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번뇌(煩惱)

근와(槿瓦) 2013. 6. 27. 04:45

번뇌(煩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lesa의 번역. 吉隷捨로 음역하고, 惑이라고도 번역한다. 중생의 몸이나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고 어지럽히고 미혹하게 하여 더럽히게 하는 정신작용의 총칭. 그 성질은 不善 및 有覆無記이다. 중생은 번뇌에 의해서 업을 일으키고, 괴로움의 報를 받아 미혹의 세계(生死)에 매어 있게 된다. 이것을 惑業苦의 三道라 한다.


그래서 불교는 번뇌를 끊고 열반의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번뇌는 그 작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이름을 갖는다. 隨眠 · 惑(이치에 어둡고 現象의 세계에 대해 미혹하여 알지 못하는 것) · 染 · 漏 · 結使 · 結 · 縛 ·  ·  · 暴流 · 取 ·  ·  · 使 · 垢 · 株 · 燒害 ·  · 林(번뇌의 수가 많은 것을 무성한 삼림에 비유한 것) · 塵勞 · 塵 · 客塵 · 諍根(다툼의 근본)이라고도 하고, 또 번뇌의 體 그것을 正使(다만 使라고도 한다), 體를 멸해도 역시 남아있는 관습의 기운을 習氣라고 한다. 모든 번뇌는 因力(아직 번뇌가 끊기지 않은 것) · 境界力(욕심 등에 순응하는 대상이 나타나는 것) · 加行力(대상에 대해서 非理· 作意를 일으키는 것)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한다.〔俱舍論 卷二十〕혹은 境界力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도 있다고도 한다.〔入阿毘達磨論 卷上〕

 


출처 : 불교학대사전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나무석가모니불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회(輪廻)  (0) 2013.06.29
강화도 보문사 순례  (0) 2013.06.28
향(香)  (0) 2013.06.26
보리달마(菩提達磨)  (0) 2013.06.25
절(拜)  (0) 201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