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6

여시과(如是果,1720)-뉴사전

여시과(如是果,172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십여시(十如是)의 하나. 과(果)는 습과(習果). 아래로 지옥계로부터 위로 불계(佛界)에 이르기까지 선인(善因)을 습성(習性)하면 선과가 나고, 악인을 습성하면 악과(惡果)가 나는데 초목에 이르기까지 각각 자인(自因)을 습성(習性)하여 자과(自果)를 내는 것이 여법(如法)하다는 것.→십여시 참고 여시(如是,1719)-뉴사전 : ① 이와 같이. 이렇게. 산, evam (해석예) 이대로,라는 것. ② 이러한. 명사를 수식한다.「如是諸世界」 산, tathavidha 산, evamrupa 티, de lta ba ③ 있는 그대로. 산, tatha ④ 성덕태자(聖德太子)에 의하면,「信」을 나타낸다. 승조(僧肇)에 의하면「信順之辭」이다. ⑤ ..

마군(魔軍,736)-국어사전

마군(魔軍,73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헤살을 부리는 무리. ② 불교에서, 불도를 방해하는‘온갖 번뇌나 악사(惡事)’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헤살을→헤살(2604)-국어사전 : 짓궂게 훼방함, 또는 그 짓. ...짓궂다(2231)-국어사전 : 일부러 남을 귀찮게 하여 곰살갑지 않다. 성미가 심술궂은 데가 있다. ...심술궂다(1484)-국어사전 : 심술이 몹시 많다. ...심술(心術,1484)-국어사전 : ① 온당하지 않게 고집을 부리는 마음. ② 짓궂게 남을 괴롭히거나 남이 잘되는 것을 시기하거나 하는 못된 마음. ...온당하다(穩當-,1719)-국어사전 : 사리에 맞고 무리가 없다. ...무리¹(無理,845)-국어사전 : ① 힘겨운 일을 억지로 우겨서 함. ②..

만자(卍字,756)-국어사전

만자(卍字,75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만’자 모양의 무늬나 표지. ② 불교에서, 부처의 가슴·손발·두발(頭髮) 등에 나타난 길상 만덕(吉祥萬德)의 상(相)을 나타내는 표지를 이름. 참고 만(卍,749)-국어사전 : ① 불교의 표지(標識). ② 인도에 전하여 오는 길상(吉祥)의 표상. [불교에서는 불상의 가슴에 그림.] ...표지(標識,2509)-국어사전 : 다른 것과 구별하여 알게 하는 데 필요한 표시나 특징. 표치(標幟). ...구별(區別,276)-국어사전 : ① 종류에 따라 갈라 놓음. ② 차별을 둠. ...차별(差別,2250)-국어사전 : 차가 있게 구별함. ...차(差,2247)-국어사전 : ① 서로 다른 정도. ② 수학에서, 어떤 큰 수효에서 다른 작은 수효..

佛性이란? 2024.01.18

말세(末世,763)-국어사전

말세(末世,76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정치나 도의 따위가 어지러워지고 쇠퇴하여 가는 세상. 계세(季世). 말대(末代). 말류(末流). ② 불교에서 이르는, 말법(末法)의 세상. ③ 기독교에서 이르는, 예수의 탄생부터 재림까지의 세상. 참고 정치나→정치(政治,2013)-국어사전 : ① 국가의 주권자가 그 영토 및 국민을 통치함. ② 권력의 획득·유지 및 행사 따위에 관한 여러 현상. ...국가(國家,286)-국어사전 : 일정한 영토와 그곳에 사는 일정한 주민들로 이루어져, 주권에 의한 통치 조직을 지니고 있는 사회 집단. 나라. 방국(邦國). ...영토(領土,1686)-국어사전 : ① 영유하고 있는 땅. 땅¹. 영지(領地). 토지. ② 그 나라가 영유하고 있는 땅. 그..

마하살(摩訶薩Maha-sattva범,746)-국어사전

마하살(摩訶薩Maha-sattva범,74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① 대성인(大聖人). ② 큰 보살(菩薩).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상유식(相唯識,1264)-뉴사전

상유식(相唯識,126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성유식(性唯識)·위유식(位唯識)의 상대어. 유식의 모양을 밝힌 부문이란 뜻. 실성인 이체(理體)를 의지하여 성립된 의타기성(依他起性)의 물(物)·심(心)의 모든 법을 밝힌 유식의 부문(部門)을 말함. 참고 상(相,1245)-뉴사전 : ① 모습. 형태. 상태. 양상. 양태. 모양. 외견의 모습. 밖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 ② 특질. 특징. ③ 성질. ④ 생각한다고 하는 것. 상(想)과 같음.→상(想) 산, samjna ⑤ 종적을 남기고 싶다고 하는 생각. 산, nimitta-samjna 산, nimitta라 함은 사물의 표상. 불교에서는 이것을 버리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내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었다 라는 세가지의 생각을 떠나..

삼성(三性) 2024.01.15

환희천(歡喜天,2655)-국어사전

환희천(歡喜天,265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를 수호하는 신(神). 코끼리 머리에 사람 몸을 한 단신(單身) 또는 쌍신(雙身)의 신인데, 병고와 환난을 없이 하며, 특히 부부 화합과 오곡의 풍요를 관장한다 함. 참고 불교를→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

출가계(出家戒,2341)-국어사전

출가계(出家戒,234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계(三戒)의 하나. 출가한 중이 지켜야 하는 계. 참) 재가계·도속공수계.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

업력(業力,1620)-국어사전

업력(業力,162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과보를 가져다 주는 업인(業因)의 힘을 이르는 말. 참고 업(業,1619)-국어사전 : ① 의 준말. ② 불교에서, 전세(前世)에 지은 악행이나 선행으로 말미암아 현세에서 받는 응보를 이르는 말. 갈마(羯磨). 본) 삼업(三業). ...업(業,1703)-뉴사전 : ① 이루는 움직임. 작용. 산(산스크리트어), karman ② 인간이 하는 행위. 행동. 행위의 움직임. 동작. 보통, 몸·입·뜻의 3업(業)으로 분할. 몸과 입과 뜻이 이루는 일체의 행위. 즉, 신체의 동작, 입으로 하는 말, 마음의 의사나 생각 모두를 총칭함. 의지·동작·언어의 역할의 총칭. 의지에 근거한 신심의 활동. ③ 행위가 남기는 잠재적인 업력(業力)..

인과(因果) 2024.01.12

삼귀의(三歸依,1218)-국어사전

삼귀의(三歸依,12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문(佛門)에 처음 들어와서 행하는 의식으로서] 불(佛)·법(法)·(僧)의 삼보(三寶)에 귀의하는 일. 준) 삼귀. 참고 불문(佛門)에→불문(佛門,1095)-국어사전 : →불가(佛家). 석문(釋門). ...불가(佛家,1089)-국어사전 : ① 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그 사회. 불문(佛門). 불법계. 석가. 석문(釋門). 석씨(釋氏). 승문(僧門). ② 절. ...사회(社會,1193)-국어사전 : ① 공동생활을 하는 인간의 집단. ② (역사적으로) 어떤 특정한 발전 단계를 이룬 집단. ③ 생활의 정도나 직업의 동질성 등으로 형성된 사람들의 세계. ④ (군대나 학교 등) 어떤 조직체에 딸린 사람이 그 조직체 밖의 세상을 이르는 ..

삼보(三寶)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