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30

성소작지(成所作智,1362)-뉴사전

성소작지(成所作智,136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루어야 할 것을 완수하는 지(智). 오지(五智)의 하나. 더러움속에 있는 전오식(前五識)을 바꾸어 이 지(智)를 얻는다. 이 지(智)에 의해 사람들을 구제하여 이루어야 할 일을 이룬다. 산, anusthanam nispattih (해석예) 오식을 성소작지(成所作智)라고 이름한다. …무루(無漏)의 안식 내지 신식(眼識乃至身識)의 5가지는 모두 신통변화의 소작(所作)을 이루는 것이 뛰어나며 이런 까닭에 성소작지(成所作智)라고 이름함. 참고 이루다(1876)-국어사전 : ① 어떤 상태나 결과가 되게 하다. ② 일을 마무리 짓다. ③ 뜻한 바를 얻다. 뜻대로 되게 하다. 완수(完遂,1733)-국어사전 : (목적이나 책임을) 모두 이..

사지(四智) 2021.04.10

팔부정견(八不正見,2671)-뉴사전

팔부정견(八不正見,267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바른 이치에 어기는 8종의 견해. (1) 아견(我見). 참으로 아(我)의 체(體)가 있다는 미(迷)한 소견. (2) 중생견(衆生見). 5온(蘊)이 화합하여 된 것이 중생이라는 미한 소견. (3) 수명견(壽命見). 길고 짧은 수명이 실지로 있다는 미한 소견. (4) 사부견(士夫見). 중생에게 참으로 남자다운 능력이 있어서 일체의 작업을 짓는다는 미한 소견. (5) 상견(常見). 내 몸은 이 세상에서 다음 세상으로 상속(相續)되어 없어지지 않는다는 미한 소견. (6) 단견(斷見). 내 몸은 이 세상에서 죽으면 다시는 태어나지 않고 아주 없어진다는 미한 소견. (7) 유견(有見). 모든 법이 참으로 있는 것이라고 하는 미한 소견. ..

정심행처(正心行處,2293)-뉴사전

정심행처(正心行處,229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매(산, 팔, samadhi)의 한역(漢譯). 삼매는 마음의 작용의 사곡(邪曲)을 바르게 하는 것에 의함. 참고 삼매(三昧,1177)-뉴사전 : 산, 팔, samadhi의 음역. 3마지(摩地)·3마제(摩提)라고도 함. 정(定)·정수(定受)·등지(等持) 등이라고 한역함. ① 마음이 조용히 통일되어 안락하게 되어 있는 상태. 어떤 것에 마음을 집중시킴으로써 마음이 안정된 상태에 들어가는 것. 선정(禪定)과 동의어.「대지도론」(5)에「一切禪定, 亦名定, 亦名三昧」라 함. 고요한 마음. 마음이 조용해진 상태. 마음을 전주(專注)하여 무념(無念)하는 것.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한 종교적 명상의 경지. 마음을 전주(專注)하는 것. 종교적..

삼매(三昧) 2021.04.08

푸드가라(2704)-뉴사전

푸드가라(270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산, pudgala 팔, puggala 사람, 개체, 개인존재라는 뜻.「종종 오취(五趣)를 취해 윤회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수취취(數取趣)라고 한역하기도 함. 윤회(輪廻)의 주체. 거의 아(我)와 동의(同義)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음. 보특가라(補特伽羅) 등으로 음역함.→보특가락→수취취(數取趣) 참고 사람(1162)-국어사전 : ① 가장 진보된 고등 동물. 지능이 높고 서서 걸으며, 말·연모·불을 사용하면서 문화를 만들어 내고, 사유하는 능력을 지님. 인간. 인류. ② 법률상 권리와 의무의 주체인 자연인. ③ 사회나 집단의 구성원. ④ 어느 고장의 출신자. 겨레붙이. ⑤ 어른. 성인. ⑥ 인격자. 도덕적 인간. ⑦ 사람됨. 인품. ⑧ ..

제일의적멸(第一義寂滅,2328)-뉴사전

제일의적멸(第一義寂滅,232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실상(實相)의 묘리가 법 가운데 제일이므로 제일이고, 일체 언어·사고의 경계를 초탈했으므로 적멸이라 한 것. 곧 열반을 가리키는 말. 참고 제일의(第一義,2327)-뉴사전 : ① 최고의 법. 산, (imam)agra-dharman…「正法華에는「是大尊法」이라 되어 있다.」② 뛰어난 도리. 최고의 도리. 궁극의 진리. 가장 뛰어난 진실의 도리. 도리. 진리. 진실의 모습. 진제(眞諦)·승의제(勝義諦)와 동일.→진제→승의제 산, parama-artha 티, dam pahi don ③ 유일 절대의 경지. 유일의 도리.「유거제일의」산, ekayanatam gatah ④ 완성한 것. 성취한 것. 진실. 삼성(三性)의 하나인 원성실성(..

