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성(法性) 법성(法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법의 體性이란 뜻. 우주의 모든 현상이 지니고 있는 진실 불변한 본성. 眞如法性 · 眞法性 · 眞性이라고도 하고 眞如의 다른 이름이라고도 한다. 智度論卷三十二에는 諸法에 대한 각각 相(현상의 차별적인 相)과 實相이 있다. 예.. ᄇ(비읍) 2018.02.22
보처미륵(補處彌勒) 보처미륵(補處彌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生補處의 미륵을 말함. 미륵은 56억 7천만년 뒤에 성도하여 석가여래의 뒤를 이어서 부처님의 처소를 잇는 보살이기 때문임.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 ᄇ(비읍) 2018.02.22
부증불감(不增不減) 부증불감(不增不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말하는 부증불감에 두 가지 뜻이 있다. (1) 반야경과 같이 實相의 空理를 말한 것으로 「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이라 한다. (2) 不增不減經과 같이 法의 無盡을 말한 것으로 중생과 부처의 2界가 .. ᄇ(비읍) 2018.02.22
법구경(法句經) 법구경(法句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리(dharma)의 말씀이란 뜻이다. 원전은 팔리어 5니카아야의 하나인 小部에서 찾을 수 있으나 현재 우리 나라에 소개되고 있는 법구경은 전 26장 423의 시를 수록한 팔리어본의 國譯과 전 39장으로 구성된 한역 법구경(2권)의 國譯.. ᄇ(비읍) 2018.02.22
보처(補處) 보처(補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生補處를 말함. 이전 부처님이 入滅한 뒤에 成佛해서 그 자리를 보충하는 이란 뜻. 곧 부처 될 후보자. 참고 일생보처(一生補處) : 一生所繫이라고도 한다. 一生만 미혹의 세계에 繫縛되어 있는 자. 혹은 최후의 有, 곧 생존해 있.. ᄇ(비읍) 2018.02.21
법장비구(法藏比丘) 법장비구(法藏比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法處·法積·法寶藏·作法이라고도 번역하며 아미타불이 부처되기 전 보살 때 이름이다. 아미타불은 본래 국왕으로서 발심 출가하여 스님이 되고, 호를 법장이라 하였다. 세자재왕불에게 48원을 세우고, 兆載永劫의 수행.. ᄇ(비읍) 2018.02.20
법사십덕(法師十德) 법사십덕(法師十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엄경 십지품 가운데 제9품. 善慧地보살이 일체 공덕의 행을 닦아 大法師가 되어서 능히 여래의 法藏을 수호하여 무량한 지혜와 변재로 대중을 위해 法을 연설하여 모든 중생에게 큰 안락을 얻게 하였는데 이 十德을 다 .. ᄇ(비읍) 2018.02.19
별해탈(別解脫) 별해탈(別解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atimoksa(波羅提木叉)의 意譯. 신체·언어로 짓는 허물을 따로따로 분별하여 방지하는 계율. 참고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 : 범어 pratimoksa의 음역. 婆羅提目叉·波羅提毘木叉·鉢喇底木叉라고도 쓰고, 別解脫이라 번역한.. ᄇ(비읍) 2018.02.17
보리심(菩提心) 보리심(菩提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상세히 말하면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이라고 하며 無上正眞道意라 번역한다. 無上菩提心 · 無上道心 · 無上道意를 약하여 道心 · 道意 · 道念 · 覺意라고 한다. 佛果에 이르러 깨달음의 지혜를 얻고자 하는 마음.. ᄇ(비읍) 2018.02.17
법사(法師) 법사(法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법에 통달하고 언제나 청정한 수행을 닦아 남의 스승이 되어 사람을 이끌어가는 이를 말한다. 法華經 法師品의 說에 따라 受持法師(가르침을 수지 기억하는 사람) · 讀經法師(經卷을 읽는 사람) · 誦經法師(경전을 보지 않고 .. ᄇ(비읍) 201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