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서구야니주(西瞿耶尼洲,1293)-뉴사전

서구야니주(西瞿耶尼洲,129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산, Aparagodaniya 팔, Aparagoyana. 수미산의 서쪽에 있는 대주(大洲). 서(西)는 한문, 구야니는 범어. 범어와 한문을 아울러 일컫는 말. 구야니(俱耶尼)·구다니(俱陀尼)·구가니(瞿伽尼)·구다니야(瞿陀尼夜)·과전니(過囀怩)라 음역. 우화(牛貨)라 번역. 여기서는 소가 많으므로 시장에서 금전과 같이 쓴다고 한다. 참고 수미산(須彌山,1433)-뉴사전 : 수미는 산, sumeru의 음역. 묘고산(妙高山)이라 한역함.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 대해(大海)속에 있고, 금륜(金輪) 위에 있으며, 그 높이는 수면에서 8만 요자나(산, yojana 由旬)이며 구산팔해(九山八海)..

오훈채(五葷菜,1715)-국어사전

오훈채(五葷菜,171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극성이 있는 다섯 가지의 채소. 불가(佛家)에서는 마늘·달래·무릇·김장파·실파를, 도가(道家)에서는 부추·자총이·마늘·평지·무릇을 이름. 참고 자극성(刺戟性,1940)-국어사전 : (감각·신경 따위를) 자극하는 성질. 채소(菜蔬,2271)-국어사전 : 밭에 가꾸어 먹는 온갖 푸성귀. 남새. 소채. ...푸성귀(2511)-국어사전 : 가꾸어 기르거나 저절로 나는 온갖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나물(419)-국어사전 : ① 식용할 수 있는 나뭇잎이나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그것을 무친 반찬. ② 채소를 여러 가지 양념으로 무친 반찬. 채(菜). ...반찬(飯饌,925)-국어사전 : 밥에 곁들여 먹는 음식. 부식(副食..

사문유관(四門遊觀,1167)-국어사전

사문유관(四門遊觀,116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석가가 출가하기 전 태자로 있을 때, 동문 밖에서는 노인을, 남문 밖에서는 병자를, 서문 밖에서는 송장을, 북문 밖에서는 도 닦는 이를 보고, 늙음·병·죽음 등에서 해탈하고자 출가를 결심한 일. 참고 석가(釋迦,1290)-국어사전 : ① 크샤트리아 계급, 곧 왕족에 딸린 종족의 하나. 석가모니는 이 종족에서 났음. ② 의 준말. ...석가(釋迦,1301)-뉴사전 : ① 석존이 속해있던 부족의 이름을 팔, Sakiya 팔, Sakiya 산, Sakya라고 하는데, 그 음역이 변하여 석존, 고타마·붓다라 함. ② 팔, Sakka의 음역. 제석천(帝釋天)이라고 하는 것. 티, brgya byin →서가 ...서가(釋迦,1292)-..

성허공십의(性虛空十義,1373)-뉴사전

성허공십의(性虛空十義,137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리의 그 자체는 허공과 같이 무장애(無障礙)·주변(周遍)·평등(平等)·광대(廣大)·무상(無相)·청정(淸淨)·부동(不動)·유공(有空)·공공(空空)·무득(無得)의 십(十)의 의미를 갖추고 있는 것. 참고 성(性,1317)-국어사전 : 불교에서, 사람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불변의 본질로서의‘법성(法性)’이나‘불성(佛性)’을 이르는 말. ...법성(法性,995)-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 참) 성(性). ...불성(佛性,1097)-국어사전 : ① 부처의 본성. ② 모든 사람이 본디 지니고 있는, 부처가 될 수 있는 자비스러운 성질. .....성(性,1350)-뉴사전 ..

북구로주(北俱盧洲,940)-뉴사전

북구로주(北俱盧洲,94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산, Uttara-kuruh「Dvipah」의 음역. 북에 있는 대륙. 북구로주(北瞿盧洲)라고도 쓰고, 울다라구루(鬱多羅拘樓)·올달라구로(殟怛羅句嚧)·욱다라구류(郁多羅究瑠)·울단월(鬱單越)이라 음역. 북승처(北勝處)·북승생(北勝生)·북고상(北高上)이라 번역. 수미(須彌) 4주(洲)의 1. 수미산의 북방 제칠금산(第七金山)과 대철위산(大鐵圍山) 사이에 큰 바다가 있고, 바다 가운데 있는 인취(人趣) 등이 사는 곳. 모양은 방좌(方座)와 같고, 지반(地盤)은 다른 3주(洲)보다 높으며, 사람의 키는 32주(肘), 목숨은 1000세, 중간에 조사(早死)하지 아니하고 쾌락이 끝이 없어 4주 중에서 중생·처소·재물·물품들이 모두 수승하다고..

