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성불(本來成佛) 본래성불(本來成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心과 佛과 衆生이 다 근원적으로는 眞如의 本來佛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生死·번뇌도 알고 보면 이 眞如를 아주 여의고서 있는 것이 아니며 중생의 분별심 그 자체도 本來佛 자리를 떠나서는 존립할 수도 없다. .. ᄇ(비읍) 2018.01.16
본래면목(本來面目) 본래면목(本來面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깨달은 경지에서 나타나는 自然 그대로의 조금도 人爲를 더하지 않은, 모든 사람들이 갖추고 있는 心性을 말한다. 禪宗의 用語로 제6祖 慧能이 처음으로 한 말이다. 또 本地風光, 本分의 田地 등이라고도 한다. 참고 범소.. ᄇ(비읍) 2018.01.16
불이(不二) 불이(不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實의 이치가 평등하여 피차의 분별이 없는 것. 보살은 一實平等의 이치에 깨달아 들어갔으므로 入不二法門이라 함. 維摩經에 33인이 不二法을 얻었다고 說한다(維摩經 入不二法門品). 大乘義章一에 不二는 無異를 말한다고 하였.. ᄇ(비읍) 2018.01.15
반야(般若) 반야(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ajna의 음역. 波若. 般羅若. 鉢刺若라고도 한다. 慧·智慧·明·黠慧라고 번역한다. 모든 사물의 도리를 분명히 뚫어 보는 깊은 지혜를 말한다. 보살이 깨닫고 彼岸에 도달하기 위해 닦는 六種의 行. 곧 六波羅蜜 가운데 .. ᄇ(비읍) 2018.01.15
보시(布施) 보시(布施)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ana의 번역. 檀那 · 柁那 · 檀이라 음역하고 베푼다고 한다. 또 범어 daksina는 達嚫(嚫은 䞋이라고도 쓴다) · 大嚫 · 嚫 등이라 음역하고 財施 · 施頌이라 번역하고 嚫施라고도 한다. 達嚫은 .. ᄇ(비읍) 2018.01.14
불법(佛法) 불법(佛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부처가 說하신 敎를 佛法이라고 한다. 成實論卷一에는 여섯 가지 동의어를 들고 있다. 이것을 佛法六名이라고 한다. 곧 (1) 善說(있는대로 說하기 때문). (2) 現報(現世에 있어서 果報를 얻게 하기 때문에) (3) 無時(吉凶이 때를 가.. ᄇ(비읍) 2018.01.14
번뇌(煩惱) 번뇌(煩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lesa의 번역. 吉隷捨로 음역하고, 惑이라고도 번역한다. 중생의 몸이나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고 어지럽히고 미혹하게 하여 더럽히게 하는 정신작용의 총칭. 그 성질은 不善 및 有覆無記이다. 중생은 번뇌에 의해서 업.. ᄇ(비읍) 2018.01.14
범부(凡夫) 범부(凡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必栗託仡那라고 음역하고, 異生이라고 直譯한다. 또 婆羅必栗託仡那(小兒凡夫, 嬰兒凡夫, 愚異生)라고도 한다. 聖者(聖人, 聖)에 대해서, 어리석은 凡庸한 士夫(人間)란 뜻. 異生이란 말은 여러 가지 견해나 번뇌에 의해.. ᄇ(비읍) 2018.01.13
배불숭유정책(排佛崇儒政策) 배불숭유정책(排佛崇儒政策)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朝鮮王朝에서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숭상하던 국가정책. 조선시대의 가장 중요한 국가적 지도 이념의 하나로서 고려시대의 정신적·형이상학적 가치체계였던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특히 새로이 도입된 朱子.. ᄇ(비읍) 2018.01.11
보현보살(普賢菩薩) 보현보살(普賢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mantabhadra · Vis=vabhadra. 三曼多跋捺羅 · 邲輸跋陀라 음역. 遍吉이라 번역. 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의 脇士로 유명한 보살. 문수보살이 여래의 왼편에 모시고 여러 부처님네의 智德 · 體德을 맡음에 대하여, .. ᄇ(비읍) 201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