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회(輪廻) 윤회(輪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msara의 번역으로, 僧婆洛이라 音譯하고, 淪廻라고도 쓴다. 또 生死라고도 번역하고, 生死輪廻 · 輪廻轉生 · 流轉 · 輪轉이라고도 한다. 수레 바퀴가 굴러서 끝이 없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業에 의해서 三界 六道의 .. 불교 2013.06.29
강화도 보문사 순례 강화도 보문사 순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지난 6월 17일에 보문사를 다녀 왔습니다. 이날 아침에 일어나서 갑자기 관세음보살님이 뵙고 싶은 생각이 일어나 부랴부랴 간단하게 챙겨서 다녀온 것입니다. 마애관세음보살님을 뵙고 절을 올린 후 감개가 무량하여 역.. 불교 2013.06.28
번뇌(煩惱) 번뇌(煩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lesa의 번역. 吉隷捨로 음역하고, 惑이라고도 번역한다. 중생의 몸이나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고 어지럽히고 미혹하게 하여 더럽히게 하는 정신작용의 총칭. 그 성질은 不善 및 有覆無記이다. 중생은 번뇌에 의해서 업.. 불교 2013.06.27
향(香) 향(香)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태워서 향을 피우거나 즙을 낸 향료로 좋은 냄새를 내는 것을 말 하는데 인도 등의 아열대 지방에서는 일찍부터 불결한 냄새를 지우는데 즐겨 사용되어 왔다. 또 불결한 곳에는 신성이 깃들지 않는다는 사고로 신을 모시는 곳에는 언제.. 불교 2013.06.26
보리달마(菩提達磨) 보리달마(菩提達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중국 선종의 初祖. 서천 28조의 제28. 남인도 향지국왕의 세째아들. 처음 반야다라에게 도를 배우고, 40 년 동안 섬기다가 반야다라가 죽은 뒤에 본국에서 크게 교화하여 당시 성행하던 小乘禪觀의 6宗을 굴복시키어 이름.. 불교 2013.06.25
절(拜) 절(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흔히 절이란 절하러 가는 곳이란 이야기를 스스럼없이 한다. 그만큼 불교에서 절은 필수불가결의 예절처럼 통용된다. 비록 교리나 설법을 알아 듣지 못해도 지극정성의 절공양은 어느 수행보다도 값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래서 .. 불교 2013.06.24
업(業) 업(業)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arman의 번역. 羯磨라 音譯한다. 造作의 뜻. 行爲 · 所作 · 意志에 의한 身心의 활동, 意志에 의한 身心의 생활을 의미한다. ① 일반으로 業을 身 · 語 · 意의 三業으로 나눈다. 有部의 해석에 따르면, 이러이러한 것을 하려.. 불교 2013.06.22
오체투지(五體投地) 오체투지(五體投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께 귀의하여 공경,예배하는 큰절의 형태로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상의 존경을 표시하는 몸의 동작이며 교만과 거만을 떨쳐 버리는 가장 경건한 예법이다. 오체투지의 큰절은 전통적 생활예법인 큰.. 불교 2013.06.20
팔정도(八正道) 팔정도(八正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正道(팔정도)라는 말은 여덟가지 바른 道(도)라는 말인데 聲聞小乘(성문소승)이 苦集滅道四諦法(고집멸도사제법)을 修行(수행)함에 있어서 苦集滅道(고집멸도)라는 道諦(도제)가 곧 八正道(팔정도)를 가르킨 것입니다. 그러.. 불교 2013.06.19
大乘佛敎의 주인공인 菩薩 大乘佛敎의 주인공인 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불교의 여명은 보살 운동과 더불어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 보살 정신은 위기에 처한 현대 인류 문명을 구원할 이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류 역사의 발전 과정을 문명사적 관점에서 면밀히 추적한 역.. 불교 2013.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