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555

삼선도(三善道,1194)-뉴사전

삼선도(三善道,119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악도(惡道)의 반대. 선업(善業)의 결과로 향하는 선한 곳이라는 뜻으로, 수라(修羅)·인(人)·천(天)의 삼취(三趣)를 말함. 참고 삼악도(三惡道,1211)-뉴사전 : 3종의 나쁜 세계의 뜻. 즉 악업에 의해 생겨나는 지옥과 아귀와 축생의 3가지 세계를 말함. 3가지 싫어해야 할 세계. (1) 지옥(팔, niraya 황천), (2) 아귀(팔, petti-visaya 祖靈), (3) 축생(팔, tiracchana yoin 동물). 악도의 산스크리트 원어는 산, durgati로 악취로도 해석됨. 취(趣)란 업에 의해 인도되어가는 장소의 생존의 상태. 세계. 3악취(惡趣)와 같음.→삼악취 .....삼악취(三惡趣,1211)-뉴사전 : ..

육도(六道,1971)-뉴사전

육도(六道,197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중생이 업(業 : 의지에 기초한 생활행위)에 의해 생사를 반복하는 여섯가지 세계. 중생이 업에 의해 향하는 곳의 생존상태(生存狀態). 미혹의 세계. 유전(流轉)의 장소. 육취(六趣)와 동일. 지옥도(地獄道趣 산, naraka-gati)·아귀도(餓鬼道趣 산, preta-gati)·축생도(畜生道趣 산, tiryagyoni-gati)·수라도(修羅道趣 산, asura-gati)·인간도(人間道趣 산, manusya-gati)천도(天道趣 산, deva-gati)를 말함. 육관음(六觀音)·육지장(六地藏)·육도전(六道錢)·육도(六道)의 십(辻) 등은, 육도(六道)에서 유래함. 수라(修羅)를 지옥에 포함시키는 오도(五道)의 사고방식도 있음. (해..

사바세계(娑婆世界,1073)-뉴사전

사바세계(娑婆世界,107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사바(娑婆)와 같음.→사바 산, saha-loka-dhatu 산, sahayam ② 인간이 사는 이 세상. 정토의 반대. 현세. ③ 바꾸어서, 인간계. 세속계. 참고 사바(娑婆,1072)-뉴사전 : 산, saha의 음역. 인토(忍土)·감인토(堪忍土)·인계(忍界)라고 한역함. 어원적으로는「참다」의 의미로, 이 세계. 이 세계의 중생은 안으로는 여러 가지 번뇌가 있고, 밖에는 풍우한서(風雨寒暑)가 있어서,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한다. 이세계. 현실의 세계. 석존이 나타나 교화하는 세계. 산, saha (표현예) 이 현실의 세계. [이 세계에는 3악5취(三惡五趣)가 잡다이 모였기 때문에 잡회(雜會)..

욕심(欲心,1868)-뉴사전

욕심(欲心,186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탐하는 마음. 탐하고 바라는 마음. 욕정(欲情). 참고 욕(欲,1865)-뉴사전 : ① 일반적 용례로서는 갈애(渴愛)·탐함·망집(妄執) 등을 가리키는 말로서 쓰여짐. 팔, tanta ② 아비달마 교학에서는 심소(心所)의 하나. 희망. 물사(物事)를 하고 싶다는 욕구. 애락(愛樂)하는 사물에 대해 소망.「구사론」에서는 대지법(大地法)의 하나. 유식(唯識)에서는 오별경(五別境)의 하나. 산, chandas 산, chanda (해석예) 욕(欲)의 심소(心所)는 선(善)도 악(惡)도 무기(無記)도 희망하는 마음임. ③ 욕계(欲界). ④ 남녀의 애욕(愛慾). 음욕(婬欲). ⑤ 의욕(意欲). 명상의 과정에 있어서의 6종류의 결함 중 하나인 해태..

무(無,621)-뉴사전

무(無,62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존재하지 않는 것. 존재 않음. 산, abhava 산, avidyamana 산, nasti 산, asat 산, asambhava ② 없어지다. ③ 성립할 수 없는 것. 있을 수 없음. ④ 이유가 없음. ⑤ 경험 이전, 지식이전의 순수한 인간의 의식. 특히 선(禪)에서 말함. ⑥ 노자(老子)가 설한 무(無). 노자(老子)는「談 無曰 道」이므로, 불교의 공(空)과는 구별해야 한다고 말함. ⑦ 문장의 마지막에 붙으면 의문의 조사(助詞)가 됨.「狗子還有=佛性-也無」 ⑧ 한문에서의「無」의 용례. (1) 문두(文頭)에서 의미없는 조사. (2)「無亦」의 역(亦) (그 정도로). (3) 문장안에서의 허자(虛字)로서 사용함. (4) 모(母 의미없는 문..

무(無)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