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乘佛敎의 주인공인 菩薩 大乘佛敎의 주인공인 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불교의 여명은 보살 운동과 더불어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 보살 정신은 위기에 처한 현대 인류 문명을 구원할 이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류 역사의 발전 과정을 문명사적 관점에서 면밀히 추적한 역.. 불교 2013.06.18
세친보살(世親菩薩) 세친보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5세기 경의 學僧으로, 북인도 건타라국 부루사부라 사람인 바라문족 矯尸迦의 아들. 처음에 형 무착과 함께 소승의 설일체유부에 출가했으나, 무착이 대승으로 돌아섰다. 이는 國禁을 범하는 일이어서, 무착은 이름을 고치고 가습.. 불교 2013.06.17
미륵보살님(彌勒菩薩) 미륵보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보살. 미륵은 보살의 性이다. 慈氏로 번역하며, 이름은 阿逸多로 無勝, 莫勝이라 번역함. 혹은 이름은 아일다 성은 미륵이라고도 한다.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집에 태어나 석존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 불교 2013.06.16
용수보살(龍樹菩薩) 용수보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도의 대승불교를 연구하여 그 기초를 확립하여 놓아 대승불교를 크게 선양하였다. 인도 제 14조이며, 空宗의 시조이다. 불멸 후 6~7백년경(B.C. 2~3세기)의 남인도(혹은 서인도)사람. 龍猛, 龍勝이라 번역.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일찌기.. 불교 2013.06.15
좌선(坐禪) 좌선의 자세(調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좌선을 하려고 할 때는 고요한 곳에서 방석을 두껍게 깔고 허리띠를 느슨하게 하여 위의를 가지런히 한 후에 결가부좌하되, 먼저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는다. 혹 반가부좌를 해.. 불교 2013.06.14
지장보살(地藏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持地, 妙幢, 無邊心이라고도 하며, 곧 地藏보살로 通稱된다. 忉利天에서 釋尊의 付囑을 받고 매일 새벽 항하사의 定에 들어 衆生의 갖가지 根機를 관찰하고 二佛의 중간인 無佛世界에 六道衆生을 敎化하는 大悲보살이.. 불교 2013.06.13
보현보살(普賢菩薩) 보현보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mantabhadra · Vis=vabhadra. 三曼多跋捺羅 · 邲輸跋陀라 음역. 遍吉이라 번역. 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의 脇士로 유명한 보살. 문수보살이 여래의 왼편에 모시고 여러 부처님네의 智德 · 體德을 맡음에 대하여, 이 보살은 .. 불교 2013.06.11
문수보살님(文殊菩薩) 문수보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文殊師利, 滿殊尸利, 曼殊室利라고도 음역한다. 대승보살 가운데 한사람. 문수와 만수는 妙의 뜻이고, 사리, 실리는 頭, 德, 吉祥의 뜻이므로 지혜가 뛰어난 공덕이라는 뜻이 된다. 이 보살은 모두 신, 구 6譯이 있는데, 妙德, 妙音, 普.. 불교 2013.06.11
검정콩의 효능 검정콩 검은콩 중에는 껍질을 벗겼을때 속이 파란 것을 서리태라 하고 ,속이 노란 것을 서목태라 한다. 서리를 맞은 뒤 수확하면 속이 파란 서리태가 된다. 속이 노란 서목태는 약용에서는 해독제라 하며 안토시아닌 색소가 많고, 맛이 고소해서 밥에 넣어 먹는다. 안토시아닌 성분은 노.. 몸에 유익한 음식 2013.06.09
관세음보살님(觀世音菩薩) 관세음보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상을 구원하는 자비의 보살, 관세음 현재 우리들이 고통 속에서 신음하고 있다면 그때 당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깨달음일까 아니면 물질적 안락함일까? 그 둘다 아니리라. 아파서 신음하는 자에게 깨달음이나 말초적 쾌락은 .. 불교 2013.06.09