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31

결인(結印,148)-국어사전

결인(結印,14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언종(眞言宗)에서, 수행자가 손가락을 여러 모양으로 구부려 불보살의 힘이나 깨달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일, 또는 그 형식. 결수(結手). 참고 진언종(眞言宗,2218)-국어사전 : 대승불교의 한 파. 밀교(密敎)라고도 함. ...진언(眞言,2218)-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이나 서원(誓願)을 나타내는 말. ② 주문(呪文). ...주문(呪文,2147)-국어사전 : ① 음양가(陰陽家)나 술가(術家) 등이 술법을 부릴 때 외는 글귀. ② 천도교에서, 심령을 닦고 한울님에게 빌 때 외는 글귀. 진언(眞言). 준) 주(呪). ...밀교(密敎,893)-국어사전 : ① 불교에서, 해석이나 설명을 할 수 없는 가르침이나 경전. 주문·진언(..

각(覺) 2023.07.29

안립진여(安立眞如,1661)-뉴사전

안립진여(安立眞如,16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제(苦諦)의 실성(實性 : 고통의 본체의 본성)을 말한다. 중생의 행위 및 현상의 모든 것은 진여를 본체로하여 성립하는 것이므로 안립진여라고 한다. 7진여(眞如)의 하나.→진여 참고 고제(苦諦,200)-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사제의 하나. 중생계의 과보가 모두‘고(苦)’라고 하는 이치. ...고제(苦諦,129)-뉴사전 : 석존께서 강설(講說)하신 네 가지 진리, 즉 사제(四諦)중의 첫째. 이 세상에 살고 있는 중생들의 생존은 모두가 괴로움이라는 진리를 말한다. ...사제(四諦,1184)-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네 가지 진리. 곧, 고제(苦諦)·집제(集諦)·멸제(滅諦)·도제(道諦). 고집멸도. ..

진여(眞如) 2023.07.28

소변무기(所變無記,1391)-뉴사전

소변무기(所變無記,139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종에서 무기법(無記法)을 능변무기·소변무기·분위무기·승의무기의 넷으로 나눈 중, 이것은 제8식에서 변현한 근신(根身)·종자·기세간(器世間)이 선악에 속하지 않은 성질임을 말함. 참고 유식종(唯識宗,1949)-뉴사전 : 법상종(法相宗)의 다른 이름. ...법상종(法相宗,820)-뉴사전 : 유식종(唯識宗)·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중도종(中道宗)이라고도 한다. 소의경전(所依經典)은「해심밀경」「성유식론」「유가사지론」. 인도에서는 무착·천친이 세우고, 중국에서는 현장(玄奘)이 인도의 계현론사(戒賢論師)에게 배워 가지고 와서 규기(窺基)에게 전하다. 규기는 자은사에 있었으므로 일명 자은종(慈恩宗).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의 원측(圓測)..

무기(無記) 2023.07.27

고(苦,179)-국어사전

고(苦,17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괴로움. ② 불교에서, 괴로움·번민 따위와 마음대로 되지 아니함. [심신이 괴로워 불안한 상태로, 사고(四苦)와 팔고(八苦)가 있음.]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

苦(四苦八苦) 2023.07.26

승의근(勝義根,1483)-뉴사전

승의근(勝義根,148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기관(機官)의 능력 그 자체.→근(根) 참고 기관(器官,356)-국어사전 : 생물체를 형성하는 한 부분. 몇 개의 조직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모양과 기능을 지닌 부분. ...기관(器官,349)-국어사전 : 하나 또는 몇 개의 조직으로 이루어져 생물체를 구성하고, 일정한 모양과 생리 기능을 갖는 것(운동·감각·영양·생식 등을 갈라 맡음). 근(根,333)-국어사전 : ① 부스럼 속에서 곪아 단단하게 된 망울. ② 뿌리. ③ 대수학에서 이르는,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미지수의 값. ④ 승근(乘根). ⑤ 기(基). ⑥ [불교에서] ㉠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 강력한 힘을 이름. ㉡ [근기·근성의 뜻으로] 가르침을 받는 자의 능력을 이름. ....

근(根) 2023.07.25

삼론(三論,1220)-국어사전

삼론(三論,122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론종에서 경론으로 삼는 세 가지 책. 곧, 용수(龍樹)보살이 지은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그 제자인 제파(提婆)가 지은 백론(百論). 참고 삼론종(三論宗,1220)-국어사전 : 삼론(三論)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한 파. ...삼론(三論,1220)-국어사전 : 삼론종에서 경론으로 삼는 세 가지 책. 곧, 용수(龍樹)보살이 지은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그 제자인 제파(提婆)가 지은 백론(百論). ...삼론종(三論宗,1173)-뉴사전 : 성종(性宗)·공종(空宗)·파상종(破相宗)이라고도 함. 인도 대승불교의 중관계(中觀系)·유가계(瑜伽系) 중의 중관계에서 시작되어 중국에서 크게 번성한 종파. 용수가 지..

분단윤회(分段輪廻,1081)-국어사전

분단윤회(分段輪廻,108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분단생사의 윤회, 곧‘나서 죽고 죽어서 다시 태어나는 생애를 되풀이하는 일’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

분단신(分段身,1081)-국어사전

분단신(分段身,108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육도(六道)의 중생이 그 업인(業因)에 따라 받은 육신을 이르는 말. 범부(凡夫)의 몸.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

본지수적(本地垂迹,1048)-국어사전

본지수적(本地垂迹,104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교화(敎化)하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가지 다른 신령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일. 참고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

수법(修法,1393)-국어사전

수법(修法,13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수도(修道)하는 방법. ② 불교의 밀교(密敎)에서, 본존을 단 위에 안치하고 불보살을 생각하며 법을 닦는 일. 참고 수도(修道,1388)-국어사전 : 도를 닦음. ...수도(修道,1426)-뉴사전 : ① 견도(見道)후에 더욱 구체적인 사상(事象)에 대처(對處)하여 몇 번이고 반복하여 수습(修習)하는 단계를 말함. 삼도(三道 :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의 하나. 견도(見道)에서 본 진리를 여러 차례 되풀이해서 보는 지위. 사제(四諦)를 관찰하는 것을 되풀이해 가는 단계. 수소단(修所斷)의 번뇌를 끊는 과정. 산, bhavana marga ② 수도의 수행에 의해 도달하는 결과. ③ 불도를 수행하는 것. 불교(佛敎,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