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大願) 대원(大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한없이 넓고 큰 서원. 중생이 부처되려는 소원.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려는 서원. ② 아미타불이 세운 48願. 참고 서원(誓願) : 願을 發하여, 그것을 이루고자 맹서하는 것. 불타나 보살에게는 공통된 願인 總願(四弘誓願)과 佛 ·..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6
공목장(孔目章) 공목장(孔目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권. 唐의 智嚴이 지은 것으로 자세하게는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이라 하고 줄여서는 <화엄경 공목장>이라 한다. 지엄은 먼저 <華嚴經搜玄記>를 지어 <六十華嚴>의 연구 방법을 밝히고 그 뒤 玄奘이 돌아와서 ..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5
대기설법(對機說法) 대기설법(對機說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교화를 받을 상대의 <성질이나 능력> (機)에 따라서 각각 알맞도록 여러 가지 방법으로 敎를 說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佛에 국한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隨機說法·隨機散說·隨機說·應機接物이라고도 하며, 또 機..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4
대승사과(大乘四果) 대승사과(大乘四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小乘에서 말하는 四果를 大乘의 菩薩位에 配屬한 것. 通敎의 보살이 十地의 수행을 닦아서 얻는 여러 가지 證果를 小乘의 四果에 다음과 같이 分類配對한다. (1) 初地~수다원과(須陀洹果), (2) 八地~사다함과(斯陀含果), (3) ..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4
동체삼보(同體三寶) 동체삼보(同體三寶)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體三寶라고도 한다. 본체론적으로 볼 때에는 3보는 같은 眞如法身의 3방면을 나타낸 것으로 된다. 곧 진여법신에 갖추어져 있는 圓滿靈明한 佛性을 佛寶, 그 眞如로운 法性을 法寶, 三界一家의 和合의 극치인 德相을 僧..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3
대오철저(大悟徹底) 대오철저(大悟徹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크게 깨달아 번뇌와 의혹이 모두 없어진 것. 참고 대오(大悟) : 迷妄을 여의고 진리를 깨달음. 미망(迷妄) : 事理에 어두운 것을 迷라 하고, 空虛하여 실재하지 않는 것을 妄이라 한다. 미(迷):일체 사물의 진실을 깨닫지 못하..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2
돌길라(突吉羅) 돌길라(突吉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uskrta(팔리어 dukkata)의 음역으로 突膝吉栗多·突瑟几理多·獨柯多라고도 쓰며, 惡作·惡說이라고도 번역한다. 犯戒의 죄명으로 몸과 입으로 지은 나쁜 업을 말한다. 곧 250계 가운데 2不定·100衆學·7滅諍의 109를 말한다. ..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2
대사저인(大死底人) 대사저인(大死底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死는 육체의 죽음을 일컫는다. 일체의 見·聞·覺·知를 여의고 모든 思慮分別을 끊은 사람, 곧 無念·無作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 사람. 그러나 아직 세간·출세간의 順逆을 임의로 하고 死活自在한 적극적 활동에는 익..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2
기슭에 닿았거든 배를 버려라(불교성전) 기슭에 닿았거든 배를 버려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재(齋)를 올린 뒤 스님은 법상에 올라 한참을 잠잠히 있다가 말문을 열었다.「여러 불자들, 알겠소? 여기서 당장 빛을 돌이켜 한번 보시오. 지옥 · 아귀 · 축생 · 아수라 · 인간 · 천상 등은 본지풍광(本地風..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1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비판(百日法門上,성철큰스님)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비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지금까지 대승경전의 입장에서 선(禪)과 교(敎)를 통하여 일관된 최고원리가 중도사상(中道思想)이라는 것을 설명해 왔는데 대중들도 이해했을 줄 믿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큰 문제가 하나 붙게 되었습니다. 예전.. ㄱ(기역)~ㄴㄷ(디귿) 201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