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바라밀의 하나. 여기에 財施·法施·無畏施의 三施 등이 있다.
참고
육바라밀(六波羅蜜) : 범어 sat-paramita. 六波羅蜜多 · 六度 · 六到彼岸이라고도 한다. 피안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보살 · 마하살이 수행하는 대행에 여섯 가지가 있다는 것. 즉,
(1) 檀 또는 檀那바라밀. 檀那는 布施 · 施라고 번역한다. 이 보시바라밀은 財 · 無畏 · 法을 남김 없이 주고 베풀면서도 주었다는 생각마저 버림으로써 자기 자신의 탐심을 끊고 집착을 떠나며 또한 타인의 가난함을 도와주는 윤리적 실천을 말한다.
(2) 尸羅바라밀. 尸羅는 持戒 · 戒라고 번역한다. 이 지계바라밀은 재가 · 출가 모두 대소 일체의 계와 율을 견고히 지켜 惡業을 멸하고 몸과 마음의 청정을 얻는 것.
(3) 羼提바라밀. 羼提는 忍辱 · 忍이라고 번역한다. 이 인욕바라밀은 타인으로부터 받는 모든 박해나 고통을 잘 참고, 도리어 그것을 받아들임으로써 원한과 노여움을 없애고, 諸法을 밝게 관찰하여 마음이 安住하는 것을 말한다.
(4) 毘梨耶바라밀. 毘梨耶는 精進 · 進이라고 번역. 이 정진바라밀은 심신을 가다듬고 힘써 善行 특히 여러 바라밀을 꾸준히 실천하여, 해태한 마음을 버리고, 善法을 점점 더 발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5) 禪那바라밀. 禪那는 禪定 · 靜慮라 번역한다. 이 선정바라밀은 마음이 산란하여지는 것을 멈추고 4禪 · 8定 · 108삼매를 행하여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6) 般若바라밀. 般若는 지혜라 번역한다. 이 지혜바라밀은 어리석음을 고치어 모든 진리를 밝게 아는 예지, 또는 그 如實의 진리를 체득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 육바라밀은 戒 · 定 · 慧 3學의 所攝이라고 하며, 하나하나의 내용 · 순서 · 상호관계 등의 해설은 大品을 비롯하여 여러 반야경전 · 지도론, 그 밖의 여러 대승경론에 상세히 논술되어 있다. 또한 반야바라밀을 다시 方便 · 願 · 力 · 智의 4바라밀로 나누어 모두 10바라밀이라고도 한다. 6바라밀은 대승보살의 道이며 有部에서는 大毘婆沙論에 보시 · 지계 · 정진 · 반야의 4바라밀을 말할 뿐이다.
삼시(三施) : 또는 三檀.
① (1) 財施. 戒를 지키는 사람이 타인의 재물을 범하지 않으며, 또한 자기의 재물을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것. (2) 法施. 능히 사람에게 교법을 설하여 깨닫게 하는 것. (3) 無畏施. 일체 중생은 모두 죽음을 두려워 한다. 戒를 지키는 사람은 살해할 마음이 없고, 중생으로 하여금 두려움이 없게 하는 것.
② (1) 物施. 곧 財施를 말함. (2) 供養恭敬施. 믿는 마음이 청정하여 공경·예배하는 것 등임. (3) 法施. 곧 사람을 위하여 설법하는 것. (智度論十二)
③ (1) 飮食施. 굶주린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는 것. (2) 珍寶施. 가난한 사람에게 재물을 주는 것. (3) 身命施. 굶주린 사람에게 자신의 살을 떼어 주거나, 또는 온 몸을 다 주는 것. 이것은 상품의 보시다. (華嚴大疏鈔二)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현의(法華玄義) (0) | 2018.03.05 |
---|---|
불멸기원(佛滅紀元) (0) | 2018.03.04 |
불상(佛像) (0) | 2018.03.02 |
불가득(不可得) (0) | 2018.02.28 |
배(拜)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