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31

지혜화(智慧火,2207)-국어사전

지혜화(智慧火,220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지혜가 번뇌를 태워 없앰을 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

범음(梵音,991)-국어사전

범음(梵音,99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왕(梵王)의 음성. ② 불경을 읽는 소리. ③ 불보살의 음성. ④ 부처의 가르침. 참고 범왕(梵王,991)-국어사전 : 의 준말. ...범천왕(梵天王,992)-국어사전 : ① 바라문교의 교조인 조화의 신. [우주 만물의 창조신으로 사바 세계를 주재한다고 함.] ② 제석천(帝釋天)과 함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신. [부처가 세상에 나올 때마다 가장 먼저 설법을 청한다고 함.] 바라문천. 범천. 준) 범왕. ...범왕(梵王,799)-뉴사전 : 범천(梵天)의 왕. 대범천(大梵天). 산, Brahma ...범천왕(梵天王,802)-뉴사전 : 범천(梵天). 우주의 창조자. 뷔슈누신의 배꼽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경우가 있음. 범왕(梵王)과 ..

직지인심(直指人心,2212)-국어사전

직지인심(直指人心,221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교리를 궁구(窮究)하거나 계행(戒行)을 닦지 않고 직접 사람의 마음을 지도하여 불과(佛果)를 얻게 하는 일을 이르는 말. 참고 직지(直指,2449)-뉴사전 : 직접 구극의 진리를 지시하는 것. 우원(迂遠)한 언어문자에 의하지 않고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단적으로 바로 그 자체를 보이는 것. 일설에 의하면 지(指)는 가다, 향하다의 뜻이고, 직지(直指)는 직접 향하다라는 것.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수적(垂迹,1404)-국어사전

수적(垂迹,140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다시 이 세상에 나타나는 일. 참고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

불신(佛身) 2023.07.16

시현(示現,1456)-국어사전

시현(示現,145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나타내 보임. ② 신불(神佛)이 영험을 나타내는 일. ③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일. 참고 신불(神佛,1465)-국어사전 : 신령과 부처. ...신령(神靈,1463)-국어사전 : 신앙의 대상이 되는 초자연적인 정령. 검. 준말 : 영(靈). ...정령(精靈,2072)-국어사전 : ① 죽은 사람의 넋. 정백(精魄). 정혼(精魂). ② 원시 종교에서, 산천초목·무생물 따위에 붙어 있다고 믿던 혼령. ③ 만물의 근원이 된다고 하는 불가사의한 기운. ④ 생활력이나 생명력의 근원. 준말 : 정(精). ...정(精,2067)-국어사전 : ① ② ③ ④ ...검(127)-국어사전 :..

득롱망촉(得隴望蜀,675)-국어사전

득롱망촉(得隴望蜀,67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람의 욕심은 한이 없음을 이르는 말. [한(漢)나라 광무제(光武帝)가 농(隴) 땅을 평정한 뒤에 다시 촉(蜀) 땅을 차지하려고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 참고 욕심(欲心,1759)-국어사전 : 무엇을 지나치게 탐내거나 누리고 싶어 하는 마음. 욕기(欲氣). ...욕심(欲心,1868)-뉴사전 : 탐하는 마음. 탐하고 바라는 마음. 욕정(欲情). ...탐(貪,2407)-국어사전 : 의 준말. ...탐욕(貪慾,2408)-국어사전 : ① 탐내는 욕심. 준) 탐(貪). ② 불교에서 이르는 삼독(三毒)의 하나. 자기 뜻에 맞는 사물에 애착하여 만족할 줄 모르는 일. ...삼독(三毒,1220)-국어사전 : 불교에서, 착한 마음을 해치는‘..

중유(中有,2093)-국어사전

중유(中有,20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 사람이 죽어서 다음의 생(生)을 받을 때까지의 동안. 곧, 죽어 49일 동안. 참고 중유(中有,2174)-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사유(四有)의 하나. 사람이 죽어서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의 중간 존재. 중음(中陰). ...중유(中有,2392)-뉴사전 : 또는 중음(中陰)·중온(中蘊)이라고도 함. 의식을 가진 살아있는 것이 죽음의 순간(死有)부터 다음 생을 받기(生有)까지의 시기로 영혼신(靈魂身)이라고 할 수 있는 신체를 갖는다. 태어나기 전의 잠정적인 신체. 또는 이 기간에 49일이다라는 설에서 사람의 사후 7일 정도에 경전을 독송하고 7번째의 49일을 만중음(滿中陰)으로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습관이 발생해서 일반적..

정토문(淨土門,2086)-국어사전

정토문(淨土門,208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의 두 흐름 중의 하나인 타력교(他力敎).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염불을 하면 정토에 왕생하여 불과(佛果)를 얻는다는 교파(敎派)를 통틀어 이름.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

염불(念佛) 2023.07.12

예토가명인(穢土假名人,1783)-뉴사전

예토가명인(穢土假名人,178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더러운 국토에 사는 사람. 사바세계에 있는 이들. 가명인이라 함은 사람은 5온(蘊)이 가(假)로 화합한 존재로서 오래 가지 못하고 잠깐동안 있는 것을 사람이란 명칭으로써 붙인데 불과하다는 뜻으로 표시. 참고 더럽다(597)-국어사전 : ① (몸이나 물건에) 때나 찌끼 따위가 묻어 깨끗하지 못하다. ② (어떤 사물이) 불쾌할 정도로 아니꼽거나 못마땅하다. ③ (행실이나 마음씨 따위가) 천하고 추잡하다. 도덕에 벗어난 데가 있다. 국토(國土,295)-국어사전 : 나라의 땅, 곧 국가의 통치권이 미치는 지역. 방토(邦土). ...국토(國土,245)-뉴사전 : ① 나라. 일반적으로 산스크리트 원어는, 산, ksetra임. ② 나라..

삼먁삼보리(三藐三菩提.Samyak-sambo-dhi범,1221)-국어사전

삼먁삼보리(三藐三菩提.Samyak-sambo-dhi범,122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깨달음, 또는 깨달음의 경지를 이르는 말. 참고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