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보살의 질문(維摩經) 문수보살의 질문(維摩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그 때에 부처님께서는 문수보살에게 말했다. "문수여, 그대가 유마를 찾아가 병 문안을 하고 오너라." 문수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이시여, 유마를 찾아가 병 문안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는 존재.. 불교 2013.07.23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 그대로가 보리라는 것. 生死 즉 열반과 같이 쓰는 말. 중생의 迷見으로 보면 迷妄의 주체인 번뇌와 覺悟의 주체인 보리가 딴판이지만 깨달은 눈으로 보면, 두 가지가 그대로 하나이어서 차별이 없다는 근거에 두 .. 불교 2013.07.20
육식(六識) 육식(六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境을 知覺하는 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 · 意識의 총칭. 八識에 대해 말할 경우에는 이것을 前六識이라 하고 그 體에 대해서 俱舍 · 唯識論에서는 體別이라 하고 成實論에서는 體一이라 한다. 欲界엔 前六識이 있.. 불교 2013.07.19
나옹선사가 각오선인에게 나옹선사가 각오선인에게(普濟尊者示覺悟禪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念起念滅을 謂之生死이니 當生死之際하면 須盡力提起話頭어다 한 생각이 일어나고 한 생각이 꺼지는 것을 「생사」라 하는 것이니, 생사하는 즈음을 당하여 힘을 다해 화두를 잡아 들지어다 .. 불교 2013.07.16
소욕지족(少欲知足) 소욕지족(少欲知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喜足少欲 · 無欲知足이라고도 한다. 욕망을 적게 갖고 분에 맞는 것으로 족한 줄 알고 만족하는 것. 아직 얻지 못한 것에 대해서 과분한 탐욕을 생각지 않는 것을 少欲, 이미 가진 것이 적어도 뉘우치지 않는 것이 知足이.. 불교 2013.07.15
전오식(前五識) 전오식(前五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다섯가지 감각작용. 唯識宗에서 마음의 작용을 여덟으로 나눈 가운데서 객관의 대상을 감각 지각하는 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의 五識을 일컫는 말. 참고 유식종(唯識宗) : 法相宗 · 應理圓實宗 · 普爲乘敎宗 ·.. 불교 2013.07.14
블로그의 내용에 대하여... 안녕하십니까? 불자님 여러분! 저는 "불교사랑"을 관리하고 있는 근와입니다. 현재의 블로그를 개설해 운영해 온지 벌써 3개월에 접어드는군요. 그간 그다지 내세울 것이 없다고 생각되는 내용들을 올려 왔고 비록 소수이시긴 하지만 꾸준히 들려 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외로웁지는 않아 .. 불교 2013.07.13
자비(慈悲) 자비(慈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것을 慈, 중생의 고를 없애 주는 것을 悲라 한다. 반대로 고를 없애 주는 것을 慈, 낙을 베풀어 주는 것을 悲라 한다. 그러므로 두 가지를 다하는 拔苦與樂이 자비다. 또 衆生緣慈悲 · 法緣慈悲 · 無緣慈悲.. 불교 2013.07.12
식(識) 식(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毘闍那 · 毘若南이라 音譯하며, 外境을 識別 · 了別 · 인식하는 작용. 곧 마음의 작용을 가리켜 붙인 이름이며, 外境에 대해 內識이라고도 한다. 唯識宗에서는 外境을 識別하고 了別하는 것은 識의 外境으로서 顯現하는 것에 불.. 불교 2013.07.11
수면(隨眠) 수면(隨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煩惱의 別名. 煩惱는 우리를 궁지에 몰아 넣어서 身心을 잠들게 한다. 그 활동하는 상태는 아주 微細하 여 알기 어려우며 또 對境이나 相應心 · 心所와 서로 영향을 가지고 더욱 강하게 된다(隨增). 사람을 번뇌로 묶어 버리므.. 불교 201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