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오승(五乘,1708)-국어사전

오승(五乘,17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 있어서의 다섯 가지 교법(敎法). 곧, 인승(人乘)·천승(天乘)·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을 이름.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보살(菩薩) 2023.11.13

재가승(在家僧,2001)-국어사전

재가승(在家僧,200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속가(俗家)에서 불법을 닦는 중. ② 왕조 때, 함경도 변경 지역에 살던 여진족의 유민. 머리털을 깎고, 마을마다 불당(佛堂)을 두고 살았음. 참고 속가(俗家,1363)-국어사전 : ➀ 불교를 믿지 않는 사람의 집안을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말. ➁ 중이 되기 전의 생가(生家). ...속가(俗家,1408)-뉴사전 : 재속(在俗)의 사람. 재가(在家). 속인(俗人). 출가(出家)의 반대. ...재가(在家,2001)-국어사전 : ① 집에 있음. ② 자기의 집에서 중처럼 불도를 닦음. 재속(在俗). ③ 불가에서, 사회에서 살아가는 일반 사람을 이르는 말.↔출가(出家). ...재가(在家,2230)-뉴사전 : 또는 거가(居家)·주가(..

불자(佛子) 2023.11.12

이교(理敎,1865)-국어사전

이교(理敎,186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본체와 현상을 다른 것으로 보지 않고, 차별 그대로가 평등이라고 보는 교지(敎旨).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

평등(平等) 2023.11.11

야단법석(野壇法席,1568)-국어사전

야단법석(野壇法席,156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야외에서 베푸는 강좌를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를 이루고 있는..

설법(說法) 2023.11.10

법명(法名,994)-국어사전

법명(法名,99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중이 되는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속명(俗名) 대신에 새로 지어 주는 이름. 승명(僧名). ② 불가(佛家)에서 죽은 사람에게 붙여 주는 이름. 계명(戒名). ③ 불교에 귀의한 재가자에게 주는 이름. 법호. 참고 중이 되는 사람에게→중(2165)-국어사전 : 절에서 살면서 불법을 닦고 실천하며 포교에 힘쓰는 사람. 본디는 삼보(三寶)의 하나로 그러한 단체를 이르던 말임. 법신(法身). 불자(佛者). 사문(沙門). 승(僧). 승가(僧伽). 승려. 높) 선사·스님. ...승(僧,1433)-국어사전 : 중. ...승가(僧伽 samgha 범,1433)-국어사전 : ① 불도를 닦는 사람들의 집단. ② 중. ...승(僧,1471)-뉴사전 :..

인업(因業,1903)-국어사전

인업(因業,19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전세(前世)의 업을 벗는 현세의 운명과 내세(來世)의 과보를 자아내는 필연적인 현세의 작업(作業)’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인아(人我,1903)-국어사전

인아(人我,19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다른 사람과 나. ② 불교에서, 사람의 몸 안에 늘 변하지 않는 본체가 있다는 미혹한 생각. 곧,‘아(我)’가 있다는 생각.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변성남자원(變成男子願,1007)-국어사전

변성남자원(變成男子願,100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의 사십팔원(四十八願)의 하나. 여자가 부처를 믿어서 죽은 뒤에 남자의 몸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소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

나무아미타불 2023.11.06

변집견(邊執見,857)-뉴사전

변집견(邊執見,85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비뚤어진 극단적인 것에 집착하는 견해. 나는 사후에도 상주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나는 사후에 단절된다고 생각하는 2가지의 고집된 견해를 말함. 상견(常見)과 단견(斷見). 변견(邊見)이라고도 함. 산, antagraha-drsti 팔, antaggahika-ditthi (해석예) 줄여서는 변견(邊見)이라고도 하며, 우리의 몸은 언젠가는 없어진다고 하는 생각과, 사후에도 영원히 잃어버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마음임. 참고 비뚤어진→비뚤어지다(1116)-국어사전 : ① 반듯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거나 쏠리다. ② 마음이나 성격 따위가 바르지 못하고 비꼬이다. ③ 성이 나서 뒤틀어지다. 작) 배뚤어지다. 센) 삐뚤어지다. 극단적인→극단적..

중도(中道) 2023.11.05

무괴(無愧,840)-국어사전

무괴(無愧,84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부끄러워하지 않는 일이나 거리낌 없이 하는 포악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

선(善)이란? 202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