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9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2399)-국어사전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239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계 육천(欲界六天) 가운데 여섯째 하늘. 맨 위의 하늘로서, 이곳에 태어난 이는 남의 즐거움을 자기의 즐거움으로 바꿀 수 있다고 함. 또, 이 하늘에 마왕이 산다고도 함. 참고 욕계 육천(欲界六天)→육욕천(六欲天,1829)-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삼계(三界) 중 욕계에 딸린 여섯 하늘. [사왕천(四王天)·도리천(忉利天)·야마천(夜摩天)·도솔천(兜率天)·화락천(化樂天)·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육욕천(六欲天,1983)-뉴사전 : 삼계(三界) 가운데, 욕계(欲界)에 속하는 여섯 종류의 천(天). (1) 사천왕중천(四天王衆天 산, Catur-maharaja-kayiah[devah]. 증상천(增長天)과 광목천(廣目..

생사해탈(生死解脫,1288)-뉴사전

생사해탈(生死解脫,128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생사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참고 생사(生死,1271)-국어사전 : ① 삶과 죽음. ② 태어남과 죽음. ...생사(生死,1286)-뉴사전 : ① 생과 사.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 ② 생사에. 미혹의 세계. 유전(流轉)의 모습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 미혹. 미혹의 모습. 미혹의 생활. 현실 사회의 고뇌. 태어남과 죽음이 번갈아 끊임이 없는 미혹의 세계. 윤회와 같음.→윤회 ...유전(流轉,1821)-국어사전 : ① 이리저리 떠돌아다님. ② 불교에서, 번뇌 때문에 생사(生死)를 수없이 되풀이하며,‘미망(迷妄)의 세계를 떠도는 일’을 이르는 말.↔환멸. ...유전(流轉,1958)-뉴사전 : 미혹이 계속되는 것. 미망(..

각(覺) 2023.09.04

소아(小我,1355)-국어사전

소아(小我,135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교에서, 개인적인 감정이나 욕망 따위에 사로잡힌 나를 이르는 말. ② 철학에서, 우주의 유일하고도 절대적인 실체에 대하여 인간으로서의 작은 자아를 이르는 말. 에고(ego).↔대아(大我).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

사혹(四惑,1145)-뉴사전

사혹(四惑,114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치(我癡)·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를 말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네 종류의 번뇌. 참고 아치(我癡,1647)-뉴사전 : 자아에 관한 미망(迷妄). 산, atma moha 티, bdag tu-rmons(pa) 나에 관한 무지(無知). 산, atmany ajnanam). 4번뇌 중 하나. ...미망(迷妄,883)-국어사전 : (사리에 어두워) 실제로는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일, 또는 그런 잘못된 생각. ...미망(迷妄,710)-뉴사전 : 도리(道理)에 어둡고 잘못된 생각을 갖는 것. 아견(我見,1614)-뉴사전 : ① 자아라는 견해. 자아에 대한 견해. 자아 존재에 대한 생각. 인간에게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주체가..

식무변처(識無邊處,1503)-뉴사전

식무변처(識無邊處,150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식처(識處)라고도 함. 공무변처(空無邊處)를 넘어 식(識)을 무변(無邊)이라고 관(觀)하는 선정. 인식작용의 무한성에 대한 삼매(三昧)의 경지. 외부의 허공의 상(相)을 멀리하고 내부의 식(識)을 관(觀)하여 식(識)이 무변(無邊)이라는 생각을 이루는 것. (BS) vijnananantyayatana 참고 식처(識處,1507)-뉴사전 : 식무변처(識無邊處)와 같음. 팔, vinnanancayatana 공무변처(空無邊處,142)-뉴사전 : 무량공처(無量空處)라고도 함. 물질적 존재가 절대무(絶對無)인 공간의 무한성에 대한 삼매(三昧)의 경지. 욕계(欲界)와 색계(色界)에서 일체의 물질적인 형태를 벗어나 일체의 작의(作意)가 없고..

삼계화택(三界火宅,1218)-국어사전

삼계화택(三界火宅,12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삼계의 괴로움을 불난 집에 비유한 말로,‘고뇌가 가득한 세계’를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

苦(四苦八苦) 2023.08.31

삼계팔고(三界八苦,1217)-국어사전

삼계팔고(三界八苦,121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삼계의 중생이 겪는다고 하는 여덟 가지 고통. [생로병사와 애별리(愛別離)·원증회(怨憎會)·구부득(求不得)·오음성(五陰盛).]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

삼계제천(三界諸天,1217)-국어사전

삼계제천(三界諸天,121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에 있는 모든 하늘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

윤회전생(輪廻轉生,1832)-국어사전

윤회전생(輪廻轉生,183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중생이 번뇌나 업(業) 따위로 말미암아 삼계 육도(三界六道)를 돌고 돌면서 생사를 끊임없이 반복함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

탐착(貪着,2408)-국어사전

탐착(貪着,24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만족한 줄 모르고 더욱 사물에 집착함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를 이..

집(執 : 집착) 2023.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