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응본(中道應本) 중도응본(中道應本)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의 敎義. 別圓二敎에 의해서, 圓實의 中道로써 應化身의 근본을 삼음을 말한다. 藏通二敎의 뜻에 의하면 實諦는 偏眞의 空理로서 三界의 諸法은 본래 理 밖에 있어서 惑業의 인연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惑을 아주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6
정업(正業) 정업(正業)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八正道의 하나. 四諦의 진리에 맞는 正見 · 正思惟에 입각한 身 · 口 · 意 특히 身業의 행위를 말함. ② 正行 · 助行이라고도 하며 직접 원인이 되는 行과 간접 원인이 되는 行을 가리킨다. 淨土敎에서 五正行 가운데 稱名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5
정등각(正等覺) 정등각(正等覺)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anuttara-samyak-sambodhi의 번역. 佛陀의 깨달음이 無上의 正智임을 일컫는 말. 覺은 一切法을 覺知하는 지혜를, 그 지혜가 邪됨이 없음을 正, 또 하나만 알고 다른 것을 모르는 偏智가 아님을 等이라 하여, 正等覺이라 한다. 참..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5
절(寺) 절(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像을 安置하고 僧尼가 머물며 修道하는 곳을 일컫는다. 범어 vihara는 곧 修行하는 道場이란 뜻으로 毗訶羅 · 鼻訶羅 등으로 음역하고 住處 · 遊行處 등으로 번역하며, 또 범어 samgharama는 僧伽藍摩 · 伽藍이라 음역하고 衆園이라 번..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5
전식득지(轉識得智) 전식득지(轉識得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唯識宗의 용어. 佛界에 이르기까지 有漏의 八識(阿賴耶識)을 닦아서 轉向하여 無漏의 四智를 성취하는 것. 見道位에 들어 갈 때에 제八識을 轉向하여 大圓鏡智를 이루고 제七識을 轉向하는 平等成智를 이루고 前五識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5
자비(慈悲) 자비(慈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慈, 중생의 苦를 없애 주는 것을 悲라 한다. 반대로 苦를 없애 주는 것을 慈, 樂을 베풀어 주는 것을 悲라 한다. 그러므로 두 가지를 다하는 拔苦與樂이 자비다. 또 衆生緣慈悲 · 法緣慈悲 · 無緣慈悲..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4
진제(眞諦) 진제(眞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諦는 실다운 진리, 변하지 않는 진리, 또는 聖者가 본 참다운 진리의 가르침의 뜻으로 이것을 또한 眞諦라 한다. 원시불교의 敎義의 기초가 되고 있는 四諦 가운데 苦 · 集의 원리는 俗諦이고 滅은 眞諦이며 道는 觀察의 정도에 따..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4
화엄종(華嚴宗) 화엄종(華嚴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宗의 하나.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敎義를 크게 大成시킨 賢首의 이름을 따서 賢首宗이라고도 한다. 隋 · 唐시대 인도불교의 굴레를 벗어나 중국적 불교의 전성시대에 삼론종 · 천태종 ·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3
혹업고(惑業苦) 혹업고(惑業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惑業事 · 惑業生이라고도 함. 迷의 인과를 나타내는 말. 惑은 탐 · 진 · 치 등의 번뇌, 業은 惑을 근거로 하는 선악의 행위를 짓는 것, 苦는 이 業에 의하여 받게 되는 과보인 三界에 유전하는 것. 이것은 중생이 윤회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3
지견(智見) 지견(智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正智見, 또는 知見이라고도 함. 意識에 의해 아는 것을 知, 眼識에 의해 보는 것을 見이라 한다. 또 推求를 見, 覺了를 見이라고도 한다. 또 三智를 知, 五眼을 見이라 한다. 事理를 證知하는 慧의 작용을 일컫는다. 참고 삼지(三智)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