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2

삼함(三緘,1232)-국어사전

삼함(三緘,123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절에서, 몸·입·뜻을 삼가라는 뜻으로 거처하는 방에 써 붙이는 글. 참고절에서→절(2053)-국어사전 : 중들이 불상(佛像)을 모셔 놓고 불도를 닦는 집. 불가(佛家). 불사(佛寺). 불찰(佛刹). 사원(寺院). 사찰(寺刹). 참) 산문(山門). ...사원(寺院,1179)-국어사전 : 절. 사찰. ...사원(寺院,1106)-뉴사전 : 사(寺)는 원래 중국에서, 외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관청의 이름이었다. 후한(後漢)의 명제(明帝)치세(治世)시 인도의 승려, 가섭마등(迦葉摩騰)·축법란(竺法蘭) 두사람이 중국에 불교를 전하러 왔을 때 처음 홍려사(鴻驢寺)에 두고, 다음해에 백마사(白馬寺)를 지어서 머물게 하였다. 이때부터 불교의 도량을 ..

삼업(三業) 2024.05.06

삼천(三千,1230)-국어사전

삼천(三千,123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의 천태종에서, 만유(萬有)를 통틀어 이르는 말. 참고불교의→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③ 남의 도움을 기대하다. ④ 마..

세계(世界) 2024.05.05

삼종(三宗,1228)-국어사전

삼종(三宗,122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존재의 실상에 대해 설명하는 세 가지의 교의. 곧, 법상·법성·파상.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③ ..

교법(敎法) 2024.05.04

삼부(三部,1222)-국어사전

삼부(三部,122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세 부분. 세 부문. ② 밀교에서, 태장계(胎藏界)의 만다라에 있어서의 연화부(蓮華部)·금강부·불부(佛部)를 이르는 말. 참고세 부분→세(1330)-국어사전 : 수사‘셋’이 수 관형사로 쓰일 때의 꼴. 예) 세 개. 세 사람. 세 마리. ...셋(1342)-국어사전 :‘둘’에 하나를 더한 수. 삼(三). 참) 서·석·세. 3. ...0부분(部分,1063)-국어사전 : 전체를 몇으로 나눈 것 중의 하나.↔전체. ...전체(全體,2050)-국어사전 : (사물이나 현상의) 전부. 비) 총체(總體).↔부분. ...0전부(全部,2039)-국어사전 : 모두 다. 모조리. 온통. ...모조리(819)-국어사전 :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처음..

종파(宗派) 2024.05.03

삼보인(三寶印,1222)-국어사전

삼보인(三寶印,122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선종(禪宗)에서 쓰는 도장. 전자(篆字)로‘불법승보(佛法僧寶)’라고 새김. 참고선종(禪宗)에서→선종(禪宗,1307)-국어사전 : 불교의 한 종파. 참선을 통해 불도를 터득하려는 종파로서, 6세기 초에 달마대사가 중국에 전함. 선가(禪家). 선도(禪道). 선문(禪門). 준) 선(禪).↔교종(敎宗). .....000참선을→참선(參禪,2262)-국어사전 : 좌선(坐禪)하여 불도(佛道)를 닦는 일. ...좌선(坐禪,2137)-국어사전 : 불교에서, 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조용히 앉아서 선정(禪定)으로 들어감, 또는 그렇게 하는 수행. 준) 선(禪). ...좌선(坐禪,2362)-뉴사전 : 앉아서 바른 선을 수행하는 것. 양발을 합쳐앉아 ..

선종(禪宗) 2024.05.02

삼보(三報,1222)-국어사전

삼보(三報,122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세 가지 과보(果報). 곧, 순현보(順現報)·순생보(順生報)·순후보(順後報)를 이름.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인과(因果) 2024.05.01

삼불혹(三不惑,1223)-국어사전

삼불혹(三不惑,122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곧, 술·여색·재물. 참고빠지지→빠지다(1141)-국어사전 : ① 깊은 곳에 떨어지다. 예) 구덩이에 빠지다. ② 묻히다. 예) 눈에 무릎까지 빠지다. ③ 물에 떠 있거나 헤엄치지 못하고 물속에 잠기다. 예) 물에 빠져 허우적대다. ④ 무슨 일에 마음을 빼앗기어 헤어나지 못하다. 예) 도박에 빠져 재산을 탕진하다. ⑤ 어려운 처지에 놓이다. 예) 궁지에 빠지다. ⑥ (꾐이나 계략에) 속아 넘어가다. 예) 꾐에 빠지다. ⑦ 박혔거나 끼었거나 막혔던 것이 그 자리에서 나오다. 예) 이가 빠지다. ⑧ 들어 있어야 할 것이 들어 있지 아니하다. 예) 명단에서 내 이름이 빠졌다. ⑨ 모임이나 조직 등에서 떠나..

삼배(三拜,1222)-국어사전

삼배(三拜,122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세 번 절함. ② 불교에서, 이마를 지면에 대고 세 번 무릎 꿇고 배례하는 예법. 참고세 번→세(1330)-국어사전 : 수사‘셋’이 수 관형사로 쓰일 때의 꼴. 예) 세 개. 세 사람. 세 마리. ...셋(1342)-국어사전 :‘둘’에 하나를 더한 수. 삼(三). 참) 서·석·세. 3. ...000번(番,982)-국어사전 : (명) ① 차례를 바꾸어 갈마드는 일. ② 차례로 숙직·당직 등을 하는 일. (의) 일의 차례나 횟수를 세는 단위. ...갈마들다(53)-국어사전 : 갈음하여 들다. 번갈아 들다. ...갈음(54)-국어사전 : 본디 것 대신에 다른 것으로 가는 일. 대체(代替). ...00차례(次例,2249)-국어사전 : ..

절(寺) 2024.04.29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陀羅,1221)-국어사전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陀羅,122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보살이나 명왕(明王)·제천(諸天) 등이 가지고 있는, 기장(器仗)이나 인(印) 등으로 나타낸 만다라. 참고불보살이나→불보살(佛菩薩,1096)-국어사전 : 부처와 보살. ...불보살(佛菩薩,969)-뉴사전 : 산, BuddhaBhodhisattva. 부처님과 보살을 아울러 일컬음. 불은 불타(佛陀)의 준말. 각자(覺者)라 번역. 미망(迷妄)을 여의고 스스로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닫고, 또 다른 중생을 교도하여 자각·각타의 2행(行)을 성취한 이. 보살은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의 총칭. ...00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

아라한과(阿羅漢果,1510)-국어사전

아라한과(阿羅漢果,151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소승 불교에서, 아라한이 이른 수행의 최고 경지, 또는 그 지위.  참고소승 불교에서→소승불교(小乘佛敎,1355)-국어사전 : 소승의 교법을 주지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대승불교. ...소승(小乘,1354)-국어사전 : 후기 불교의 2대 유파의 하나. 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解脫)을 얻고자 하는 교법. [개혁파가 스스로를‘대승(大乘)’이라 일컫고 다른 전통적 불교를‘소승’이라고 한 데서 비롯된 것임.]↔대승. ...소승(小乘,1394)-뉴사전 : 대승에 비해 그 수행하는 바의 교(敎)·이(理)·행(行)·과(果) 및 수행하는 사람이 열등한 점에서 그것을 멸칭(蔑稱)하여 소승이라 함. 성문승(聲聞乘)이라..

대승과 소승 2024.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