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가(慧可) 혜가(慧可)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87~593) 중국 승려. 중국 선종의 제 2조. 처음 이름은 神光. 속성은 姬. 낙양 사람으로 낙양 용문의 향산에서 출가하다. 여러 곳으로 다니면서 불교와 유교를 배우고, 32세에 향산에 돌아와 8년 동안 좌선을 하고, 40세에 숭산 소림사에..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8
택멸(擇滅) 택멸(擇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數滅 · 智緣滅이라고도 번역한다. 열반(깨달음)의 다른 이름으로 智慧力(곧 簡擇力 · 바른 판단력)에 의해서 얻어진 滅이란 뜻. 여기서 말하는 滅은 생사(迷한 존재)를 滅한 마음, 안온한 깨달음의 경지를 말한다. 이것은 또 번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8
팔부귀중(八部鬼衆) 팔부귀중(八部鬼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사천왕에 속하는 여덟 가지 鬼衆. 건달바(乾闥婆) · 비사사(毘舍闍) · 구반다(鳩槃茶) · 벽례다(薛荔多) · 제용중(諸龍衆) · 부단나(富單那) · 야차(夜叉) · 나찰(羅刹). ②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8
혼침(惛沈) 혼침(惛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의 작용인 心所의 이름. 구사종에서 모든 오염된 마음(不善心과 無覆無記心)에서 반드시 일어나는 心所(大煩惱地法)의 하나로서 唯識宗에선 隨煩惱의 하나라고 한다. 心身을 시달리게 하여서 惛昧 · 沈鬱 · 鈍感 ·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8
화현(化現) 화현(化現)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 ·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고 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가지로 모양을 변하여, 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6
훈(熏) 훈(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치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 같이, 사람이 身 · 口 · 意로 하는 바 선악의 언어 · 동작 또는 생각하는 것 등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어떠한 印象이나 세력을 자기의 心體에 머물러 둠을 말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6
회향(廻向) 회향(廻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혹은 回向이라고도 쓴다. 廻轉趣向의 뜻. 자기가 닦은 선근 공덕을 다른 중생이나 또는 자기의 佛果에 돌려 향함. 大乘義章에 3종의 회향을 말한다. (1) 衆生廻向. 자기가 지은 선근 공덕을 다른 중생에게 회향하여 공덕 이익을 주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6
회삼귀일(會三歸一) 회삼귀일(會三歸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實敎에 들어가게 하는 방편 수단으로 3乘을 開會하여, 실교인 一乘에 돌아가게 한다는 뜻. 천태종에서 쓰는 말. 법화경 이전에 말씀한 3승은 방편이라고 打開하여, 3승은 일승에서 나누어 말한 것이므로 일승 밖에 3승이 없..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6
회신멸지(灰身滅智) 회신멸지(灰身滅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焚身灰智·灰滅·灰斷이라고도 함. 몸을 재로 만들고 지혜를 멸한다는 뜻. 몸과 마음이 함께 아주 없어짐을 말한다. 이것이 2乘의 최종 목적이며, 無餘涅槃이라 함. 참고 회신(灰身) : 몸을 재와 같이 소멸하는 일. 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6
호국신앙(護國信仰) 호국신앙(護國信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리 나라 불교의 일관된 신앙으로, 崇信으로 호국한다는 사상. 불교를 굳게 믿음으로써 국가와 민족의 번영을 생각하는 이른바 現世佛敎的 신앙에서 나왔다. 불교와 왕권은 이 호국신앙과 굳게 결부되어 있었고, 그리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