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선(第二禪) 제이선(第二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色界 四禪天의 제2. 여기에 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의 3天이 있다. 사려분별의 작용을 여의고 喜樂 등의 情만 있는 禪定. 이런 禪을 닦아서 나는 第二禪天을 가리킴. 劫末의 大水災는 이 하늘에까지 한한다고 함. 참고 색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6
전수(專修) 전수(專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오로지 한 가지 일만을 닦는 것을 專修, 이에 대해 다른 일을 더불어 함께 닦는 것을 雜修라 한다. 淨土敎에서는 極樂淨土에 往生하는 원인이 되는 행위를 닦는데 관한 말로 쓴다. 곧 專修는 행위의 내용이나 마음가짐에 있어서 정..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6
점기(漸機) 점기(漸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곧바로 正道에 들어가지 못하고, 점차로 방편에 의하여 正道에 들어가는 사람을 말함. 鈍根者. 참고 정도(正道) : ① 正眞의 師道, 三乘所行의 無漏道란 뜻. 一切法의 根本體性은 차별을 뛰어 넘어 一味平等한 絶對無爲의 경지이며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6
참마음이 있는 곳(眞心所在)-(선문촬요) 참마음이 있는 곳(眞心所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이가 물었다. "망심을 쉬면 참마음이 나타난다 하니, 그러면 그 참마음의 본체와 작용이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나는 답하였다. "참마음의 묘한 본체가 온갖 곳에 두루하였다. 영가스님이 말하기를 '제자리를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5
퇴대성문(退大聲聞) 퇴대성문(退大聲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래는 보살이었으나 소승의 가르침을 듣고 성문으로서의 실천을 하기에 이른 이. 5종 성문의 하나. 참고 보살(菩薩) : 菩提薩埵 · 菩提索多 · 冒地薩怛縛 · 扶薩이라고도 하며, 道衆生, 覺有情, 道心衆生 등이라고 번역..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5
참선 수행(百日法門,성철큰스님) 참선 수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제까지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계속 강조해 왔습니다. 그러면 우리들이 마음을 깨치려고 하면 여러 방법이 있는데 교(敎)에 있어서는 중생의 근기에 따라 삼승십이분교가 벌어지고 또 선(禪)에 있어서는 언어문자를 버리고 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4
하구식(下口食) 하구식(下口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邪命食의 하나. 밥을 빌어 생활하여야 할 비구가 농사를 짓거나, 온갖 약을 만드는 등의 일을 해서 의식을 마련해서 생활하는 것. 참고 사명식(邪命食) : 바르지 않은 삿된 방법으로 생활하는 것을 말함. 사사명식(四邪命食) :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4
투침(投針) 투침(投針)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문하에 들어오는 제자가 스승의 뜻에 부합한다는 뜻. 迦那提婆가 처음 용수를 찾아갔을 때 용수가 발우에 물을 담아서 보이니, 제바는 잠자코 그 가운데 바늘을 던져서 입문하는 뜻을 나타낸 것이 용수의 뜻에 계합되었다는 옛 일..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4
협사(脇士) 협사(脇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脇侍·夾侍·俠侍·脇立과 같음. 士는 大士의 준말. 보살의 번역. 부처님의 좌우에 모시고 있는 보살.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아미타불의 脇士,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은 약사여래의 협사,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석가모니불..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4
전수염불(專修念佛) 전수염불(專修念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기의 諸行을 행하지 아니하고 오직 “나무아미타불”만을 부르는 것. 참고 전수(專修) : 오로지 한 가지 일만을 닦는 것을 專修, 이에 대해 다른 일을 더불어 함께 닦는 것을 雜修라 한다. 淨土敎에서는 極樂淨土에 往生..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