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5

불토(佛土,1103)-국어사전

불토(佛土,11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부처의 세계인‘극락정토’를 이르는 말. ② 부처가 교화한 국토. 비) 불국(佛國). 참고 부처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

반승반속(半僧半俗,921)-국어사전

반승반속(半僧半俗,92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비승비속(非僧非俗). 참고 비승비속(非僧非俗,1122)-국어사전 : [중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한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반승(半僧). 반승반속. ...000중도→중(2165)-국어사전 : 절에서 살면서 불법을 닦고 실천하며 포교에 힘쓰는 사람. 본디는 삼보(三寶)의 하나로 그러한 단체를 이르던 말임. 법신(法身). 불자(佛者). 사문(沙門). 승(僧). 승가(僧伽). 승려. 높) 선사·스님. ...승(僧,1433)-국어사전 : 중. ...승가(僧伽 samgha 범,1433)-국어사전 : ① 불도를 닦는 사람들의 집단. ② 중. ...승(僧,1471)-뉴사전 : ① 산, samgha..

불자(佛子) 2024.02.07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922)-국어사전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92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지혜의 완성’‘완전한 지혜’의 뜻으로 이르는 말.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비심비불(非心非佛,1023)-뉴사전

비심비불(非心非佛,102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도 부처도 아니라는 뜻.「即心即佛」과 함께「어떤 것이 부처인가」라는 마조(馬祖)의 물음에 대한 남전(南泉)의 대답. 즉심즉불(即心即佛)의 역설. 불법의 기본적 입장은 즉심즉불(即心即佛)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이것을 강하게 의식하고 사로잡히면 오히려 진실을 잃는다고 하는 배려에서 생긴 말로, 마음(心 : 佛)에 계당(契當)하면, 더욱 그것을 초월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 참고 마음도→마음(742)-국어사전 : ① 사람의 몸에 깃들여서 지식·감정·의지 등의 정신 활동을 하는 것, 또는 그 바탕이 되는 것. ② 거짓 없는 생각. ③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일어나는) 기분. 느낌. ④ (어떤 사물이나 행동에 대하여) 속으로..

반가부좌(半跏趺坐,914)-국어사전

반가부좌(半跏趺坐,91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법의 한 가지. 오른발을 왼편 허벅다리에 얹고 왼발을 오른편 무릎 밑에 넣고 앉는 앉음새. 참) 결가부좌.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

바라춤(哱囉-,880)-국어사전

바라춤(哱囉-,88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전(佛前)에 재(齋)를 지낼 때, 자바라를 치고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를 외면서 추는 춤. 참고 불전(佛前,1074)-국어사전 : ① 부처의 앞. ② 부처가 세상에 나기 전. 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

무성(無性,849)-국어사전

무성(無性,84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하등 동물로서) 암수의 구별이 없음.→유성(有性). ② 불교에서, 자성(自性) 곧 불성(佛性)이 없음을 이르는 말. 참고 하등 동물로서→하등동물(下等動物,2439)-국어사전 : 진화(進化) 정도가 낮아 몸의 구조나 기능이 간단한 동물. 척추동물의 경우 파충류·양서류·어류 따위가 이에 딸림.↔고등동물. ...진화(進化,2222)-국어사전 : ① 생물이 오랜 동안에 걸쳐 조금씩 변화하여 보다 복잡하고 우수한 종류의 것으로 되어 가는 일. ② 사물이 보다 좋고 보다 고도(高度)의 것으로 발전하는 일.↔퇴화(退化). ...퇴화(退化,2442)-국어사전 : ① (진보하던 것이) 진보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감. 퇴행. ② 생물체의 어떤 기관..

자성(自性) 2024.02.02

바라문천(婆羅門天,903)-국어사전

바라문천(婆羅門天,9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천왕(梵天王). 참고 범천왕(梵天王,992)-국어사전 : ① 바라문교의 교조인 조화의 신. [우주 만물의 창조신으로 사바 세계를 주재한다고 함.] ② 제석천(帝釋天)과 함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신. [부처가 세상에 나올 때마다 가장 먼저 설법을 청한다고 함.] 바라문천. 범천. 준) 범왕. ...범왕(梵王,799)-뉴사전 : 범천(梵天)의 왕. 대범천(大梵天). 산, Brahma ...범천왕(梵天王,802)-뉴사전 : 범천(梵天). 우주의 창조자. 뷔슈누신의 배꼽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경우가 있음. 범왕(梵王)과 동일. 범천(梵天) 참조. 산, Brahma ...범천(梵天,802)-뉴사전 : ① 인도사상에서 만유의 근원 ..

정법(正法) 2024.02.01

미륵불(彌勒佛,882)-국어사전

미륵불(彌勒佛,88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미륵보살의 후신(後身)으로 나타날 장래의 부처. 참고 미륵보살의→미륵보살(彌勒菩薩,882)-국어사전 : 도솔천에 살며, 56억 7천만 년 후에 미륵불로 나타나 중생을 제도한다는 보살. 준) 미륵. .....000도솔천에 살며→도솔천(兜率天,619)-국어사전 : 욕계 육천(欲界六天) 가운데 넷째 하늘. 하늘에 사는 사람의 욕망을 이루는 외원(外院)과 미륵보살의 정토인 내원(內院)으로 이루어졌다 함. ...도솔천(兜率天,487)-뉴사전 : 산, Tusita의 음역. 욕계의 육천(六天)중, 제4천. 통속어원 해석에 의하면「만족시키다」의 의미로, 묘족(妙足)이라고 한역되는데 어원은 불명임. 이 하늘의 내원(內院)은 장래 부처가 될 보살의..

물심일여(物心一如,873)-국어사전

물심일여(物心一如,87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물아일체. 참고 물아일체(物我一體,873)-국어사전 : 자연물과 자아(自我)가 하나가 된 상태. 대상물에 완전히 몰입(沒入)된 경지. 물심일여(物心一如). .....000자연물과→자연물(自然物,1953)-국어사전 : (인공으로 된 것이 아닌) 자연계에 있는 유형물(有形物). .....000자아가→자아(自我,1952)-국어사전 : ① 자기. 자기 자신. ② 철학에서, 천지 만물에 대한 인식이나 행동의 주체로서의 자기를 이르는 말. 나.↔객아(客我)·비아(非我)·타아(他我). ③ 심리학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이르는 말. .....000하나가→하나(2536)-국어사전 : (수) (사물의 수를 세는) 수의 처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