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권대승교(權大乘敎,252)-뉴사전

권대승교(權大乘敎,25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권교대승(權敎大乘)·대승권교(大乘權敎)·권대승(權大乘)·권대(權大)라고 한다. 부처님이 아직 근기가 향상하지 못하여 여래의 진실한 교법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중생을 위하여 진실교에 끌어들이려는 방편 수단으로 실(實)이 아닌 권(權)으로 아직 진실한 뜻을 나타내지 않은 대승의 교법. 곧 법상(法相)·삼론(三論) 등의 교의(敎義)를 말함. 참고 권교대승(權敎大乘,251)-뉴사전 : 대승 가운데의 권교.→권교 .....권교(權敎,251)-뉴사전 : 임시로 대승의 가르침에 들어가기 위한 방편으로서 부처님이 설하신 임시 가르침. 사람의 소질에 맞게 임시로 설하신 가르침. 임시 가르침. 권대승(權大乘). 천태종에서는「법화경」이외..

뢰야삼상(賴耶三相,538)-뉴사전

뢰야삼상(賴耶三相,53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설(唯識說)에 있어서 아라야식(識 : 제8식)에 세우는 세 종류의 상(相). (1) 자상(自相). 제8식의 자체이며, 모든 종자를 포함하고(能藏), 전 7식에 의해 모든 종자를 배어들게 하며(所藏), 제7식에 취한다(執藏)는 삼의(三義)가 있다고 함. (2) 과상(果相). 제8식은 이숙(異熟)을 가져오는 인업(引業)에 의해 나타난 과보의 총체(三界·五趣·四生)이므로, 인업소감(引業所感)의 이숙(異熟)이라는 의미로, 이 식(識)을 과상(果相)이라 함. (3) 인상(因相). 제8식이 모든 종자를 갖고 잊지 않으며, 제법(諸法)이 나타나 인(因)이 되는 것을 인상(因相)이라 이름 짓는다. 다시 말해 제8식 자체에 모든 법의 인(因..

무일물(無一物,678)-뉴사전

무일물(無一物,67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생사의 모양도, 미오(迷悟)의 모양도, 범부와 성인의 모양도 없어 필경 모양이 없는 것을 말한다. 모든 것에 의지하지 않는 잠연적정(湛然寂靜)한 태도. 어느 것도 소유하지 않는 것.→본래무일물 참고 생사(生死,1286)-뉴사전 : ① 생과 사.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 ② 생사에. 미혹의 세계. 유전(流轉)의 모습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 미혹. 미혹의 모습. 미혹의 생활. 현실 사회의 고뇌. 태어남과 죽음이 번갈아 끊임이 없는 미혹의 세계. 윤회와 같음.→윤회 .....생(生,1282)-뉴사전 : ① 생성되는 것. 생기(生起)하는 것. (1)…가 생긴다(자동사). (2)…을 생성함(타동사).「法不能生也」 ② 모여서 생기다. 여러 ..

사인관세(四人觀世,1112)-뉴사전

사인관세(四人觀世,111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람 사람의 근기에 의하여 세간에 차등이 있다고 관하는 것. 범부는 삼계의 낙(樂)을 관(觀)하고 환희하여 깨달음을 알지 못하며 2승(二乘)은 삼계(三界)의 고를 관하고 불타는 집이 불안한 것 같이 하며, 보살은 삼계의 공(空)을 관(觀)하여 인연의 상(相)을 공화(空花)와 같이 생각하며, 모든 부처님은 삼계가 오직 마음임을 관(觀)하여, 세간의 모든 물질은 다 묘명(妙明)의 마음이라 한 것. 참고 근기(根機,270)-뉴사전 : 또는 기근(機根)이라고도 함. 사람의 종교적인 소질·활력·능력의 뜻. 기근(機根)과 같음. 근(根)은 물건의 근본되는 힘. 기(機)는 발동하는 뜻.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능력, 교법을 받..

기(機) 2021.01.23

유소득대승견해(有所得大乘見解,1945)-뉴사전

유소득대승견해(有所得大乘見解,194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교의 사람들이 비유비공(非有非空 : 中道)에 집착하여, 그것을 진리라고 생각하는 견해. 참고 대승교(大乘敎,445)-뉴사전 : 대승의 가르침.「화엄경」「법화경」「열반경」등의 대승경전에서 설한 가르침을 말함. 또 법상종(法相宗)의 3시교(時敎)에서는 공교(空敎) 이상을 대승교라 하고, 삼론종(三論宗)의 2장(藏)에서는 보살장을, 천태종의 4교(敎)에서는 통교(通敎) 이상을, 화엄종의 5교에서는 시교(始敎) 이상을, 진언종의 10주심(住心)에서는 타연대승심(他緣大乘心) 이상을 대승교라 한다. 소승교(小乘敎)의 반대되는 말. 비유비공(非有非空,1026)-뉴사전 :「유식론(唯識論)」에서 설한 중도(中道)를 말함. 진리(..

