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2

사백사병(四百四病,1169)-국어사전

사백사병(四百四病,116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람이 걸리는 모든 병을 이르는 말. 사람의 몸을 이루고 있는 땅·물·불·바람[地水火風] 등 네 원소의 상태가 고르지 못할 때 각각 101가지씩, 모두 404가지의 병이 일어난다 함. 참고 사람이→이6 (1863)-국어사전 : 자음으로 끝난 일부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는 조사. ① 그 말이 주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주격 조사. 예) 하늘이 맑다. 높) 께서. ② (동사‘되다’앞에 쓰이어)‘(무엇이) 변하여 그것으로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검던 머리가 백발이 되다. ③ (형용사‘아니다’앞에 쓰이어) 그 말이‘부정의 대상이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그 동물은 말이 아니다. 참) 가³...가³(1)-국어사전..

사대(四大) 2024.04.05

사개대승(四個大乘,1154)-국어사전

사개대승(四個大乘,115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 불교의 사대 종파. 화엄종·천태종·진언종·선종의 네 종파를 이름. 참고 대승 불교의→의²(1855)-국어사전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그 말이 관형어의 구실을 하게 하는 관형격 조사. ①‘가진 사람(소유)’‘딸린 바(소속)를 뜻함. 예) 나의 책. ② 그 말이 다음 말의 내용의 주체임을 뜻함. 예) 온 겨레의 염원. ③‘있는 곳(데)’‘범위’‘시간’등을 뜻함. 예) 강원도의 경승지. ④‘성질’‘상태’‘수량’등을 뜻함. 예) 빨간 빛깔의 모자. ⑤ 뒤의 체언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의‘목표’또는‘대상’임을 뜻함. ⑥‘관계’를 뜻함. 예) 나의 스승. ⑦‘(지은) 대상, 내용상의 관련’을 뜻함. 예) 가을의 노래..

대승과 소승 2024.04.04

사보(四寶,1170)-국어사전

사보(四寶,117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붓·먹·종이·벼루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② 불교에서, 금·은·유리·수정(水晶)의 네 보배를 이르는 말. 참고 붓→붓(1106)-국어사전 : ① 가는 대 끝에 다발로 한 짐승털을 꽂고, 먹이나 그림물감을 찍어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물건. ② (연필·만년필·볼펜 따위) 글씨나 그림에 쓰이는 기구를 두루 이르는 말. ...0연필(鉛筆,1662)-국어사전 : 필기 용구의 한 가지. 흑연 가루와 점토를 섞어 개어, 가늘고 길게 만들어서 굳힌 심을, 가는 나뭇대에 박은 것. ...0만년필(萬年筆,751)-국어사전 : 펜의 한 가지. 글씨를 쓸 때 펜대 속에 들어 있는 잉크가 저절로 알맞게 흘러나오도록 만든 휴대용 펜. ....

사마(邪魔,1165)-국어사전

사마(邪魔,116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몸과 마음을 괴롭혀 수행을 방해하는 사악한 마귀를 이르는 말. 참고 불교에서→에서(1626)-국어사전 : ① 체언에 붙어 쓰이는 부사격 조사. ㉠ 어떤 행위의 처소를 나타냄. 예) 방에서 공부한다. ㉡ 어떤 행동의 출발점을 나타냄. 예) 학교에서 집까지 걸었다. ②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예) 우리 학교에서 이겼다.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사물(四物,1167)-국어사전

사물(四物,116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농촌에서 흔히 쓰는 네 가지 민속 타악기. 곧, 쾡과리·징·북·장구. ② 의 준말. ③ 불교에서, 법고(法鼓)·운판(雲板)·목어(木魚)·대종(大鐘)을 아울러 이르는 말. 참고 농촌에서→에서(1626)-국어사전 : ① 체언에 붙어 쓰이는 부사격 조사. ㉠ 어떤 행위의 처소를 나타냄. 예) 방에서 공부한다. ㉡ 어떤 행동의 출발점을 나타냄. 예) 학교에서 집까지 걸었다. ②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예) 우리 학교에서 이겼다. ...농촌(農村,492)-국어사전 : 농업으로 생업을 삼는 주민이 대부분인 마을.↔도시·도화지. ...농업(農業,491)-국어사전 :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

