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부소행선(愚夫所行禪) 우부소행선(愚夫所行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種禪의 하나. 2乘人 및 外道들이 無我의 性, 無常, 不淨한 相 등을 觀함을 말하는 것. 참고 우부(愚夫) : 범어 bala. 婆羅라 음역. 愚痴의 범부를 가리킴. 사종선(四種禪) : 禪定에 대해 네 가지로 구별한 것. (1) 愚夫所行禪.. ᄉ~ㅇ(시옷~이응) 2018.08.14
열반경이란(알기쉬운 불교) 열반경이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경>에는 <소승열반경>과 <대승열반경>이 있습니다. <소승열반경>은 부처님의 열반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의 경과를 서술한 것이고, <대승열반경>은 부처님의 열반이 갖는 의미를 밝힌 것인데, 물론 대.. ᄉ~ㅇ(시옷~이응) 2018.08.13
성중(聖衆) 성중(聖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聖者의 群衆이란 뜻으로 佛 및 聲聞·緣覺·보살을 말함. 사람의 목숨이 다할 때에, 정토에서 아미타불 및 聖衆이 마중 오시는 것을 聖衆來迎이라 하고 그 相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聖衆來迎圖라고 한다. 참고 성자(聖者) : 聖은 .. ᄉ~ㅇ(시옷~이응) 2018.08.13
영혼에 대한 문답(밀린다王問經) 영혼에 대한 문답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나가세나가 대론을 위하여 밀린다왕의 초대를 받고 사가라에 갔을 때의 일이다. 나가세나를 모시러 간 밀린다왕의 신하인 아난타카야가 나가세나 곁에 가까이 가서 이런 질문을 했다. 「스님, 제가 나가세나라고 부를 때 그 .. ᄉ~ㅇ(시옷~이응) 2018.08.12
사유(四有) 사유(四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有란 범어 bhava의 번역으로 중생의 생존을 말함. 五取蘊(환경을 포함한 廣義의 身心)을 體로 한다. 중생이 迷惑의 世界(生死)에 輪廻하는 한 기간의 생존 상태를 4分하여 4有라 한다. 中有(죽은 뒤부터 다음 生을 받을 때 까지의 사이... ᄉ~ㅇ(시옷~이응) 2018.08.12
사종법신(四種法身) 사종법신(四種法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밀교에서 말하는 대일여래의 네 가지 法身. 곧 自性法身·受用法身·變化法身·等流法身이 그것이다. (1) 自性法身. 온갖 법의 본체로서 3世에 常住하는 佛身이며, 이를 理·智의 두 방면으로 보아, 理法身·智法身으로 나.. ᄉ~ㅇ(시옷~이응) 2018.08.12
신식(神識)에 관하여-5(대보적경-3135-627) 신식(神識)에 관하여-5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131 / 3476] 쪽 “마치 사람의 그림자가 물에 나타나되 이 그림자는 붙잡을 수 없으며 그렇다고 판별하지 못함도 아니니, 마치 추락가(芻洛迦)의 모양과 같고 갈애(渴愛)의 형상과 같으니라.” 대약 왕자가 부처님께 아뢰.. ᄉ~ㅇ(시옷~이응) 2018.08.12
유위해탈(有爲解脫) 유위해탈(有爲解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種解脫의 하나. 아라한 곧 해탈을 성취한 無學의 聖者가 對境을 了解 인정하는 마음의 작용. 곧 勝解. 이 성자는 번뇌를 단절하여 객관의 對境에 대해 緣觀이 자재하므로 解脫이라 하고 또 한편 아직 대승의 無爲解脫·구.. ᄉ~ㅇ(시옷~이응) 2018.08.11
사성언(四聖言) 사성언(四聖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聖은 正을 뜻함. 그러므로 聖言은 바른 말이다. (1) 보지 않은 것은 보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 (2) 듣지 않은 것은 듣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 (3) 깨닫지 못한 것은 깨닫지 못했다고 말하는 것. (4) 알지 못하는 것은 알지 못한다고 .. ᄉ~ㅇ(시옷~이응) 2018.08.11
수자상(壽者相) 수자상(壽者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相의 하나. 오래 살고 싶어하는 생각. 또 태어나면서부터 일정한 목숨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 참고 사상(四相) : ① 有部의 說. 生 · 住 · 異 · 滅의 네 가지를 말한다. 또 生相 · 住相 · 異相 · 滅相이라고도 한다. 합쳐서.. ᄉ~ㅇ(시옷~이응) 2018.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