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심(佛心) 불심(佛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慈愛(大慈悲)로 가득찬 부처의 마음. ② 중생의 마음속에 본래 갖추어진 佛性. 定해져 있어서 변경할 수 없는 것을 印形에 비유해서 佛心印이라고도 한다. 또 佛心印이라 함은 心印을 말하는 것으로, 文字로 法을 전하지 않고 직.. ᄇ(비읍) 2018.04.19
불지(佛地) 불지(佛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通敎 10地의 제10地. 제9地 보살이 최후에 번뇌장·소지장의 습기를 끊고 成道하는 지위. 참고 불(佛) : ① 범어 buddha의 音略. 佛陀 · 佛駄 · 浮陀 · 浮屠 · 浮圖 · 浮頭 · 沒駄 · 勃陀 · 馞陀 · 步他 등으로 音譯하고 覺者 · .. ᄇ(비읍) 2018.04.18
법멸(法滅) 법멸(法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佛法이 망하는 것. 흔히 末法의 시기가 끝났을 때에 일어난다고 한다. ② 有部에서는, 有爲法의 法體는 미래의 자리에서 현재의 자리로 생겨와서, 그 刹那에 곧바로 멸하여, 과거의 자리로 간다고 한다. 이와 같이 법체가 멸하는.. ᄇ(비읍) 2018.04.16
변견(邊見) 변견(邊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見의 하나. 邊執見이라고도 한다. 참고 오견(五見) : 다섯가지의 見. 見은 생각·見解·思想의 뜻인데, 여기서는 나쁜(惡) 생각, 그릇된 견해를 의미한다. 근본번뇌 가운데 見(惡見)을 다섯가지로 나눈 것. 곧, (1) 薩迦耶見. 번역해.. ᄇ(비읍) 2018.04.16
불래불거(不來不去) 불래불거(不來不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諸法의 本性은 본래 去來·往復이 없다는 것. 참고 제법(諸法) : 여러 가지 법. 萬法과 같음. 우주에 있는 有形 無形의 모든 사물. 諸有. 諸行. 본성(本性) : ① 상주불변한 절대의 진실성. 타고난 그대로의 것. 본래 고유의 .. ᄇ(비읍) 2018.04.16
보살지(菩薩地) 보살지(菩薩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通敎 十地의 제9. 佛果의 因行을 닦는 자리를 말하는 것. 참고 통교(通敎) : 天台宗 化法 4敎의 제2. 성문 ․ 연각 ․ 보살의 3乘이 함께 받는 법. 얕고 깊은 법을 함께 말한 것이므로, 사람의 근성이 영리하고 둔함에 따라서 얕게.. ᄇ(비읍) 2018.04.16
불상기원(佛像起源) 불상기원(佛像起源)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增一阿含經 28이나 止觀輔行 1 등의 경전상의 기록에 의하면 석가 재세시에 코삼비국(憍賞彌國)의 우전왕(優塡王)과 코살라국의 파사닉왕(波斯匿王)이 각기 旃檀木과 紫磨金을 사용하여 불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또는 불.. ᄇ(비읍) 2018.04.15
벽지불지(辟支佛地) 벽지불지(辟支佛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通敎 十地 중 제8위로 支佛地라고도 한다. 緣覺의 位. 참고 통교십지(通敎十地) : 三乘共十地와 같음. 大智度論 78권에서 주장하고 있는 성문·연각·보살을 통하여 만들어진 十地로 천태종에서 通敎를 說하여 수행의 단계.. ᄇ(비읍) 2018.04.14
본지수적(本地垂迹) 본지수적(本地垂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타나 보살(本地)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거짓 모습(迹)으로 바꾸어 나타나는(垂) 것. 無漏智의 광명을 은근히 감추고, 俗塵과 함께 한다는 뜻으로 이것을 和光同塵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반드시 本地垂迹說에만 국한하.. ᄇ(비읍) 2018.04.13
범음(梵音) 범음(梵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브라만의 좋은 音聲. 梵王의 音聲. ② 맑고 깨끗한 음성으로 불·보살의 음성을 찬탄하는 말. ③ 불타의 가르침. ④ 四箇法要의 하나. 청정한 음성으로 모든 불·법·승을 공양하는 偈頌의 읊음. ⑤ 讀經의 소리를 말함. ⑥ 상방.. ᄇ(비읍) 2018.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