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전(現前) 현전(現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現在前이라고도 함. 현재 눈 앞에 나타나는 것. 또는 눈 앞에 존재하고 있는 것.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현식(現識) 현식(現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능가경에서 설한 三識 가운데 하나. 아뢰야식의 다른 이름. 경계를 나타내는 識이란 뜻. 아뢰야식이 가지가지의 객관 세계의 모든 현상을 나타냄을 말한다. ② 기신론에서 설한 五識 가운데 하나. 아뢰야식의 相分(心識이 認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주과연각(住果緣覺) 주과연각(住果緣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연각승(緣覺乘)의 사람이 涅槃果를 얻고 그 果에 安住하여 다시는 불타의 妙果를 바라는 마음이 없는 것을 住果緣覺이라 함. 이 住果의 二乘이 다시 발심하여 佛果에 이를 수 있는가가 쿤 문제이다. 소승과 대승 가운데 法..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화택(火宅) 화택(火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diptagara의 번역. 법화경 七喩의 하나. 번뇌와 고통이 충만한 이 세상을 불타고 있는 집에 비유하여 말한 것. 화염에 싸인 무서운 세계, 미혹의 세계를 말함. 법화경 譬喩品에 「三界에는 편안함이 없어서 마치 火宅과 같다. 많..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확탕지옥(鑊湯地獄) 확탕지옥(鑊湯地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끓는 물에 삶기는 고통을 받는 지옥. 넓이 40유순되는 18개의 큰 솥이 있어, 5백 羅刹들이 불을 때면 솥 안에 있는 끓는 쇠물이 튀어서 불꽃이 되고, 이것이 火輪이 되어서 다시 솥으로 들어간다 함. 부처님의 禁戒를 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환희지(歡喜地) 환희지(歡喜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보살수행의 階位인 52位 가운데 十地의 初位 이름. 波牟提陁라 음역함. 歡喜·極喜·悅豫라 번역. 十地 가운데 처음이란 뜻으로 初歡喜地라고도 한다. 보살이 一大 아승지겁의 수행을 하여 처음 惑을 끊고 理의 一分을 증..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후득지(後得智) 후득지(後得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如量智 · 權智 · 俗智. 근본지에 의하여 진리를 깨달은 뒤에, 다시 분별하는 얕은 지혜를 일으켜서 依他起性의 俗事를 아는 지혜. 즉 불타가 大悲를 일으켜서 중생을 구제하는 것은 후득지다. 참고 의타기성(依他起性) : 唯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휴정(休靜) 휴정(休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520~1604) 이조 선조 때의 승려. 휴정은 법명. 속성은 崔씨. 자는 玄應, 호는 淸虛 · 西山, 본관은 完山. 평안도 安州에서 9세에 어머니를 그리고 10세에 아버지를 잃고 고아가 되었다. 안주목사를 따라 서울에 올라와 泮齋에서 공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
태생(胎生) 태생(胎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四生의 하나. 母胎에서 생기는 것. 胎에서 생겨서 태어나는 것으로 사람·소·말 따위. 또 胎內에서 나온 사람. ② 化土에 태어나는 것. 報土에 태어나는 것을 化生이라 하는 것에 대한 말.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4
정육(淨肉) 정육(淨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肉食을 계율로 금하고 있는 比丘가 먹어도 죄(犯戒)가 되지 않는 食肉을 淨肉이라 하며, 그렇지 않은 것을 不淨肉이라 한다. 淨肉에 세 가지 또는 다섯 가지가 있으므로 이를 三種淨肉 · 五種淨肉이라 한다. 3종정육은 (1) 자신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