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5

안근(眼根,1659)-뉴사전

안근(眼根,165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근(根)·6근의 하나. 눈의 감각을 생기게 하는 기반이 되는 것. 땅·물·불·바람의 사대(四大)로부터 이루어져, 그 체질은 맑고 고요하고, 육안을 갖고 볼 수 없는 것을 승의근(勝義根)이라고 함. 육안을 갖고 볼 수 있는 안구는 이것을 부진근(扶塵根)이라고 하며, 승의근이 의존하는 것임. 맹인 등은 승의근이 있지만, 부진근이 없기 때문에 눈의 감각을 생기게 할 수 없다고 함. 참고 오근(五根,1790)-뉴사전 : ① 5종류의 감각을 일으키는 기관. 5종류의 지각능력. 눈·귀·코·혀·몸의 5가지 감관(感官). 5가지 감각기관. 감각을 일으키는 눈·귀·코·혀·몸(根은 機關·機能·能力 등의 의미) 이들 오근(五根)은 색온(色蘊 : 물질적..

근(根) 2020.08.17

의식(意識,2029)-뉴사전

의식(意識,202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알고 사고하는 마음. 생각하는 마음. 현대의「의식」과 반드시 같지는 않다. 의식은 과거·미래의 대상에 대해서도 작용한다. 즉, 과거를 추억하고 미래를 예상할 수가 있다. 제6식. ② 뜻에 의해 생기는 집착. 의식은 상속식(相續識)과 다르지 않지만, 상속식은 세(細), 의식은 추(麤), 즉 상속식이 실제상 작용하는 것이 의식이다. ③ 의식의 영역.

식(識) 2020.08.16

신식(身識,1520)-뉴사전

신식(身識,152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촉각의 인식, 촉각적 인식작용의 뜻. 촉각하는 마음. 신체(身體)로 대상을 지각하는 작용. 참고 촉각(觸覺,2322)-국어사전 : 오감(五感)의 하나. 온도나 아픔 따위를 분간하는 피부의 감각. 촉감(觸感). .....오감(五感,1695)-국어사전 :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의 다섯 감각. 오각(五覺). 인식(認識,2114)-뉴사전 : (1) 사물을 확실히 알고 그 의의(意義)를 옳게 이해하는 것. (2) 의식(意識)하여 아는 작용의 총칭. .....인식(認識,1903)-국어사전 : ① 사물을 깨달아 아는 일. ② 사물의 의의를 바르게 이해하고 판별하는 마음의 작용. 작용(作用,2210)-뉴사전 : ① 일. 활동. 사물에 갖추어 있..

식(識) 2020.08.15

설식(舌識,1340)-뉴사전

설식(舌識,134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미각하는 마음. 혀의 감각. 6식(六識)·8식(八識)의 하나. 혀에 따라 맛을 알아차리는 의식(인식작용), 설근(舌根)을 근거로 함.→육식 (해석예) 맛을 아는 마음. 참고 미각(味覺,879)-국어사전 : 오감(五感)의 하나. 혀 따위로 맛을 느끼는 감각. [단맛·짠맛·쓴맛·신맛 따위의 감각.] 미감(味感). 심(心,1540)-뉴사전 : ① 마음. 우주의 존재 일반에 대한 인간의 정신. 심왕(心王)이라고도 함. 산, citta 「마음을 허적(虛寂)하게 가라앉히다」② 지의(智顗)는 산, citta를 산, ci(겹쳐 쌓는다)라는 어근(語根)으로부터 왔다고 이해하고,「積聚精要」로 해석하고 있음. 이것은 인도에서의 통속어원해석을 받고 있는 ..

식(識) 2020.08.14

비식(鼻識,1023)-뉴사전

비식(鼻識,102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코의 감각. 후각기관에 의한 식별 작용. 후각하는 마음. (해석예) 향을 맡는 마음. 참고 코(2377)-국어사전 : ① 척추동물의 오관(五官)의 하나. 호흡기로 통하는 기도(氣道)가 몸 밖으로 열려 있는 부분. 숨을 쉬고 냄새를 맡는 구실을 하며, 발성(發聲)에도 관계됨. ② 코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진득진득한 액체. 콧물. ③ 고무신이나 버선 등의 앞쪽 끝에 오똑하게 내민 부분. 감각(感覺,56)-국어사전 : ① 눈·귀·코·혀·살갗 등을 통하여 어떤 자극을 받아들임. ② 사물의 가치나 변화 등을 알아내는 정신 능력. 후각기(嗅覺器,2673)-국어사전 : 냄새를 느끼는 감각기관. 척추동물은 코, 곤충류는 촉각임. 후관. 식별(識別,1..

