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실상(實相,1476)-국어사전

실상(實相,147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실제의 모습. ② 불교에서, 만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이르는 말.↔가상(假相). 참고 실제(實際,1478)-국어사전 : (명) 있는 그대로의, 또는 나타나거나 당하는 그대로의 상태나 형편. (부) 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실제(實際,1538)-뉴사전 : 구극(究極)의 근거. 법이 그것에 의해 성립하고 있는 근거. 실재의 극한(極限) 존재의 궁극적인 모습. 법성(法性)·진여(眞如)·공(空)과 같은 뜻이고, 제법실상(諸法實相)의 다른 이름임. 진실의 이법(理法). 열반의 다른 이름이다. 2승(二乘)의 열반의 일이다. ...법성(法性,995)-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 만유(..

나무삼보(南無三寶,418)-국어사전

나무삼보(南無三寶,4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佛)·법(法)·승(僧)의 삼보에 의지한다는 뜻으로, 부처의 가호를 빌 때 외는 말. 준) 나무삼. 참고 나무(南無.Namas범,417)-국어사전 : [‘돌아가 의지함’의 뜻으로] 부처 이름이나 경문 이름 앞에 붙여서, 절대적인 믿음을 나타내는 말. ...나무(南無,325)-뉴사전 : 산, namas(굴복하다의 뜻)의 음역. 귀명(歸命)·귀경(歸敬)·귀예(歸禮)·경례(敬禮)·신종(信從) 등이라 한역함. 진심을 담아 부처님이나 삼보(三寶)에 귀순하여 믿음을 바친다는 것을 말함. 약자로 나무(南无)라 쓴다. (해석예) 일심일향(一心一向)으로 예배하고 의지하는 것. 예배. 능귀(能歸)의 마음. 귀명(歸命). 도와주기로라는 뜻. ...

삼보(三寶) 2023.11.02

총림(叢林,2326)-국어사전

총림(叢林,232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잡목이 우거진 숲. ② 강원(講院)·선원(禪院)·율원(律院)의 3개 교육 기관을 모두 갖춘 사찰. 참고 숲(1423)-국어사전 : 의 준말. ...수풀(1409)-국어사전 : ① 나무가 무성하게 들어찬 곳. 삼림. 준) 숲. ② 풀이나 덩굴·나무 따위가 한데 엉킨 곳. (1) 강원(講院,42)-뉴사전 : 경전을 전수(專修)하는 사원. 강당과 같음. ...전수(專修,2041)-국어사전 : (특정한 어떤 전문 기술·지식 따위를) 전문적으로 닦음. ...강당(講堂,40)-뉴사전 : ① 도시의 공회당(公會堂). 공회당(公會堂)은 불교이전부터 인도의 각지에 있었으나, 대체로 전면은 열려 있어, 언제 누구라도 안으로 들어가 휴식하고, 또 ..

총원(總願,2327)-국어사전

총원(總願,232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모든 불보살에 공통으로 있는 네 가지 서원. [중생을 제도함, 번뇌를 끊음, 가르침을 배움, 불도를 깨달음 등.] ↔별원(別願).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

평등심(平等心,2489)-국어사전

평등심(平等心,248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의 중생을 차별 없이 사랑하는 부처님의 자비심. 참고 일체(一切,1923)-국어사전 : 모든 것. 온갖 것. 참) 일절(一切). ...일체(一切,2159)-뉴사전 : ① 모든. 수가 많음. 전부. 모두. 전체를 포함해서 말하는 전부의 일체와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소분(少分)의 일체가 있다. 산, sarva ② 일체의 법. 즉 5온(五蘊)·12처(處)·18계(界)와 같은 각각의 견해에 있어서 법의 체계를 말한다. 중생(衆生,2171)-국어사전 : ① 많은 사람들. ② 불교에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불자(佛子). 제유(諸有). ...중생(衆生,2387)-뉴사전 : ① 생존하는 ..

묘관찰지(妙觀察智,837)-국어사전

묘관찰지(妙觀察智,83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사지(四智)의 하나. 바라는 대로 자유자재로 작용하는 지(智). 또는 모든 것을 바르게 추구하는 지(智), 여러 사상의 차별상을 정당하게 관찰하는 지(智).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

사지(四智) 2023.10.29

에결(恚結,1709)-뉴사전

에결(恚結,170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9결(九結)의 하나. 모든 중생이 진에(瞋恚)로 인해 속박되어 생사(生死)의 고통을 떠날 수 없는 것. ② 노여움이라고 하는 번뇌. 산, pratigha-samyo-jana 티, khon khro bahi kun tu sbyor ba 참고 결(結,81)-뉴사전 : ① 매어두는 것. 속박하는 것. 번뇌의 속박. 번뇌의 맺힘. 「結所繫法」(속박(束縛)을 만들만한 일) 팔, sannojaniya dhamma ② 번뇌. 신심(身心)을 묶어 속박하는 것. 미혹. 중생을 속박하고 해탈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 마음이 묶임. 족쇄. 중생을 생사에 매어두고, 가두어두는 여러 요소의 일. 또 결사(結使)라고도 함. 산, samyojana ..

생사(生死) 2023.10.28

십리(十利,1569)-뉴사전

십리(十利,156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부처님이 계(戒)를 제정한 이유로써 드는 십개조(十箇條). ②「십일면신주경」에서 설명하는 관세음(觀世音)의 10가지 이익. 여러 가지가 있음. (1) 걸식십리(乞食十利). (2) 다문십리(多聞十利). (3) 문경십리(聞經十利). (4) 반야십리(般若十利). (5) 선정십리(禪定十利). (6) 정진십리(精進十利). (7) 죽십리(粥十利) 등을 말함. 참고 부처님(1074)-국어사전 : 의 높임말.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

십만억토(十萬億土,1487)-국어사전

십만억토(十萬億土,148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① 이승에서 극락정토에 이르는 사이에 있다고 하는 수많은 불토(佛土). ② →극락정토.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

나무아미타불 2023.10.26

신해행증(信解行證,1528)-뉴사전

신해행증(信解行證,152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도 수행의 1기(期). 먼저 법을 믿고, 다음에 그 법을 요해(了解)하고, 그 법에 의지하여 행을 닦아 마침내 과(果)를 증득. 참고 불도(佛道,1093)-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보리. ② 부처의 가르침. 법도(法道). 비) 불법(佛法). ...불도(佛道,961)-뉴사전 : 부처님의 도. 부처가 되기 위한 가르침. 깨달음에 이르러야 할 도. 부처님의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 불교. 불교의 수행.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실천 방법. 불법과 동일. 산, agra-bodhi(최고의 깨달음). (해석예) 보살의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의 것이다. 무상열반도(無上涅槃道)이다.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