절(寺) 2024.04.01

불퇴전(不退轉,1103)-국어사전

불퇴전(不退轉,11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굳게 믿어 마음을 굽히지 않음. 예) 불퇴전의 용기. ② 보살이 수행에만 힘써 마음을 늦추지 아니하는 일. 불퇴. 참고 굳게→굳다(302)-국어사전 : (자) ① 오그라들어 빳빳하여지다. 예) 팔다리가 굳다. ② 버릇이 되다. 예) 말버릇이 굳어 버리다. ③ (무른 것이) 단단해지다. 예) 굳기름이 녹았다가 다시 굳다. ④ 돈 따위가 헤프게 없어지지 아니하고 계속 남다. (형) ① (무르지 않고) 단단하다. 예) 굳은 석회질 껍데기. ② 뜻이 흔들리거나 바뀌지 않다. 예) 의지가 굳다. ③ 튼튼하고 단단하다. 예) 방문을 굳게 잠그다. ④ 표정이 딱딱하다. 예) 잔뜩 긴장한 굳은 얼굴. 믿어→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

보살(菩薩) 2024.03.31

사륜(四輪,1164)-국어사전

사륜(四輪,116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네 개의 바퀴. ② 불교에서, 이 세상을 땅 밑에서 받치고 있다는 삼륜(三輪)에 공륜(空輪)을 더한 것을 이름. 참고 네 개의 바퀴→000네²(470)-국어사전 : 수사‘넷’이 관형사로 쓰일 때의 꼴. 예) 네 마리. 네 시간. 사(四). 4. ...마리(740)-국어사전 : 물고기나 짐승 따위의 수효를 세는 단위. 수(首). 예) 금붕어 세 마리. ...00수효를→수효(數爻,1410)-국어사전 : 사물의 낱낱의 수. ...수²(數,1384)-국어사전 : ① 셀 수 있는 사물의 많고 적음. ② 자연수·정수·유리수·허수·복소수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0셀 수 있는→세다²(1332)-국어사전 : 수효를 헤아리다. 예) 돈을 ..

금강좌(金剛座,342)-국어사전

금강좌(金剛座,34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석가가 성도했을 때 앉았던 자리. 인도의 부다가야의 보리수 밑에 있음. 참고 석가가→가³(1)-국어사전 : ① 모음으로 끝난 체언에 붙는 격조사. ㉠ 앞말이 주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주격 조사. 예) 아기가 웃는다. ㉡ (‘되다’를 뒤따르게 하여)‘무엇이 변하여 그것으로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강물이 모여 바다가 된다. ㉢ (‘아니다’를 뒤따르게 하여) 그 말이 부정의 대상임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② 일부 어미에 붙어, 그 말의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예) 어쩐지 처음부터 예사롭지가 않더라니. 참) 이. ...0이6 (1863)-국어사전 : 자음으로 끝난 일부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는..

사라수(沙羅樹,1161)-국어사전

사라수(沙羅樹,116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용뇌향과의 상록 교목. 히말라야 산기슭에서 인도 중서부에 걸쳐 자라는데, 높이는 30m가량. 잎은 길둥근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함. 3월경에 노란 꽃이 핌. 사라쌍수. 참고 용뇌향과의→의²(1855)-국어사전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그 말이 관형어의 구실을 하게 하는 관형격 조사. ①‘가진 사람(소유)’‘딸린 바(소속)를 뜻함. 예) 나의 책. ② 그 말이 다음 말의 내용의 주체임을 뜻함. 예) 온 겨레의 염원. ③‘있는 곳(데)’‘범위’‘시간’등을 뜻함. 예) 강원도의 경승지. ④‘성질’‘상태’‘수량’등을 뜻함. 예) 빨간 빛깔의 모자. ⑤ 뒤의 체언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의‘목표’또는‘대상’임을 뜻함. ⑥‘관..

사교(四敎,1156)-국어사전

사교(四敎,115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석가의 일생 동안의 가르침을 넷으로 나눈 것. 곧, 장교(藏敎)·통교(通敎)·별교(別敎)·원교(圓敎). ② 시(詩)·서(書)·예(藝)·악(樂)의 네 가지 가르침. ③ 문(文)·행(行)·충(忠)·신(信)의 네 가지 가르침. ④ 부덕(婦德)·부언(婦言)·부용(婦容)·부공(婦功)의 네 가지 가르침. 참고 석가의→의²(1855)-국어사전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그 말이 관형어의 구실을 하게 하는 관형격 조사. ①‘가진 사람(소유)’‘딸린 바(소속)를 뜻함. 예) 나의 책. ② 그 말이 다음 말의 내용의 주체임을 뜻함. 예) 온 겨레의 염원. ③‘있는 곳(데)’‘범위’‘시간’등을 뜻함. 예) 강원도의 경승지. ④‘성질’‘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