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30

지관(止觀,2186)-국어사전

지관(止觀,218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천태종에서, 잡념을 버리고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시켜 바른 지혜로 대상을 비추어 보는 일. ②‘천태종’을 달리 이르는 말. 참고 천태종(天台宗,2290)-국어사전 : 법화경(法華經)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한 파. [고려 시대에 성하였음.] ...법화경(法華經,997)-국어사전 : 의 준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837)-국어사전 : 대승경전의 한 가지. 석가가 영원한 부처임을 설한 것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준) 법화경(法華經). ...천태종(天台宗,2520)-뉴사전 : 또는 천태법화종(天台法華宗)·천태법화원종(天台法華圓宗)·태종(台宗)·태가(台家). 중국 수나라 때 절강성 천태산에서 ..

지관(止觀) 2023.08.07

정정업(正定業,2083)-국어사전

정정업(正定業,208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에서 정당한 왕생(往生)의 행업으로 선정된 업인(業因)이라는 뜻으로] 아미타불의 명호인‘나무아미타불’을 외는 일.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516)-국어사전 : →아미타. 준) 미타불.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

나무아미타불 2023.08.06

신근(信根,1510)-뉴사전

신근(信根,151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신념의 기초. 신근의 근(根)은, 나무뿌리와 같이 능히 유지시키는 것과 생기게 하는 것을 뜻함. 5근(五根)의 하나. 또 아비달마에 의하면 정도(正道 ; 四念處觀)·조도(助道 ; 五停心觀)를 믿고 일체 무루(無漏)의 선정해탈을 생기게 하는 것을 말함. 산, sraddha-indriya 참고 신념(信念,1462)-국어사전 : 굳게 믿어 의심하지 않는 마음. 근(根,333)-국어사전 : ① 부스럼 속에서 곪아 단단하게 된 망울. ② 뿌리. ③ 대수학에서 이르는,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미지수의 값. ④ 승근(乘根). ⑤ 기(基). ⑥ [불교에서] ㉠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 강력한 힘을 이름. ㉡ [근기·근성의 뜻으로] 가르침을 받는 자의 능력..

근(根) 2023.08.05

일불정토(一佛淨土,1916)-국어사전

일불정토(一佛淨土,191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불(一佛)의 극락정토. [특히, 아미타불의 극락정토를 이름.] 참고 일불(一佛,1916)-국어사전 : ① 한 부처. ②‘아미타여래’를 달리 이르는 말. ...일불(一佛,2140)-뉴사전 : ① 석존이라는 단 한사람의 부처님. ② 일체불의 반대. 하나의 부처. 즉 자기의 본심. ③ 한 사람의 부처.「一佛成道, 觀見法界, 草木國土, 悉皆成佛」 극락정토(極樂淨土,331)-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아미타불이 살고 있다는 정토. 살아서 염불한 사람이 죽어서 불과(佛果)를 얻는 곳으로, 더없이 안락하여 즐거움만 있다고 함. 극락세계. 서방정토. 십만억토. 안락국. 안락세계. 안락정토. 안양정토. 준) 극락. 참) 금색세계. 아미..

일불승(一佛乘,1916)-국어사전

일불승(一佛乘,191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모든 중생을 구제하고 깨닫게 하는 부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일승법(一乘法).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

승(乘)이란? 2023.08.03

상행삼매(常行三昧,1255)-국어사전

상행삼매(常行三昧,125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에서, 여름철의 90일 동안 탑 따위를 돌면서, 입으로 아미타불을 부르고, 마음으로 아미타불을 생각하며 수행하는 일. 참고 상행(常行,1255)-국어사전 : ① 늘 하는 일. 평소의 행동. ② 누구나 하는 보통의 행위. ③ 옛날부터의 관행. 천태종(天台宗,2290)-국어사전 : 법화경(法華經)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한 파. [고려 시대에 성하였음.] ...법화경(法華經,997)-국어사전 : 의 준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837)-국어사전 : 대승경전의 한 가지. 석가가 영원한 부처임을 설한 것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준) 법화경(法華經). ...천태종(天台宗,2520)-뉴사전 :..

나무아미타불 2023.08.02

아비규환(阿鼻叫喚,1516)-국어사전

아비규환(阿鼻叫喚,151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말하는 가장 고통스러운 아비지옥에서 울부짖음과 같이]‘참혹한 고통 가운데서 살려 달라고 울부짖는 상태’를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용맹정진(勇猛精進,1872)-뉴사전

용맹정진(勇猛精進,187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굳세고 용맹하게 힘쓰다. 한국의 사원에서는 대접심(大接心)을 말함. 주로 구랍(舊臘)의 1일에서 8일까지의 석존성도(釋尊成道)를 기념하여 행해진다. 만칠주야(滿七晝夜)의 장좌불와(長坐不臥)의 좌선정진(坐禪精進)이 계속되며 한잠도 허용되지 않는다. 참고 굳세다(302)-국어사전 : ① 뜻한 바를 굽히지 않고 밀고 나아가는 힘이 있다. ② 힘차고 튼튼하다. 용맹(勇猛,1761)-국어사전 : 용감하고 사나움. 힘쓰다(2700)-국어사전 : ① 힘을 다하다. 노력하다. ② 애쓰다. 고심하다. ③ 부지런히 하여 나가다. ④ 남의 어려운 형편을 도와주다. 사원(寺院,1179)-국어사전 : 절. 사찰. ...사원(寺院,1106)-뉴사전 :..

직관(直觀,2208)-국어사전

직관(直觀,22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판단·추리·경험 따위의 간접 수단에 따르지 않고 대상을 직접 파악하는 일, 또는 그 작용. 직각(直覺). 참고 판단(判斷,2467)-국어사전 : 전후 사정을 종합하여 사물에 대한 자기의 생각을 마음속으로 정함, 또는 그렇게 정한 내용. 추리(推理,2332)-국어사전 : ① (밝혀진 사실을 근거로 하여)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일을 미루어 헤아림. ② 몇 가지 전제에서 결론을 끌어냄. 추론(推論). 경험(經驗,168)-국어사전 : ① 실지로 보고 듣고 겪는 일, 또는 그 과정 및 과정에서 얻는 지식이나 기능. ② 감각이나 내성(內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주관적 의식(意識). 간접(間接,47)-국어사전 : 사이에 든 다른 것을 통하여 연결..

결인(結印,148)-국어사전

결인(結印,14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언종(眞言宗)에서, 수행자가 손가락을 여러 모양으로 구부려 불보살의 힘이나 깨달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일, 또는 그 형식. 결수(結手). 참고 진언종(眞言宗,2218)-국어사전 : 대승불교의 한 파. 밀교(密敎)라고도 함. ...진언(眞言,2218)-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이나 서원(誓願)을 나타내는 말. ② 주문(呪文). ...주문(呪文,2147)-국어사전 : ① 음양가(陰陽家)나 술가(術家) 등이 술법을 부릴 때 외는 글귀. ② 천도교에서, 심령을 닦고 한울님에게 빌 때 외는 글귀. 진언(眞言). 준) 주(呪). ...밀교(密敎,893)-국어사전 : ① 불교에서, 해석이나 설명을 할 수 없는 가르침이나 경전. 주문·진언(..

각(覺) 202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