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30

탐착(貪着,2408)-국어사전

탐착(貪着,24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만족한 줄 모르고 더욱 사물에 집착함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를 이..

집(執 : 집착) 2023.08.27

탐애(貪愛,2408)-국어사전

탐애(貪愛,24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남의 물건은 탐내고 제 것은 몹시 아낌. ② 불교에서,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의 오진(五塵)을 탐하여 집착함.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육경(六境) 2023.08.26

소욕지족(少欲知足,1399)-뉴사전

소욕지족(少欲知足,139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심이 적어 약간의 것에 만족하고 있는 것. 어떤 적은 것에도 만족하는 것. .....십이인연(十二因緣,1589)-뉴사전 : 인간의 고통, 고민이 어떻게 해서 성립하는지를 고찰하고, 그 원인을 추구하여 12가지 항목의 계열을 세운 것. 존재의 기본적 구조의 12구분. 연기(緣起)의 이법(理法)을 12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설명한 것. 생존의 조건을 나타내는 12가지의 계열. 늦게 성립된 해석에 의하면, 중생이 과거의 업에 의해 현재의 과보를 받고, 또한 현세의 업에 의해 미래의 과보를 받는 인과의 관계를 12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 것. (1) 무명(無明 : 무지), (2) 행(行 : 잠재적 형성력), (3) 식(識 : 식별작용)..

여실불공(如實不空,1721)-뉴사전

여실불공(如實不空,172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여(眞如)를 불공(不空)의 방면에서 고찰하는 것. (진여의 배정면(背定面). 더러움이 없는 본래의 훌륭한 덕이 그 본체에 갖추어져 있음.) 여실공(如實空)의 반대.→여실공 참고 진여(眞如,2218)-국어사전 : [진실함이 언제나 같다는 뜻으로] 대승불교의 이상 개념의 한 가지. 우주 만유의 실체로서, 현실적이며 평등 무차별한 절대의 진리. 진성(眞性). 참) 실성(實性). ...진실(眞實,2218)-국어사전 : 거짓이 없이 바르고 참됨. ...진실(眞實,2459)-뉴사전 : ① 있는 그대로의 모습. 산, tathatva「不見眞實」팔, yathabhutassa adassana ② 진실되어 거짓이 없는 것.「眞實不虛故」 ③ 충실..

진여(眞如) 2023.08.24

육종산란(六種散亂,1989)-뉴사전

육종산란(六種散亂,198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잡집론(雜集論)」(1권)에서 설한 6종의 산란(散亂). (1) 자성산란(自性散亂). 오식(五識)의 자성(自性)이 산란(散亂)하여 있는 것. (2) 외산란(外散亂). 선(禪)을 닦을 때 외적대상에 의해 마음이 흐트러지는 것. (3) 내산란(內散亂). 선정(禪定)을 닦을 때 마음이 정(定)에 집착하여 흐트러지는 것. (4) 상산란(相散亂). 위선을 행하고 마음이 편안하지 못한 것. (5) 추중산란(麤重散亂). 번뇌에 사로잡혀 마음이 고요하지 못한 것. (6) 작의산란(作意散亂). 다른 가르침에 따라 마음이 흐트러지는 것.→산란(散亂). 참고 잡집론(雜集論,2216)-뉴사전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다른 이름. .....대승아비달..

산란(散亂) 2023.08.23

실상반야(實相般若,1535)-뉴사전

실상반야(實相般若,153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반야의 1. 반야는 지혜 또는 명(明)이라 번역. 문자반야와 함께 반야에 의하여 관조(觀照)되는 경계로서, 반야로 증득할 바 이체(理體). 천태종에서는 중도실상(中道實相)의 이치를 깨닫는 일체종지(一切種智)라 함.→삼반야 참고 삼반야(三般若,1183)-뉴사전 : 반야에 문자반야(文字般若)·관조반야(觀照般若)·실상반야(實相般若)를 세우는 것. (1) 문자반야. 문자로 나타낸「반야경」이 반야의 지혜는 아니나, 반야를 전현(詮顯)하는 방편이므로 이렇게 이름. (2) 관조반야. 모든 법의 실상을 관조함이 반야 지혜의 작용이고, 관조하는 체(體)인 지혜는 반야이므로 이렇게 이름. (3) 실상반야. 모든 법의 실상·무상(無相)·공적(空..

지혜(智慧)란? 2023.08.22

진공묘유(眞空妙有,2452)-뉴사전

진공묘유(眞空妙有,245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를 공이라 하여 부정했을 때, 갖가지 사물은 그대로 긍정되어 묘유라고 하는 것. 또 진리 내지는 진여(眞如)가 일체의 망상을 떠나 증가하지도 줄지도 않는 집착을 떠난 모습을 진공이라 칭하며, 상주불변(常住不變)하고 더욱이 현실을 성립시키는 진실의 유(有)인 점을 묘유(妙有)라 함. 본래 진실의 공은 묘한 현실의 생성, 전개가 되는 것임을 말한 것. 참고 진공(眞空,2452)-뉴사전 : ① 아트만(산, atman)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 ② 소승불교애서 설하는 열반을 가리켜 말함. 허위가 아니므로 진이라하며, 일체의 상(相 ; 특성)을 떠나있는 까닭에 공이라 함. ③ 진리의 본성이 모두 범부의 미혹을 떠나 있는 상태. ④..

삼종발심(三種發心,1226)-뉴사전

삼종발심(三種發心,122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기신론」에서 설한 것.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초주(初住)에서 제10주(住)의 자리에 이르면 신심(信心)의 성취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발하는 것. (2) 해행발심(解行發心). 십행(十行) 내지 십회향(十廻向)의 자리에서 이치를 이해하고 도(道)를 행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내는 것. (3) 증발심(證發心). 초지(初地)에서 제10지에 이르는 자리로 법성(法性)을 증득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내는 것을 말함. 참고 발심(發心,934)-국어사전 : ① 무슨 일을 하겠다고 마음을 먹음. ② 불도(佛道)에 들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킴. ...발심(發心,758)-뉴사전 : ① 구도의 생각을 일으키는 것. 불도에 들어가, 깨달음의 지혜를..

후광(後光,2673)-국어사전

후광(後光,267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교에서, 부처의 몸에서 비치는 광명의 빛, 또는 그것을 형상화한 불상 뒤의 둥근 금빛의 테. 광배(光背). 배광(背光). 원광(圓光). ② 기독교에서, 성화(聖畵) 중의 인물을 감싸는 금빛. ③ 어떤 인물 또는 사물을 더욱 빛나게 하는 배경.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제석천(帝釋天,2095)-국어사전

제석천(帝釋天,20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도리천(忉利天)의 임금. 범왕(梵王)과 더불어 불법을 지키는 신. 준) 제석. 참고 도리천(忉利天,616)-국어사전 : 욕계 육천(欲界六天) 가운데 둘째 하늘. 남섬부주(南贍部洲)에 있는 수미산(須彌山) 꼭대기에 있는데, 중앙에 제석천이 사는 선견성(善見城)이 있으며, 그 사방에 팔천(八天)씩 도합 33천(天)으로 이루어져 있음. 이곳의 중생이 음욕을 행하면 인간이 된다 함. 삼십삼천. ...도리천(忉利天,483)-뉴사전 : 도리(忉利)는 산, Trayastrimsa 팔, Tavatimsa(33)의 음역. 33천(三十三天)이라 한역함. 욕계의 6천(六天)중 두 번째. 수미산 정상에 있고, 제석천(帝釋天 : 인드라신)은 여기에 산..

불법(佛法) 202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