식(識) 2020.08.13

이식(耳識,2067)-뉴사전

이식(耳識,20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귀의 감각. 귀에 의해 음성을 식별하는 작용. 청각이라는 인식 기능. 청각하는 마음. 육식(六識)의 하나. (해석예) 소리를 듣는 마음. 참고 귀(313)-국어사전 : ① 오관(五官)의 하나. 사람을 비롯한 척추동물의 얼굴 좌우에 있으며, 청각과 평형 감각을 맡아봄. ② 의 준말. ③ 의 준말. ④ 바늘의 실을 꿰는 구멍. ⑤ 모난 물건의 모서리. ⑥ 넓적한 바닥의 모퉁이. ⑦ 두루마기의 양쪽 겨드랑이 밑의 손 넣는 구멍. ⑧ 두루마기나 저고리의 섶 끝. ⑨ 의 준말. ⑩ 바둑판의 네 모퉁이 부분. ⑪ 돈머리에 좀 더 붙은 우수리. 감각(感覺,56)-국어사전 : ① 눈·귀·코·혀·살갗 등을 통하여 어떤 자극을 받아들임. ② 사물의 가..

식(識) 2020.08.12

안식(眼識,1662)-뉴사전

안식(眼識,166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눈의 감각. 시각의 인식. 보는 것에 의해 생기는 인식. 시각적 인식 작용이라는 뜻. 시감각과 결부한 순수의식. 눈으로 깨닫는 마음. 5식(識)·6식의 하나. 안근을 근본으로서 생기게 하고, 대상으로서의 색을 분별하는 작용을 말함.「눈 및 색에 의존해서 안식(眼識)은 생긴다」라고 설명된다. (해석예) 색(色)을 보는 마음. 참고 눈(500)-국어사전 : ① (사람이나 동물의) 물건을 보는 감각 기관. 목자(目子). [빛의 자극으로 보는 기능이 생김.] ② 물체를 볼 수 있는 능력. 시력. ③ 어떤 사물을 보고, 그 사물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 따위를 가려내는 능력. ④ 눈길. ⑤ 어떤 사물에 대해 갖는 생각이나 태도. 감각(感覺,..

식(識) 2020.08.11

촉(觸,2550)-뉴사전

촉(觸,255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피부촉감·손촉감 등의 감촉(感觸). 감촉(感觸). 접촉(接觸). 접촉감상(接觸感賞). 매끈함·꺼칠함·무거움·가벼움·차가움·배고픔·목마름의 칠종(七種)외에 지(地)·수(水)·화(火)·풍(風)의 사원소(四元素) 각각의 특성으로서의 단단함·습윤성(濕潤性)·열성(熱性)·유동성이 포함됨. [표현예] 접촉. 촉감. ② 가촉성(可觸性). 접촉되어지는 것. 신근(身根)의 작용 대상. 육경(六境)의 하나. 가촉물(可觸物). 신체에 접촉해서 지각되는 것. 물체. ③ 기관과 대상과의 접촉. ④ 감각기관과 대상과 의식작용의 접촉. 근(根)·경(境)·식(識)의 삼화합(三和合). 마음의 내계와 외계의 접촉. 소승의 아비달마에 있어서는 십대지법(十大地法)의 하..

육경(六境) 2020.08.10

미(味,703)-뉴사전

미(味,70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맛. 미각(味覺). 혀의 감각기관이 작용하는 영역. 단맛·쓴맛·신맛·매운맛·짠맛·떫은맛의 6종류가 있어, 육미(六味)라 함. ② 전하여 감각적인 맛. 감각적인 기쁨. 이 세상의 자체의 맛. ③ 애착(愛著). 칠미(七味)를 헤아림. ④ 먹는 것. 맛보는 것. 변하여 탐닉(耽溺)하는 것. 갈애(渴愛)를 의미함. ⑤ 선원(禪院)에 있어서 육미(六味)라 칭하여, 식사(食事)의「맛(味)」를 말함. ⑥ 바이세시카 학파의 용어로, 덕(德)의 제2. 미각의 대상(對象). ⑦ 문자. 음절의 오역(誤譯). 참고 맛(766)-국어사전 : ① 음식물 따위가 혀에 닿았을 때 일어나는 느낌. ② 어떤 일에 대한 재미 또는 만족감. ③ 어떤 일을 몸소 겪음으로써..

육경(六境) 2020.08.09

향(香,2772)-뉴사전

향(香,277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향기. 향기가 나무조각이나 나무껍질로부터 제조한 것으로 인도에서는 체취 등을 없애기 위해 열대지방에 많은 향목으로부터 향료를 채취해, 몸에 바르기도 하고, 의복이나 방에 피우는 풍습이 있음.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공양하는 방법으로서 소향(燒香)·도향(塗香)을 십종공양(十種供養)·오공양력(五供養力) 등 중에 헤아리고, 향화(꽃과 향)라고 숙어로 하여 꽃과 함께 부처님에게 공양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함. 원료인 향목의 종류에는 전단향(栴檀香)·침향(沈香)·용뇌향(龍腦香)·가라(伽羅)·안식향(安息香), 사후란의 꽃을 눌러 만드는 울금향(鬱金香) 등이 있고, 사용법으로는 도향(塗香)에 쓰이는 향수(香水)·향유(香油)·향약(香藥)·소향용(燒香用)..

육경(六境) 202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