법열(法悅,995)-국어사전

법열(法悅,9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마음에서 일어나는 기쁨. ② 깊은 이치를 깨달았을 때의 사무치는 기쁨. 참고 불법(佛法,1095)-국어사전 : 부처의 가르침. 불교(佛敎). 비) 불도(佛道). ...불법(佛法,967)-뉴사전 : ①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法). 눈을 뜬 사람의 이법(理法). 교법(敎法). 부처님이 설한 법. 부처님의 가르침. 불교의 기초가 되는 근본. 산, buddha-dharma ② 부처님의 여러 미덕. 부처님의 훌륭한 덕. 부처님의 모습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부처님의 특성. ③ 부처님이 되는 재료. 깨달음의 자료. 육도(六度). (해석예) 결실. 부처님의 결실. 불소설(佛所說)의 교법, 불소득(佛所得)의 법. 불소..

불법(佛法) 2023.09.29

법성종(法性宗,995)-국어사전

법성종(法性宗,9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개창(開創)한 불교의 한 종파. 해동종(海東宗). 참고 법성(法性,995)-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 참) 성(性). ...법성(法性,822)-뉴사전 : 제법(諸法 : 모든 존재·모든 현상)의 진실한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를 말하고, 불교의 진리를 나타내는 말의 하나로, 진여·실상·법계 등의 다른 이름으로서 사용된다. 도리. 규칙. ① 법인 것. 법이 법으로서 성립하고 있는 근거. ② 연기(緣起)의 이법(理法)이 정하고 있는 것. ③ 법의 자성(自性 : 본체). ④ 존재의 진실로서 불변의 본성. 존재로서 존재하게 하는 것. ⑤ 사물의 본성..

원효(元曉) 2023.09.28

법험(法驗,997)-국어사전

법험(法驗,99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법(佛法)의 영험. 수도를 함으로써 나타나는 효험. 참고 법(法,992)-국어사전 : ① 국가의 강제력이 따르는 온갖 규범. ② [불교에서] ㉠ 삼보(三寶)의 하나. ㉡ 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 ...법(法,804)-뉴사전 : (Ⅰ) 보통은 dharma의 한역. 법(*산. dharma)은 *산. dhr에서 유래하고,「지키는 것, 유지하는 것」, 특히「인간의 행위를 유지하는 것」이 원래의 뜻이라 생각됨. 인도의 일반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① 관례. 습관. 풍습. 행위의 규범. ② 해야할 것. 도리. 의무. 사리. ③ 사회적 질서. 사회제도. ④ 선. 선한 행위. 덕. ⑤ 진리. 진실. 이..

법신덕(法身德,995)-국어사전

법신덕(法身德,9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덕(三德)의 하나. 열반을 얻은 이에게 갖추어진 덕. 곧, 영구불멸의 법성(法性)을 구비함을 이름. 참고 삼덕(三德,1219)-국어사전 : ① 정직(正直)·강(剛)·유(柔)의 세 가지 덕. ② 지(智)·인(仁)·용(勇)의 세 가지 덕. ③ 기독교에서 이르는, 믿음·소망·사랑의 세 가지 덕. ④ 불교에서 이르는, 법신(法身)·반야(般若)·해탈(解脫), 또는 지덕(智德)·단덕(斷德)·은덕(恩德)의 세 가지 덕. ...덕(德,599)-국어사전 : ① 고매하고 너그러운 도덕적 품성. ② 윤리적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 ③ 은혜나 덕택. ④ 의 준말. ...공덕(功德,220)-국어사전 : ① 공적과 덕행. ② 불교에서, 현..

법수(法水,995)-국어사전

법수(法水,9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의 번뇌를 깨끗이 씻어 정(淨)하게 한다 하여‘불법(佛法)’을 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중생(衆生,2171)-국어사전 : ① 많은 사람들. ② 불교에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불자(佛子). 제유(諸有). ...중생(衆生,2387)-뉴사전 : ① 생존하는 것. 목숨이 있는 것. 이 세상에 생을 얻은 것. 산것. 살아있는 것. 살고자하여 살 수 있는 것. 특히 인간. 사람들. 여러 사람. 세상 사람. 세상의 많은 사람들. 중생에는 중인(衆人)과 함께 산다는 의미. 중다(衆多)의 법이 거짓으로 화합하여 산다는 의미. 중다(衆多)의 생사를 거치는 의미 등이 있음. 중생이라는 것은 옛..

불법(佛法) 202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