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상(行相) 행상(行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心識의 각자 고유한 성능을 行相이라 함. ① 소승에서는 주관의 인식 대상, 곧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위에 비친 影像을 말한다. ② 대승에서는 주관의 認知하는 작용을 말하니 곧 마음에 비친 객관의 影像을 인식하는 주관의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9
현량(現量) 현량(現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因明에서 쓰는 三量의 하나. 또는 心識三量의 하나. 현실을 量知하는 것. 비판하고 분별함을 떠나서 外界의 事象을 그대로 覺知하는 것. 예를 들면, 맑은 거울이 무슨 형상이나 있는 그대로 비치는 것 같이, 꽃은 꽃으로 보고, 노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9
주상(住相) 주상(住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相의 하나. 現象界의 生·滅 변화하는 법칙을 生·住·異·滅의 네 가지 과정으로 관측한 가운데, 두 번째 법칙. 곧 만유가 현재의 상태로 잠시 安住해 있는 모습으로, 각각의 果를 거두어 머물러 있는 상태. 참고 사상(四相) : 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6
참된 보시와 공양(인연이야기) 참된 보시와 공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불법(佛法)을 성취하려면 항상 경전을 즐겨 읽고 외고 강설해야 한다. 세상 사람이 법을 설해도 여러 천신들이 와서 듣는데 하물며 집을 나온 사람이겠느냐. 집을 나온 사람이 길을 가면서 경이나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5
절복문(折伏門) 절복문(折伏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을 가르치고 인도하는 방법에, 중생의 善을 받아들여 섭취해서 인도하는 방법(攝受門)과 중생의 惡을 折伏하고 깨뜨려서 인도하는 방법(折伏門)이 있다. 일반으로는 折伏은 攝受를 위한 앞 단계로 삼는데, 末法시대에 있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5
화신구치추(火神救雉雛) 화신구치추(火神救雉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시끄러움이 없는 한적한 곳으로 수행하기에 적당한 阿蘭若가 들판에 있었는데 들에 불이 나자 어찌할 줄 모르다가, 이 사실을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가서 끄도록 하라” 그러나 그들은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4
천(賤)한 사람(불교성전) 천(賤)한 사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을 섬기는 한 바라문의 집에 성화(聖火)가 켜지고 제물이 올려져 있었다. 부처님은 사밧티 거리에서 탁발하면서 그의 집 앞을 지나가셨다. 바라문은 부처님을 보자, 「비렁뱅이 까까중아, 거기 섰거라. 천한 놈아, 거기 섰거라...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3
지각(知覺) 지각(知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알아서 깨달음. 또는 그 능력. ② 감각 기관을 통하여 外界의 사물을 認知하는 기능. 즉 사물로부터 오는 다양한 자극에 대한 통합적인 인지 반응. ③ 慮知念覺의 줄인 말. 분별하는 것. 思考. 참고 지(知) : ① 사물을 인식하고 판..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3
풍대(風大) 풍대(風大)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또는 風界. 四大의 하나. 물질을 조작하는 4元素의 하나. 動을 그 性으로 하고 長을 그 작용으로 한다. 참고 풍(風) : ① 四大種의 하나. ② 일반에 風을 말함. 예를 들면 極樂의 장엄의 하나로서 八種淸風을 들 수 있으나 이것은, 청정..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3
해탈견고(解脫堅固) 해탈견고(解脫堅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學慧堅固. 5견고의 하나. 해탈의 과보를 달성하는 것이 확정되어 있는 뜻. 大集經에 있는 佛滅後의 제1의 5백년간은 正法이 隆盛하여 해탈을 체득하는 사람이 많은 시기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참고 오견고(五堅固) : 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