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생담(本生譚) 본생담(本生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Jataka. 부처님의 전생의 생활을 묘사한 설화. 이 설화가 생겨난 의의는 일찍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부처의 깨달음은 만고불변의 진리로서 너무나도 위대하고 장엄한 것인데 단순히 출가 후 6년의 고행만으로서는 도저히.. ᄇ(비읍) 2018.03.05
법화현의(法華玄義) 법화현의(法華玄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권. 중국 수나라 승려이며 천태종의 開祖인 智顗가 저술한 책. 妙法蓮華經玄義라고도 하는데, 지의가 만년에 玉泉寺에 머물면서 묘법연화경 다섯 자를 여러 가지 관점에서 해석하여 천태교학의 교리적 원리를 전개.. ᄇ(비읍) 2018.03.05
불멸기원(佛滅紀元) 불멸기원(佛滅紀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멸의 기원은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따져 오던 것으로, B.C. 1027년 갑인 4월 8일에 탄생하여 B.C. 949년 임신 2월 15일에 입멸하였다는 설이 있다. (2) 세일론에서 전하는 B.C. 543년의 설. (3) 태국과 미.. ᄇ(비읍) 2018.03.04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바라밀의 하나. 여기에 財施·法施·無畏施의 三施 등이 있다. 참고 육바라밀(六波羅蜜) : 범어 sat-paramita. 六波羅蜜多 · 六度 · 六到彼岸이라고도 한다. 피안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보살 · 마하살이 수행하는 .. ᄇ(비읍) 2018.03.03
불상(佛像) 불상(佛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形像을 말함. 널리 보살·羅漢·明王·諸天 등의 像도 포함해서 말하는 수도 있다. 彫塑像·畵像(繪像)의 두 가지가 있는데, 前者만을 국한해서 佛像이라고 하고, 後者를 圖像이라고 일컫는 수가 있다. 인도에서는 옛날에.. ᄇ(비읍) 2018.03.02
불가득(不可得) 불가득(不可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n-upalambha의 번역. 推察하여 구하여도 了得 · 認知할 수 없는 것. 모든 것이 고정불변한 독자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不可得空이라고 한다. 참고 추찰(推察) : 미루어서 살핌.(국어사전) 요득(了得) : 분명하게 .. ᄇ(비읍) 2018.02.28
배(拜) 배(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절하는 방법으로는, (1) 양손을 합장하여 가슴에 대고 (2) 오른손을 떼어 아랫쪽의 방석 중심을 짚으며(왼손은 움직이지 않음), 두 무릎을 방석에 꿇고 (3) 왼손으로 방석 왼쪽을 짚는다. (4) 오른손을 중심에서 방석의 앞 오른편.. ᄇ(비읍) 2018.02.27
법상종(法相宗) 법상종(法相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唯識宗 · 應理圓實宗 · 普爲乘敎宗 · 唯識中道宗 · 中道宗이라고도 하며, 이 宗의 所依經典은 解深密經 · 成唯識論 · 瑜伽師地論이다. 佛滅 후 1천년경 북인도 사람인 無着과 世親이 세우고, 중국에서는 인도의 戒賢論.. ᄇ(비읍) 2018.02.26
반가부좌(半跏趺坐) 반가부좌(半跏趺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양 쪽 다리를 양 넓적다리에 대는 것을 結跏趺坐·全跏坐라고 한다. 한 다리를 한 쪽 넓적다리에 대는 것을 半跏趺·半跏坐라 한다. 結跏趺坐에 吉祥·降魔의 두 좌가 있고, 역시 半跏趺坐에도 吉祥·降魔의 두 좌가 있다.. ᄇ(비읍) 2018.02.24
법계유심(法界唯心) 법계유심(法界唯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萬有를 총괄해서 法界라 한다. 이 법계는 마음에서 변조(變造)된 것이라 하여 法界唯心이라 한다. 참고 법계(法界) : 達磨駄都라 음역한다. ① 十八界의 하나. 意識의 대상인 모든 事物을 말함. 俱舍論卷一에는 受·想.. ᄇ(비읍) 201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