마음 갈 곳이 없도록 하라(참선경어-제1장-32-49페)

마음 갈 곳이 없도록 하라(참선경어-제1장-32-49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2. 마음 갈 곳이 없도록 하라 참선하는 데에는 어디에고 마음 쓸 곳이 없어야(心行處滅) 한다. 그런 중에 옛사람들이 도를 묻고 대답한 기연(機緣)을 생각하는 데 마음을 쏟아서는 절대로 안된다. 동산(洞山 : 807~869)스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갖가지 묘한 경계를 체험하고도 근본 종지(宗旨)를 잃어버려서 본말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근기가 되면 함께 도를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 만일 도리를 깨달았으면 하나하나가 모두 삼매(三昧)여서 자기 마음속에서 흘러 나오게 되니 이러한 깨달음은 사유 조작과는 천지차이 정도가 아니다. 참고 심행처멸(心行處滅,1556)-뉴사전 : 진리는 깊고 심오한 것으로, 사..

실상진여(實相眞如,1536)-뉴사전

실상진여(實相眞如,153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존재의 있는 그대로의 상(相)을 말함. 인집(人執)·법집(法執)을 여읠 때 모든 존재의 실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함. 7진여(眞如)의 하나. 참고 제법(諸法,2317)-뉴사전 : 개체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 존재하는 모든 것. 모든 사물. 모든 것. 제사상(諸事象). 현상(現象)하고 있는 것. 모든 존재하는 것. 모든 물체. (해석예) 모든 불법. 그대로(324)-국어사전 : ① (더하거나 고치거나 변하지 않고) 전에 있던 것과 같이. ② 그냥. 상(相,1245)-뉴사전 : ① 모습. 형태. 상태. 양상. 양태. 모양. 외견의 모습. 밖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 ② 특질. 특징. ③ 성질. ④ 생각한다고 하는 것. 상(想)과..

진여(眞如) 2021.04.04

심외무불(心外無佛,1551)-뉴사전

심외무불(心外無佛,155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마음(心性)이 즉, 부처이므로 마음이외에 부처를 구해서는 안된다고 하는 뜻. 참고 마음(742)-국어사전 : ① 사람의 몸에 깃들여서 지식·감정·의지 등의 정신 활동을 하는 것, 또는 그 바탕이 되는 것. ② 거짓 없는 생각. ③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일어나는) 기분. 느낌. ④ (어떤 사물이나 행동에 대하여) 속으로 꾀한 뜻. ⑤ 심정(心情). ⑥ 사랑하는 정. ⑦ 성의. 정성. 준말 : 맘. ...마음(713)-국어사전 : ① 사람의 지(智)·정(情)·의(意)의 움직임. 또, 그 움직임의 근원이 되는 정신적 상태의 총체. 감정. ② 시비 선악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정신 활동. ..

마음이란? 2021.04.03

극식(剋識,267)-뉴사전

극식(剋識,2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➀ 마음에 새겨 기억하는 것. 우리 마음에 깊게 새겨서 잊혀지지 않는 것. 새겨넣어지는 것. 확실히 기록함. 기록함. ➁ 극(剋)은 반드시의 뜻. 식(識)은 기록하는 것. 천신(天神)이 반드시 사람의 선악을 기록하는 것을 말함. 참고 마음(742)-국어사전 : ① 사람의 몸에 깃들여서 지식·감정·의지 등의 정신 활동을 하는 것, 또는 그 바탕이 되는 것. ② 거짓 없는 생각. ③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일어나는) 기분. 느낌. ④ (어떤 사물이나 행동에 대하여) 속으로 꾀한 뜻. ⑤ 심정(心情). ⑥ 사랑하는 정. ⑦ 성의. 정성. 준말 : 맘. ...마음(713)-국어사전 : ① 사람의 지(智)·정(情)·의(意)의 움직임. 또,..

인과(因果) 2021.04.02

수연진여(隨緣眞如,1443)-뉴사전

수연진여(隨緣眞如,144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연(조건)에 따라서 생멸이 끊임없는 현상. 진여가 미혹과 깨달음의 연에 의해 차별·대립이 있는 제현상을 나타내는 방면을 이름하여 말함. 진여 곧 우주의 본체는 불변부동하는 것이나, 마치 물이 외연(外緣)인 바람에 의하여 물결이 일어남과 같이, 외부의 무명인 연에 응하여 삼라만상을 내고, 또 물결이 물의 성질을 잃지 아니함과 같이, 삼라만상의 사상(事相)은 마침내 불변하는 진여의 성을 변한 것은 아니다. 그리하여 만법이 곧 진여요, 진여가 곧 만법인 것. 이 외연에 의하여 만법을 내는 부문에서 진여를 수연이라 함. 불변진여(不變眞如)의 반대. 참고 연(緣,1733)-뉴사전 : ① 원인. 원인의 일반. 모든 조건. 자세히는 연을 ..

진여(眞如) 20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