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불허(眞實不虛) 진실불허(眞實不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說은 虛妄이 없음을 말함. 참고 불설(佛說) : 부처님이 스스로 법을 말씀하시는 것. 또는 부처님이 말씀한 법. 흔히 모든 경의 첫머리에 이 두 자를 붙여 성문 · 연각 · 보살 · 人 · 天 등의 說과 구별하며, 또는 진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21
증(證) 증(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正法에 따라서 修習하므로 如實하게 진리를 體得하여 깨달음에 드는 것. 그 깨달음은 智慧에 의해서 證悟되는 결과이므로 證果라고 한다. 또 차례차례로 修行의 단계를 밟아서 깨달음을 얻는 것을 分證이라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20
패다라(貝多羅) 패다라(貝多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ttra(樹葉의 뜻)의 음역. 貝多羅葉 · 貝葉 · 貝多라고도 한다. 종이가 없던 시대(일부 남방불교 교단에선 지금 사용함)에 書寫用의 나무 잎사귀 주로 多羅樹의 잎사귀를 사용했다. 곧 건조한 폭 약 二寸 길이 약 一尺 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9
잡아함경(雜阿含經) 잡아함경(雜阿含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myuktagama. 四阿含經 또는 五阿含經의 하나. 다른 아함경에 들지 아니한 것을 모아 놓은 것. 내용은 가장 원시 불교의 형태를 지녔고, 설법한 내용도 극히 간단한 苦·空·無常·無我, 또는 八正道의 원형대로 표시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9
해심밀경(解深密經) 해심밀경(解深密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당나라 현장 번역. 법상종의 근본 경전으로 8품에 나누어 유식의 깊은 뜻을 말한 경. 제 1序品에는 敎主를 受用身으로 하고, 무량한 성문 · 보살들이 모여 오는 것을 밝히고, 제 2 勝義諦相品에는 客觀의 事相을 논술하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8
착(着) 착(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著이라고도 쓴다. 마음이 바깥 경계의 事物에 끌리어 여의지 못하는 것을 著 또는 着이라 한다. 愛着· 執着·貪着이라고도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7
정정취(正定聚) 정정취(正定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을 3종류로 분류해서 三聚·三定聚라고 하며, 三際라고도 한다. 그 명칭은 正性定聚·邪性定聚·不定性聚 또는 必正聚·必邪聚·不定聚라고도, 直見際·邪見際·亦不在邪亦不在正見際라고도 하며, 약하여 正定·邪定..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6
증오(證悟) 증오(證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올바른 지혜로 진리를 증득하여 깨달음. 참고 지혜(智慧) : 六波羅蜜의 하나. 일체의 諸法을 통달하여 得失과 邪正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 智慧山, 智慧海 등에 비유함. 智 · 慧 두글자를 특히 구별하여 쓸 경우에는 智는 解了,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5
중생본성(衆生本性) 중생본성(衆生本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의 본성은 眞如法性이 되며, 진여법성에는 不變 · 隨緣의 두 가지 뜻이 있다. 그 緣을 따라 중생이 되나 중생의 本體는 곧 法身이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4
장(藏) 장(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itaka의 번역으로 容器 · 穀倉 · 籠 · 暗記되어 있는 것 등을 의미한다. 불교에서는 경전을 유별하여 收藏한다는 의미로 經 · 律 · 論의 三藏이란 말이 있게 되었고 또 四藏 · 五藏 · 八藏 등의 분류가 있게도 되었다. 經量部..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