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酒) 주(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ura의 번역으로 蘇羅라 音譯됨. 僧俗의 戒를 통해서 다 금하고 있다. 五戒의 제5, 十戒의 제5, 具足戒의 제51, 보살계의 四十八輕戒의 제2. 술을 다음의 3종으로 나누며 술에 열가지 허물이 있음을 말한다. (1) 窣羅(범어 sura). 밥으..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2
초선천(初禪天) 초선천(初禪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禪天의 하나. 欲界 위에 있는 色界四禪天 중 제1의 하늘. 여기에 梵衆天 · 梵輔天 · 大梵天의 三天이 있다. 참고 욕계(欲界) : 일종의 有情의 生存의 상태. 또 그 有情이 사는 세계를 말한다. 欲界 · 色界 · 無色界의 三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2
행(行) 행(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身·口·意의 조작을 말함. 또는 內心이 外境에 가는 것이 心行과 같음. 일체의 有爲法을 말한다. 유위법은 緣을 따라서 일어나고, 만들어진다는 뜻. 또는 이것이 항상 변화하여 생멸하는 것이므로 遷流의 뜻으로 해석함. (1) 五蘊의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2
향상(向上) 향상(向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끝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는 것을 向上, 위에서 끝으로 가는 것을 向下라 한다. 禪宗에선 미혹의 境界에서 깨달음의 경계로 들어가는 것을 向上門, 깨달음의 경계에서 미혹의 경계로 점점 적응해 가는 것을 向下門이라고 한다.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1
파락호(破落戶) 파락호(破落戶)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뢰한·부랑자의 뜻. 행세하던 집 자손으로 파산하고 결단난 사람. 또 일정한 직업 없이 돌아다니는 불량한 사람.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1
팔고(八苦) 팔고(八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生苦·老苦·病苦·死苦·愛別離苦(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苦)·怨憎會苦(怨憎하는 사람을 만나는 苦)·求不得苦(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苦)·五陰盛苦(五蘊에서 생기는 苦)를 일컫는다. 곧, 生·老 ·病·死 의 四苦에다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1
칠각분(七覺分) 칠각분(七覺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七菩提分 · 七覺支 · 七覺意 · 七覺이라고도 한다. 佛道를 수행하는데, 지혜로써 참되고 거짓되고 善하고 惡한 것을 살펴서 선별하는데 7종이 있다. (1) 擇法覺分. 지혜로 모든 법을 살펴서 선악의 眞僞를 簡擇하는 것. (2) 精..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1
진속(眞俗) 진속(眞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眞諦平等의 이치와 俗諦差別의 이치. ② 佛法과 世法. ③ 승려와 俗人. ④ 참된 것과 속된 것. ⑤ 事理의 다른 이름으로 인연이 生하는 事理를 俗이라 하고, 不生不滅의 理性을 眞이라 함. 참고 진(眞) : ① 眞實. 假 · 俗 · 僞 등..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1
한거십덕(閑居十德) 한거십덕(閑居十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조용한 곳에서 수행하면 열 가지의 덕이 된다는 것. (1) 남녀의 경지가 없으니 애욕심이 없음. (2) 잡된 말의 緣이 없으니 거짓말의 허물이 없음. (3) 敵對할 사람이 없으니 싸울 염려가 없음. (4) 시비할 벗이 없으니 칭찬하고..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0
파사즉현정(破邪即顯正) 파사즉현정(破邪即顯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교를 깨뜨리는 것이 곧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말. 이것이 삼론종의 주장이며, 邪道·邪見·邪執을 깨뜨리는 것이 그대로 中道實相의 진리를 나타내는 것이라 하여 파사 밖에 따로 현정이 있음을 부인하다.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