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5

불기(佛紀,1092)-국어사전

불기(佛紀,109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석가모니가 입멸한 해를 원년으로 삼는 불가(佛家)의 기원(紀元). [기원전 544년부터 시작함.] 참고 석가모니가→가³(1)-국어사전 : ① 모음으로 끝난 체언에 붙는 격조사. ㉠ 앞말이 주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주격 조사. 예) 아기가 웃는다. ㉡ (‘되다’를 뒤따르게 하여)‘무엇이 변하여 그것으로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강물이 모여 바다가 된다. ㉢ (‘아니다’를 뒤따르게 하여) 그 말이 부정의 대상임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② 일부 어미에 붙어, 그 말의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예) 어쩐지 처음부터 예사롭지가 않더라니. 참) 이. ...께서(395)-국어사전 : 주격‘가’‘이’의 아주 높..

불설(佛說,1097)-국어사전

불설(佛說,109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가르침. 불교의 가르침. 참고 부처의→의²(1855)-국어사전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그 말이 관형어의 구실을 하게 하는 관형격 조사. ①‘가진 사람(소유)’‘딸린 바(소속)를 뜻함. 예) 나의 책. ② 그 말이 다음 말의 내용의 주체임을 뜻함. 예) 온 겨레의 염원. ③‘있는 곳(데)’‘범위’‘시간’등을 뜻함. 예) 강원도의 경승지. ④‘성질’‘상태’‘수량’등을 뜻함. 예) 빨간 빛깔의 모자. ⑤ 뒤의 체언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의‘목표’또는‘대상’임을 뜻함. ⑥‘관계’를 뜻함. 예) 나의 스승. ⑦‘(지은) 대상, 내용상의 관련’을 뜻함. 예) 가을의 노래. ⑧‘나는 데(생산지)’를 뜻함. 예) 대구의 사과..

보생여래(寶生如來,1026)-국어사전

보생여래(寶生如來,102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밀교에서 이르는 금강계의 오불(五佛)의 하나. 보생불. 참고 밀교에서→에서(1626)-국어사전 : ① 체언에 붙어 쓰이는 부사격 조사. ㉠ 어떤 행위의 처소를 나타냄. 예) 방에서 공부한다. ㉡ 어떤 행동의 출발점을 나타냄. 예) 학교에서 집까지 걸었다. ②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예) 우리 학교에서 이겼다. ...밀교(密敎,893)-국어사전 : ① 불교에서, 해석이나 설명을 할 수 없는 가르침이나 경전. 주문·진언(眞言) 따위. ② 후기 대승불교의 한 파. 대일경과 금강정경에 의하여 일어났음. 비교(秘敎). ③ 임금이 생전에 종친이나 중신에게 남모르게 뒷일을 부탁하여 내린 교서..

불교미술(佛敎美術,1091)-국어사전

불교미술(佛敎美術,109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 관계되는 미술. [사원 건축·불상 조각·불교 회화·불구(佛具) 공예 따위.] 참고 불교에→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

불상(佛像) 2024.03.06

관심(觀心,247)-국어사전

관심(觀心,24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자기 마음의 본성을 밝히어 살피는 일을 이름.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③ 남의 도움을 기대하다. ..

관법(觀法) 2024.03.05

갈마(羯磨karma범,53)-국어사전

갈마(羯磨karma범,5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① →업(業). ② 수계(受戒)나 참회(懺悔) 때의 의식.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③ ..

업(業) 2024.03.04

부루나(富樓那,927)-뉴사전

부루나(富樓那,92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팔, Purna. 구족하게는 부루나미다라니자(部樓那彌陀羅尼子)·부라나매저려야부다라(富羅拏梅低黎夜富多羅)·부나만타불다라(富那曼陀弗多羅)·보랄나매달리니불달라(補剌那梅呾利尼弗呾羅). 만원자(滿願子)·만축자(滿祝子)·만자자(滿慈子)라 번역. 인도 교살라국 사람. 바라문 종족의 출신으로 아버지는 가비라성주(迦毘羅城主) 정반왕의 국사. 가정은 큰 부자로서 부처님과 생년월일이 같음. 대단히 총명하여 어려서 4베다(吠陀)·5명(明)을 통달함. 진세(塵世)를 싫어하여 입산 수도. 부처님께서 성도하여 녹야원에서 설법하심을 듣고 친구들과 함께 부처님께 귀의, 아라한과를 얻음. 변재가 훌륭하여 불제자 중에서 설법 제일. 뒤에 여러 곳으로 다니며 인격과 ..

업액(業厄,1620)-국어사전

업액(業厄,162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악업(惡業)의 갚음으로서 받는 재난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③ 남의 도움을 기대하..

별법(別法,1011)-국어사전

별법(別法,101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딴 방법. ② 별난 법. ③ 불교에서 이르는 보편적인 가르침이 아닌, 방편(方便)에 따른 가르침. 참고 딴→딴³(695)-국어사전 : 다른. 예) 딴 고장의 풍속. ...다른→다르다(521)-국어사전 : ① 같지 않다. 예) 의견이 서로 다르다.↔같다. ② (생각이나 언행 따위가) 예사롭지 않은 점이 있다. 예) 역시 전문가라 보는 눈이 다르다. ...예사롭다(例事-,1691)-국어사전 : 보통 있는 일이다. 별다를 것이 없다. 예) 그건 예사로운 문제가 아니다. 방법→방법(方法,944)-국어사전 :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 예) 좋은 방법을 생각해 내다. ...목적(目的,826)-국어사전 : ① 이룩하거나 도..

북종(北宗,1079)-국어사전

북종(北宗,107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중국의 신수(神秀)를 종조(宗祖)로 하는 선종(禪宗)의 한 파. ② 의 준말. 참고 중국의→중국(다음백과) :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 인구의 90% 이상이 한족이고 법적으로 종교 활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화폐는 인민폐를 사용하며 단위는 위안(¥)이다. 206년 한 설립 후 주로 한족이 지배했으나 1279년 원나라와 1644년 청나라 때 이민족이 지배하였다. 1912년에 공화국 정부가 선포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내전 결과 공산당이 본토에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웠다. 1970년대 후반 이후 혼합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급속도의 경제 성장과 중국 사회 변화에 진전을 이루었다. ...의²(1855)-국어..

선종(禪宗) 20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