무공덕(無功德,625)-뉴사전

무공덕(無功德,62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선을 행하고도 공덕이 없다, 라는 뜻. 선(善)의 행위를 무심무작(無心無作)으로, 구하는 것 없고, 과보(果報)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말. 달마대사가 량(梁)의 무제(武帝)에 대해 이렇게 대답했음.→공덕 참고 공덕(功德,140)-뉴사전 : ① 훌륭한 덕성. 선한 성질. 특별한 성질. 가치있는 특질. 선을 쌓아 얻을 수 있는 것. 말하자면 덕을 말한다. ② 복. 복덕. 선한 것. ③ 행운의 원인. 복지의 근본인 선근(善根).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능력. ④ 선한 행동. 만행(萬行)을 말한다. ⑤ 위대한 힘. ⑥ (부처님이 가르쳐주신 길을 나아가려고 하는 마음을 위한) 자량(資糧). ⑦ 선행의 결과로서 보답받는 과보(果報). 선을 ..

공덕(功德) 2021.01.21

세간팔법(世間八法,1376)-뉴사전

세간팔법(世間八法,137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의 마음을 선동하는 8종류의 일들. (1) 이득(산, labha), (2) 쇠(衰 ; 손실 산, alabha), (3) 칭찬(산, yasas), (4) 비난(산, ayaasa), (5) 훼(毁 ; 산, ninda), (6) 예(譽 ; 산, parsamsa), (7) 즐거움(산, sukha), (8) 괴로움(산, duhkha)를 말함. 산, loka-dharma 참고 이(利,2042)-뉴사전 : ➀ 이익(利益). 이익(利益)을 얻는 것. 이양(利養). 이득. 팔법(八法)의 하나. 팔, labha 산, labha 산, labha 티, rned pa 「不獲其利」산, akrta-arthata ➁ ~ 때문에 되는 것. 사정이 좋은 ..

분별(分別) 2021.01.20

마음이란(寶積經,迦葉品,불교성전,356페)

마음이란(寶積經,迦葉品,불교성전,356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이 카샤파에게 말씀하셨다. 「애욕에 물들고 분노에 떨고 어리석음으로 아득하게 되는 것은 어떤 마음인가. 과거인가 미래인가 현재인가. 과거의 마음이라면 그것은 이미 사라진 것이다. 미래의 마음이라면 아직 오지 않은 것이고, 현재의 마음이라면 머무르는 일이 없다. 마음은 안에 있는 것도 아니고 밖에 있는 것도 아니며 또한 다른 곳에 있는 것도 아니다. 마음은 형체가 없어 눈으로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고 나타나지도 않고 인식할 수 없고 이름 붙일 수도 없는 것이다. 마음은 어떠한 여래도 일찌기 본 일이 없고 지금도 보지 못하고 장차도 볼 수 없을 것이다. 그와 같은 마음이라면 그 작용은 어떤 것일까. 마음은 환상과..

마음이란? 2021.01.19

팔도선(八道船,2666)-뉴사전

팔도선(八道船,266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팔정도(八正道)가 수행자(修行者)를 열반의 피안(彼岸)으로 운반하는 것을 배에 비유하여 말함. 참고 팔정도(八正道,2682)-뉴사전 : 팔성도(八聖道)라고도 씀. 이상(理想)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8가지의 길. 8종의 실천덕목. 8종의 바른 생활태도. 사(邪)를 여의므로 정(正)이라고 하며, 또한 성자의 도(道)이므로 성(聖)이라고 함. (1) 정견(正見). 올바르게 사제(四諦)의 도리를 봄. (2) 정사유(正思惟). 올바르게 사제(四諦)의 사유함. (3) 정어(正語). 올바른 말을 함. (4) 정업(正業). 올바른 행동을 함. (5) 정명(正命). 신(身)·구(口)·의(意)의 삼업(三業)을 청정하게 하며 올바른 이법(理法)에 ..

참선경어-제1장-33(50페)

참선경어-제1장-33(50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1장. 처음 발심한 납자가 알아야 할 공부 -33. 공부가 향상되지 않음을 두려워 말라 공부가 향상되지 않는다고 걱정하지 말고 향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공부이다. 옛 스님께서도“아무 방편도 쓰지 않음이 해탈에 이르는 문이고, 아무 생각도 없음이 깨달은 이의 생각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중요한 것은 깨달음에 들어가는 모든 방법을 몸소 체득하는 일이니, 공부가 향상되지 않는다고 해서 그 자리에서 물러나버리면 설사 백천 겁을 태어나도 어찌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 공부(功夫,144)-뉴사전 : ① 공부(工夫)라고도 쓴다. 노력. 실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 근로. 팔, vayama (해석예) 여러 가지로 궁리하는 것. ② 수행에..

불퇴(不退) 2021.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