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은(衆生恩) 중생은(衆生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恩의 하나. 사람이 生을 유지하고 사는데 있어 부모·국가·사회로부터 막중한 은혜를 받는 것은 물론이지만 우리의 의·식·주로부터 모든 생활에 이르기까지 모든 중생의 은혜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으므로 중생의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2
정행(正行) 정행(正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正行이란 佛陀의 가르침에 바탕한 바른 행위란 뜻으로 邪行의 對語. 또 직접 원인이 되는 行을 正行이라 하고, 간접 원인이 되는 行을 助行이라 한다. ① 正行은 八聖道나 六度行 혹은 經典을 읽으며 佛을 관찰하는 등을 내용으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2
점안(點眼) 점안(點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점을 찍어 눈동자를 그린다는 말이니, 佛像을 그린 다음 眞言을 외우며 의식을 갖추어 佛像의 눈에 동자를 찍는 일종의 의식. ② 點眼을 다른 말로 開眼이라고도 한다. 새로 그린 佛像에 佛眼을 열고 佛陀의 魂을 招請하여 注入..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2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바라밀 · 十바라밀의 하나. 범어 virya의 번역으로 毘梨耶波羅蜜로 音譯하고 佛道成就를 위해 쉼이 없이 부지런히 용맹하게 精進하는 것. 또는 완전한 노력을 뜻함. 참고 정진(精進) : 범어 virya의 번역으로 6바라밀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2
전식(轉識) 전식(轉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唯識論에서 말한 8識의 하나. 제 8아뢰야식을 本識이라 하는데 대해 제 8아뢰야식을 제외한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6識과 제7末那識이다. 제八識으로부터 轉生變現하는 識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 곧 七轉識이 그것.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1
점돈(漸頓) 점돈(漸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漸은 草木이 점차 자라듯이 시간과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을, 頓은 거울이 물건을 投影할 때 또는 빛이 萬物을 비칠 때 一時에 하는 것처럼 대번에 이루는 것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긴 시간의 修行을 통해서 깨달음을 이르는 것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1
정법(正法) 정법(正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三時의 하나. 正 · 像 · 末의 三時가 있는 가운데, 敎法과 修行 · 證果 셋이 다 있어서 佛法이 가장 바르게 성한 시기. 기간에 대하여는 佛滅 5백년, 1천년의 兩說이 있다. ② 佛法의 바른 敎法.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1
조어장부(調御丈夫) 조어장부(調御丈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十號의 하나. 범어 puru=sadamysarathi의 번역으로 富樓沙曇藐娑羅提라 音譯하며 자세히는 可化丈夫調御師라 번역한다. 佛은 능히 제도할 수 있는 일체의 丈夫를 다 調御하여 修道에 專念하게 함을 가리키는 말. 또 佛은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1
제행(諸行) 제행(諸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일체의 有爲法을 일컫는 말. 行은 集의 뜻으로 곧 因緣和合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가리키며 그것은 또 有爲法이다. 근본불교에 있어서 諸行은 一切·諸法과 同義語였다. 因緣에 의존해서 成立된 것(有爲法)은 永遠不變한 것이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1
지혜바라밀(智慧波羅蜜) 지혜바라밀(智慧波羅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 知見波羅蜜이라고도 한다. 참고 바라밀(波羅蜜) : 범어 paramita의 음역. 波羅蜜多라고도 쓰고, 到彼岸 · 度無極 · 度라 번역함. 미혹의 이 언덕에서 깨달음의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으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