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30

이승(二乘,1883)-국어사전

이승(二乘,188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제곱’의 구용어. ② 불교에서, 성문승과 연각승. 성문승과 보살승. 대승과 소승을 각각 아울러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

승(乘)이란? 2023.08.17

사선(四禪,1173)-국어사전

사선(四禪,117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욕계(欲界)를 떠나 색계(色界)에서 도를 닦는, 초선(初禪)·이선·삼선·사선의 네 과정, 또는 그 넷째 과정.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성경(聲境,1318)-국어사전

성경(聲境,13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육경(六境)의 하나.‘귀로 들을 수 있는 대상’을 이르는 말. 참고 육경(六境,1827)-국어사전 : 불교에서, 육식(六識)으로 인식하는 여섯 가지 대상인‘색경(色境)·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을 이르는 말. ...육경(六境,1775)-국어사전 : [불교] 육식(六識)의 대상이 되는 여섯 경계[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총칭.] ...육경(六境,1966)-뉴사전 : 육근(六根)의 여섯종류의 대상. 색(色 : 形과 色)·성(聲)·향(香)·미(味)·촉(觸 : 신체에 접촉하여 지각되는 것)·법(法 : 의식의 사고대상). 인식작용의 대상을「경(境)」이라 하지만, 특히 오관(..

법계불(法界佛,993)-국어사전

법계불(法界佛,9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래(如來)는 법계에 널리 통한다는 데서]‘여래’를 달리 일컫는 말. 참고 법계(法界,993)-국어사전 : ① 불법의 범위. ② 불교도의 사회. ③ 의 준말. ...법계(法界,806)-뉴사전 : 본디부터 법계의 법(산, dharma)이라 함은 dhar에서 유래하고, 지키는 것의 뜻으로, 그중에서도,「인간의 행위를 보존하는 것」이 원래의 뜻. 계(界)(산, 팔, dhatu)는 dha로부터 만들어진 남성명사로, 원래는 요소(要素)를 의미했으나, 불교에 들어오고 나서, 이에「계(界)」라든가「성(性)」의 의미가 덧붙여졌다고 생각됨. 법은 제법(諸法), 계는 분계(分界)의 의미로, 제법은 각자체(各自體)이고, 분계부동(分界不同)한 것을 ..

법계(法界) 2023.08.14

법공양(法供養,993)-국어사전

법공양(法供養,9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가르침을 중생에게 전해 주는 일. [불경을 읽어 들려주거나 공양을 하는 따위.] 참고 법(法,992)-국어사전 : ① 국가의 강제력이 따르는 온갖 규범. ② [불교에서] ㉠ 삼보(三寶)의 하나. ㉡ 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 ...법(法,804)-뉴사전 : (Ⅰ) 보통은 dharma의 한역. 법(*산. dharma)은 *산. dhr에서 유래하고,「지키는 것, 유지하는 것」, 특히「인간의 행위를 유지하는 것」이 원래의 뜻이라 생각됨. 인도의 일반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① 관례. 습관. 풍습. 행위의 규범. ② 해야할 것. 도리. 의무. 사리. ③ 사회적 질서. 사회제도. ④ 선. ..

공양(供養) 2023.08.13

방생(放生,945)-국어사전

방생(放生,94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사람에게 잡혀 죽게 된 생물을 놓아주는 일.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를 이루고 있는..

오계(五戒) 2023.08.12

복전(福田,1042)-국어사전

복전(福田,104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복을 거두는 밭이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공양을 받을 만한 법력이 있는 이에게 공양하고 선행을 쌓아서 내생(來生)의 복을 마련하는 일을 뜻하는 말. 참고 복(福,1035)-국어사전 : ① 편안하고 만족한 상태와 그에 따른 기쁨. 좋은 운수. 복조(福祚). 행복. ② 좋은 운수로 얻게 되는 기회나 몫. ...복(福,899)-뉴사전 : ① 공덕. 선. 가치 있는 행위. 산, punna 산, punya [-phala] 산, punya-skandha (많은 공덕. 큰 공덕의 집적). 산, punya [正法華에는「功德」이라 있음.] (해석예) 복은 복덕의 뜻으로, 공덕과 같다. ② 법을 실행한 것으로부터 생기는 좋은 과보. 좋은 행위의 업..

복(福) 2023.08.11

조문석사(朝聞夕死,2108)-국어사전

조문석사(朝聞夕死,21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침에 진리를 들어 깨치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없다는 뜻으로] 짧은 인생이라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말. [도(道)를 알아야 함을 강조한 공자의 말로,‘논어’의‘이인편(里仁篇)’에 나옴.] 참고 아침(1525)-국어사전 : ① 날이 샐 때부터 아침밥을 먹을 때까지의 동안. 날이 새고 얼마 되지 아니한 때. ② 의 준말.↔저녁. 진리(眞理,2216)-국어사전 : ① 참된 도리. 바른 이치. ② 어떤 명제가 사실과 일치하거나 논리의 법칙에 맞는 것. ③ 언제나, 또는 누구에게나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인식의 내용. 참. ...진리(眞理,2455)-뉴사전 : ① 진실한 이치. 진실. 진실의 궤범(軌範). 이(理)는 사(事)에 대한 ..

도(道)란? 2023.08.10

심불(心佛,1483)-국어사전

심불(心佛,148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엄종에서, 수행한 결과로 깨달아 얻는 불신(佛身)의 경지 열 가지 중의 하나. 곧, 만유의 본체가 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참고 화엄종(華嚴宗,2645)-국어사전 : 불교 교종(敎宗)의 한 파.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신문왕 때 의상 대사(義湘大師)가 개종(開宗)하였음. 참) 부석종. ...화엄종(華嚴宗,2856)-뉴사전 : 8종의 1.「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교의를 조직대성(組織大成)한 현수의 이름을 따서 현수종(賢首宗)이라고도 한다. 이 종은 중국 불교의 전성 시대에 삼론종·천태종·율종·정토종 등 여러 종파에 대립하여 통합적인 불교로서 성립되다. 두순(..

마음이란? 2023.08.09

밀장(密藏,895)-국어사전

밀장(密藏,8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몰래 감추어 둠. ② 불교에서, 진언종(眞言宗)의 경전(經典)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한국불교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