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일(放逸) 방일(放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心所(心의 작용)의 이름. 放縱하여 욕망이 작용하는 대로 흘러 善을 힘쓰지 않는 마음의 상태. 구사종에서는 모든 汚染心(不善心과 有覆無記心)과 相應해서 心所의 하나로 大煩惱地法으로 하고, 유식종에서는 大隨惑의 하나로 한.. ᄇ(비읍) 2018.01.18
본각(本覺) 본각(本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始覺] 無始이래의 迷(煩惱)를 수행에 의해 차례로 쳐부셔 서서히 心源을 깨닫는 것을 始覺이라 하고, 번뇌로 더럽혀진 迷의 모습이지만, 心의 本性은 본래가 淸淨한 覺體인 것을 本覺이라 한다. ① 起信論에서는 萬有는 一心안에 .. ᄇ(비읍) 2018.01.18
비구(比丘) 비구(比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비구는 범어 bhiksu의 音譯. 苾蒭 ∙ 苾芻 ∙ 煏芻 ∙ 備芻 ∙ 比呼라고도 말하고, 乞士 ∙ 乞士南 ∙ 除士 ∙ 薰士 ∙ 破煩惱 ∙ 除饉 ∙ 怖魔 등으로 번역한다. 男子로서 出家하여 具足戒를 받은.. ᄇ(비읍) 2018.01.18
법집(法執) 법집(法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객관인 物 · 心 현상을 실재한 것인 줄로 잘못 알고 고집하는 것. ② 敎法에 얽매여 그것을 집착하고, 도리어 진정한 覺悟를 얻지 못하는 것. 참고 현상(現相) : 起信論에서 설한 三細의 하나. 境界相의 다른 이름. 三細 가운데 .. ᄇ(비읍) 2018.01.18
법(法) 법(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harma의 번역. 達磨 · 䭾摩 · 曇摩 · 曇無 · 曇은 그 음역이다. 任持(또는 能持)自性 · 軌生物解의 두 뜻을 갖는다고 한다. 곧 그 자체의 自性(獨自의 本性)을 간직하여 改變하지 않고 軌範이 되어서, 사람으로 하여금 일정.. ᄇ(비읍) 2018.01.17
범천(梵天) 범천(梵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rahma-deva. 色界 初禪天. 梵은 맑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이 하늘은 欲界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고요하므로 梵天이라 한다. 또한 여기에 梵衆天 · 梵輔天 · 大梵天 등 세 하늘을 梵天이라 통칭한다. 梵天이라 할 때.. ᄇ(비읍) 2018.01.17
보리(菩提) 보리(菩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odhi의 음역. 覺 · 智 · 知 · 道라고 번역한다. 佛 · 연각 · 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佛陀의 보리가 더할나위 없는 최상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아뇩다라.. ᄇ(비읍) 2018.01.17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 그대로가 보리라는 것. 生死 즉 열반과 같이 쓰는 말. 중생의 迷見으로 보면 迷妄의 주체인 번뇌와 覺悟의 주체인 보리가 딴판이지만 깨달은 눈으로 보면, 두 가지가 그대로 하나이어서 차별이 없다는 근거에 두 .. ᄇ(비읍) 2018.01.17
바라밀(波羅蜜) 바라밀(波羅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aramita의 음역. 波羅蜜多라고도 쓰고, 到彼岸 · 度無極 · 度라 번역함. 미혹의 이 언덕에서 깨달음의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으로 보통 보살이 그것에 의지해 닦는 行을 말함. ① 六波羅蜜. 六度라 번역한다. 大乘의 보살.. ᄇ(비읍) 2018.01.17
백팔번뇌(百八煩惱) 백팔번뇌(百八煩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의 數를 百八이라고 세는 것. 그 세는 법에는 異說이 있어, (1) 十纒(전)과 九十八結. (2) 六根은 六塵의 境을 대상으로 할 때, 각각 好 · 惡 · 平(非好非惡)의 세가지가 있어 십팔이 되고, 각각에 染 · 淨의 둘이 있.. ᄇ(비읍) 2018.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