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해탈(別解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atimoksa(波羅提木叉)의 意譯. 신체·언어로 짓는 허물을 따로따로 분별하여 방지하는 계율.
참고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 : 범어 pratimoksa의 음역. 婆羅提目叉·波羅提毘木叉·鉢喇底木叉라고도 쓰고, 別解脫이라 번역한다. 또 處處解脫·別處解脫·隨順解脫·解脫生死·保得解脫 등이라 義譯하기도 한다. 요컨대 解脫한다는 뜻으로써 戒律을 말함. 이것은 몸과 입으로 犯한 허물을 따로 따로 解脫하는 것이므로 別解脫이라 한다.
별해탈계(別解脫戒) : 別解脫律儀라고도 한다. 3種 戒의 하나. 5戒·10戒·具足戒 등을 받아 지니어, 몸이나 입으로 짓는 惡業을 각각 解脫하는 戒法.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장비구(法藏比丘) (0) | 2018.02.20 |
---|---|
법사십덕(法師十德) (0) | 2018.02.19 |
보리심(菩提心) (0) | 2018.02.17 |
법사(法師) (0) | 2018.02.17 |
변역생사(變易生死) (0) | 2018.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