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반야(實相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般若의 하나. 般若는 지혜 또는 밝음(明)이라 번역한다. 文字般若와 함께 般若에 대하여 觀照되는 境界로서, 지혜로 證得한 바 理體 곧 萬有의 本體를 말한다.
참고
이반야(二般若) : 반야를 두 가지로 분류한 것. ① 智度論에는 共般若와 不共般若. 천태종에서는 共般若를 通敎에서 말한 반야이며, 不共般若를 別敎와 圓敎에서 말한 반야라 함. ② 大集地藏十輪經에는 世間반야와 出世間반야. ③ 華嚴經疏에는 實相반야와 觀照반야로 분류함.
문자반야(文字般若) : 5종반야 가운데 하나. 문자는 능히 반야의 法을 나타내며, 문자의 性은 空寂하여 본래 해탈하는 반야가 된다. .....5종반야(五種般若)→깨달음에 이르는 智慧를 다섯으로 분류한 것. (1) 實相반야. (2) 觀照반야. (3) 文字반야. (4) 境界반야(般若지혜의 대상으로서 객관의 一切諸法). (5) 眷屬반야(諸法의 實相을 아는 觀照智로서의 반야에 수반하여 이것을 도웁는 六波羅蜜 등의 諸種의 수행).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受) (0) | 2018.02.12 |
---|---|
색(色) (0) | 2018.02.12 |
원증회고(怨憎會苦) (0) | 2018.02.11 |
삼승기(三僧祇) (0) | 2018.02.11 |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0) | 2018.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