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6

물심일여(物心一如,873)-국어사전

물심일여(物心一如,87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물아일체. 참고 물아일체(物我一體,873)-국어사전 : 자연물과 자아(自我)가 하나가 된 상태. 대상물에 완전히 몰입(沒入)된 경지. 물심일여(物心一如). .....000자연물과→자연물(自然物,1953)-국어사전 : (인공으로 된 것이 아닌) 자연계에 있는 유형물(有形物). .....000자아가→자아(自我,1952)-국어사전 : ① 자기. 자기 자신. ② 철학에서, 천지 만물에 대한 인식이나 행동의 주체로서의 자기를 이르는 말. 나.↔객아(客我)·비아(非我)·타아(他我). ③ 심리학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이르는 말. .....000하나가→하나(2536)-국어사전 : (수) (사물의 수를 세는) 수의 처음. ..

무명세계(無明世界,846)-국어사전

무명세계(無明世界,84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무명에 의하여 번뇌에 사로잡힌 고뇌의 세계인 사바세계(娑婆世界)를 이르는 말.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

일미선(一味禪,1915)-국어사전

일미선(一味禪,191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참선하여 부처의 참뜻을 깨닫게 되는 경지.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를..

선(禪) 2024.01.28

목어(木魚,825)-국어사전

목어(木魚,82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사(佛事) 때, 두드려 소리를 내는 기구. 나무로 만든 1m가량의 잉어 모양으로, 속이 비어 있음. 어고(魚鼓). 어판(魚板). ②‘목탁(木鐸)’을 달리 이르는 말. 참고 불사(佛事) 때→불사(佛事,1096)-국어사전 : 불가(佛家)에서 하는 행사. 법사(法事). 법업(法業). ...행사(行事,2588)-국어사전 : 일을 거행함, 또는 그 일. ...거행하다→거행(擧行,115)-국어사전 : ① 명령에 따라 시행함. ② 행사나 의식(예식)을 차리어 치름. ...시행하다→시행(施行,1455)-국어사전 : ① 실제로 행함. ② 법령의 효력을 실제로 발생시킴. ...발생(發生,934)-국어사전 : ① 어떤 현상이 일어남. ② 어떤 것이..

절(寺) 2024.01.27

맹귀우목(盲龜遇木,783)-국어사전

맹귀우목(盲龜遇木,78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눈먼 거북이 물에 뜬 나무를 만났다는 뜻으로] 어려운 판에 뜻밖에 좋은 일을 만나 어려움을 면하게 됨을 이르는 말. 맹귀부목(盲龜浮木). 참고 눈먼→눈멀다(502)-국어사전 : ① 눈이 보이지 아니하게 되다. 시력을 잃다. ② 어떤 일에 온전히 마음이 쏠리어 그것에만 정신을 쏟다. ...잃다(1925)-국어사전 : ① (몸에 지녔던 물건을) 자기도 모르게 떨어뜨리거나 놓쳐서 없어지게 되다. ② (지니거나 누리고 있던 것을) 빼앗기거나 차지하지 못하다. ③ (주위의 가까운 사람이) 죽어서 헤어지게 되다. ④ 어떤 사람과의 관계가 끊어지거나 헤어지게 되다. ⑤ (정신이나 감각 따위) 자기에게 본디 있던 것이 사라지거나 없어지다...

불법(佛法) 2024.01.26

망집(妄執,770)-국어사전

망집(妄執,77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망상을 버리지 못하고 그것에 집착함. ② 망령된 고집. 참고 망상을→망상(妄想,769)-국어사전 : ① 있지도 않은 사실을 상상하여 마치 사실인 양 굳게 믿는 일, 또는 그러한 생각. 망념(妄念). ② 정신 장애로 말미암아 생기는 잘못된 판단이나 확신. ...말미암다(762)-국어사전 :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계기가 되다. 인연이 되다. ...원인(原因,1793)-국어사전 : 사물의 말미암은 까닭, 곧 어떤 일이나 상태보다 먼저 일어나 그것을 일으키는 근본 현상. 원유(原由). ...이유(理由,1887)-국어사전 : 까닭. 사유. ...까닭(383)-국어사전 : ① 어떤 일이 일어나는 이유. 어떤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사정. ②..

유(有) 2024.01.25

단도(檀度,535)-국어사전

단도(檀度,53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육도(六度)의 첫째인 보시(布施)의 행법(行法)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

응신불(應身佛,1854)-국어사전

응신불(應身佛,185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신불(三身佛)의 하나인‘석가여래불’을 이르는 말. 참고 응신(應身,2015)-뉴사전 : ① 응현한 신체라는 뜻.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중생과 같은 몸을 나타내는 몸. 중생을 구하기 위해 무제한 속에 임시로 제한을 가지고 나타낸 불신. 또한 응화신·화신·변화신이라고도 함. 부처님의 나투신 모습. 부처님의 3신(법신·보신·응신)중의 하나. (정토종의 3신즉 일체(一體)의 설) 또 응신과 화신을 구별한 4신(법신·보신·응신·화신)의 하나. 부처님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교화대상에 맞추어 변화하여 나타낸 몸을 말함. 사람들의 능력과 소질에 맞추어 교화해야만 하는 육신을 취하여 나타난 부처님.→화신 산, nirmana-kaya ② 과..

만상(萬象,754)-국어사전

만상(萬象,75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온갖 사물. 형상이 있는 온갖 물건과 세상의 모든 일. 만유(萬有). 참고 온갖(1719)-국어사전 : 모든 종류의. 여러 가지의. 별별(別別). ...가지의→가지⁴(31)-국어사전 : ① 사물을 종류별로 구별하여 헤아릴 때 하는 말. ② 제기차기할 때, 차기 시작하고서 땅에 떨어지기까지의 동안. ...모든(812)-국어사전 : 여러 가지의. 여러 종류의. 전부의. ...종류(種類,2129)-국어사전 : 어떤 기준에 따라 나눈 갈래. 종(種). 준) 유(類). ...여러(1633)-국어사전 : 많은 수효의. ...수효(數爻,1410)-국어사전 : 사물의 낱낱의 수. ...수²(數,1384)-국어사전 : ① 셀 수 있는 사물의 많고 적..

사대(四大) 2024.01.22

자가본심(自家本心,2178)-뉴사전

자가본심(自家本心,217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 각자가 태어나면서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을 말함. 인심·자성·심성이라고도 함.→불성(佛性) 참고 자가(自家,1937)-국어사전 : ① 자기의 집. 자택(自宅). ② 자기. 본심(本心,1047)-국어사전 : ① 본마음. 본의. 본정(本情). ②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 ...본의(本意,1047)-국어사전 : ① 본디의 뜻. 본디부터 품어 온 생각. 본뜻. ② 본마음. 본심. 본정(本情). ...본디(1045)-국어사전 : 어떤 사물의 처음. 본래. 본시(本是). 원래. ...본래(本來,1045)-국어사전 : 본디. ...본래(本來,906)-뉴사전 : 원래.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B. 산, nitya-nirvrta ..

佛性이란?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