(西方主). 아미타불. 아미타여래. 준) 미타. ...아미타(阿彌陀,1628)-뉴사전 : 산, Amitabha(無量光佛)·산, Amitayus(無量壽佛)라는 이름의 처음에 있는 산, Amita의 음역. 무량한, ..

왕생(往生) 2023.09.21

사리불(舍利弗,1061)-뉴사전

사리불(舍利弗,10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산, Sariputra. 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지혜가 제일임. 사리불다라(舍利弗多羅)·사리보달라(舍利補달?羅)라 음역. 사리자(舍利子)·추로자(鷲鷺子)·신자(身子)라 번역. 또 아버지가 실사(室沙)이기 때문에 별명을 우바실사(優婆室沙)라고도 함. 마갈타국 왕사성 북쪽나라(那羅)촌에서 남. 이웃의 목건련과 함께 외도 사연(沙然)을 스승으로 섬기다가, 뒤에 마승비구로 인하여 석존께 귀의함. 자기의 수행에 정진함과 동시에 남을 교화하기에 노력, 석가교단 가운데 중요한 지위의 인물. 부처님보다 먼저 입적함. 참고 부처님(1074)-국어사전 : 의 높임말.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

지혜(智慧)란? 2023.09.20

상진실(相眞實,1271)-뉴사전

상진실(相眞實,127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상(相)으로서의 진실. 개아(個我 산, pudgala)와 그것의 구성요소(산, dharma)에 관해, 객체(산, grahya)와 주체(산, grahaka)에 관해, 존재(산, bhava)와 비존재(산, abhava)에 관해 없는 것을 있다고 하는 견해(산, samaropa) 및, 있는 것을 없다고 하는 견해(산, apavada)가 일어나지 않게 된 경우를 상(相)으로서의 진실이라 함. 산, laksana-tattva 참고 상(相,1200)-국어사전 : ① 서로. 같이. ② 바탕. 질(質). ③ 보다. ㉠ 관찰하다. 시찰하다. ㉡ 점(占)·상(相) 같은 것을 보다. ④ 돕다. 보좌하다. ⑤ 용모. 사람의 상모·골격. 전하여, 널리 ..

경계(境界) 2023.09.19

평등법신(平等法身,2692)-뉴사전

평등법신(平等法身,269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평등적멸(平等寂滅)의 도리를 깨달은 팔지이상(八地以上)의 보살. 시방세계(十方世界)에 일시에 가지가지의 교화를 보여 부처님의 일을 하고, 게다가 왕래하거나 어떤 일을 한다고 하는 생각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 (해석예) 팔지이상의 법성생신(法性生身)의 보살. 참고 평등적멸(平等寂滅)→평등(平等,2692)-뉴사전 : ① 공통인 것. 산, samanya ②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 ③ 동등한 사람. 거의 같은 정도의 사람. ④ 귀하고 천함사이의 평등. ⑤ 미워하고 사랑하고 좋고 나쁨을 넘어 초연한 것. ⑥ 한결같이. 누구에게도 똑같이. 널리. ⑦ 조화. 신체의 구성요소인 바람, 열, 담(점액)간의 조화가 ..

보살(菩薩) 2023.09.18

식장(識藏,1506)-뉴사전

식장(識藏,150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뢰야식(識). 진여(眞如)인 여래장(如來藏)이 무명(無明)과 화합하여 아뢰야식(識)이 되고 일체의 사상(事象)을 나타내기 때문에 식장(識藏)이라 함. 참고 아뢰야식(阿賴耶識,1625)-뉴사전 : 아뢰야는 산, alaya-vijnana 산, alaya-akhya-vijnana중의 산, alaya의 음역. 식(識)은 산, vijnana의 한역. 티, kun gshi rnam (par)ses(pa) ① 현장(玄奘)이후의 새로운 역어이며, 구역으로는 아려야식(阿黎耶識)·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 한역하고 장식(藏識)이라고도 함. 유식설(唯識說)에서 말하는 가장 근본적인 식의 작용. 감춰진 잠재의식.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식. 실제로 계속 작..

세지변총(世智辨聰,1382)-뉴사전

세지변총(世智辨聰,138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속의 일에 영리하게 대처하는 모습. 세상에 살아가는 지혜가 있고 현명한 것. 부처님의 정법을 믿는 것이 불가능한 8난 중 하나. 참고 세속(世俗,1336)-국어사전 : ① 이 세상. 범속한 세상. 속세(俗世). ② 세상의 풍속. ...세속(世俗,1378)-뉴사전 : ① 널려진 세상의 일. 출세간(팔, lokuttara)의 반대. [원어는 판명되지 않음.] ② 제2의적(第二義的), 가설이란 뜻. ③ 세속적 입장. 세속적 입장에 있어 존재하는 것. 속제. ④ 세간과 같음.→세간 ⑤ 불교이외의 세간 일반적인 견해. ...세간(世間,1330)-국어사전 : ① 사람들이 살아가는 곳. 세상. ② 불교에서,‘변하며 흘러 멈추지 않는 현상..

지혜(智慧)란?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