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단비(二祖斷臂) 이조단비(二祖斷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국 禪宗의 二祖인 神光慧可가 達磨의 제자가 되던 이야기. 달마가 嵩山의 小林寺에서 좌선하던 때에 눈이 오는 어느 날 밤에, 慧可가 道를 구하려고 왔다가, 날이 샐때까지 뜰에 서서 움직이지 아니하였다. 達磨는 「보.. ᄉ~ㅇ(시옷~이응) 2018.12.13
여전마후(驢前馬後) 여전마후(驢前馬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禪宗의 用語. 나귀와 말을 本來面目에 비유하여 그 前이나 後는 다 주인공의 참 모습이 아니라는 뜻. 곧 驢馬의 전후는 주인을 따라 다니는 奴隷에 불과하다는 뜻이며, 범부들이 識情分別에만 매달려 眞我를 등지는 것을 .. ᄉ~ㅇ(시옷~이응) 2018.12.09
신상신통락(身相神通樂) 신상신통락(身相神通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樂의 하나. 극락세계에 있는 이의 몸 빛이 진금색이어서 항상 광명을 놓으며, 32相을 구비한 동시에 五通이 자재하여 뜻대로 활동할 수 있으며, 즐거움이 한이 없는 것. 참고 십락(十樂) : 서방 정토에 왕생하기를 발.. ᄉ~ㅇ(시옷~이응) 2018.12.01
유다수행(留多壽行) 유다수행(留多壽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留多命行이라고도 한다. 불타 및 俱解脫의 阿羅漢이, 다른 有情을 이익하게 하고 또 敎法을 미래에 오래도록 머물게 하기 위해서, 衣鉢 등의 생활 필수품을 衆僧 등에 布施하고, 定力에 의해서 富의 갚음을 받을 業을 轉하.. ᄉ~ㅇ(시옷~이응) 2018.11.24
사쌍팔배(四雙八輩) 사쌍팔배(四雙八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소승의 四向四果의 聖者를 말함. 向과 果는 한 쌍으로 4종의 雙. 곧 八輩를 말하는 것. 참고 소승(小乘) : 범어 hinayana. 乘은 싣고 운반하는 뜻. 일체 중생이 모두 부처가 되기에는 너무나 작고 보잘 것 없는 수레라는 뜻. 대.. ᄉ~ㅇ(시옷~이응) 2018.11.20
사색사공(四色四空) 사색사공(四色四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色은 색계의 네 하늘. 곧 初禪天·二禪天·三禪天·四禪天을 말함. 四空은 무색계의 네 하늘. 곧 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의 4天을 말함. 참고 색계(色界) : 色天 · 色行天이라고도 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8.11.18
이종일천제(二種一闡提) 이종일천제(二種一闡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능가경 2에, (1) 일체 善根을 끊은 극악한 사람으로 성불하지 못할 사람. (2) 일체의 중생을 제도하는 대비보살이 되어 성불하지 못하는 것. 두 가지 모두 일천제라 한다. 참고 일천제(一闡提) : 범어 icchantika의 音譯. 一.. ᄉ~ㅇ(시옷~이응) 2018.11.17
삼절(三節) 삼절(三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二因緣이 과거·현재·미래의 3세를 관계하는 것을 三節이라 함. 無明·行의 두 가지를 과거, 識 내지 有의 여덟 가지를 현재, 生·老死의 두 가지를 미래라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ᄉ~ㅇ(시옷~이응) 2018.11.14
심성불생불멸(心性不生不滅) 심성불생불멸(心性不生不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의 본성은 상주불변하여 生하지도 滅하지도 않는다는 것. 참고 본성(本性) : ① 상주불변한 절대의 진실성. 타고난 그대로의 것. 본래 고유의 성질. 본래의 모습. ② 만유의 본성을 말함. 상주불변(常住不變) : .. ᄉ~ㅇ(시옷~이응) 2018.11.13
음계근(陰界根) 음계근(陰界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kandha-dhatuindriya. 5陰과 18界와 12根을 말하며, 일체 현상계의 구성요소이다. 5陰(5蘊)이란, 쌓아 모은 것. 곧 화합하여 모인 것. 무릇 生滅하고 변화하는 것을 종류별로 모아서 5種으로 구별한 것을 말하며, 12根(入·處)이란 .. ᄉ~ㅇ(시옷~이응) 2018.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